$\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산부산물인 옥피, 대두피, 왕겨, 소맥피를 이용한 산화생분해 바이오플라스틱 필름 개발
Development of Oxo-biodegradable Bio-plastics Film Using Agricultural By-product such as Corn Husk, Soybean Husk, Rice Husk and Wheat Husk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0 no.3, 2014년, pp.205 - 211  

유영선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전공) ,  김미경 ((주)바이오소재) ,  박명종 (콘프라테크(주)) ,  최성욱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로부터 유래하는 바이오매스를 25% 이상 함유하는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은 탄소배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한정된 자원인 석유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산화생분해 첨가제를 추가 적용하면 폐기 후에는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Biodegradable)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에 산화생분해 첨가제, 4종류 식물체 바이오매스, 불포화 지방산, 구연산을 첨가하여 생분해성 및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초기 신장율과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자연에 분해되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여 식품포장재로서의 제품 안전성을 시험하였다. 옥피, 대두피, 왕겨, 소맥피의 식물체를 Air classifying mill로 분체한 후,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기타 첨가제를 고속혼합기에서 혼합한 후, 호퍼에 투입한 다음 용융혼합하면서 다이스로 압출하여 4 가지 다른 형태의 두께 $50{\mu}m$의 바이오 필름을 제조하였다. 기계적 물성으로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으며, 생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옥피, 대두피, 왕겨, 소맥피로 제조된 필름 중 소맥피로 제조된 필름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화생분해 시험방법에 의해 45일간 생분해 테스트를 한 결과 표준물질인 셀룰로오스 분말 대비 51.5%의 생분해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mass-based plastics containing the biomass content higher than 25 wt% have been considered as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due to their effects on the reduction in the $CO_2$ emission and petroleum consumption as well as biodegradability after use. This article described the effec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바이오매스중 전분의 경우 식량자원 사용이란 문제점이 대두되어 그 사용을 줄이고, 최근 셀룰로오스, 폐지, 볏짚, 옥수수 껍질 등 비식용 자원을 소재로 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산부산물중 옥피, 대두피,왕겨, 소맥피를 이용하여 산화생분해 필름을 개발하였다. 이 중에서 소맥피를 이용한 필름의 인장강도 및 신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 신장율과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탄소중립형 바이오매스 및 산화생분해 첨가제가 포함된 포장재를 제조하여 식품포장용 필름으로서 사용한 후의 환경 친화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생분해 플라스틱란 무엇인가? 바이오 플라스틱(Bio plastics)은 크게 생분해 플라스틱(bio degradable plastics), 산화생분해 플라스틱(oxo-biodegradable plastics) 및 바이오 베이스플라스틱(bio based plastics)로 나누어지는 데, 이중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에 산화생분해 첨가제가 더 포함된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은 옥수수등 식물로부터 유래하는 바이오매스를 25% 이상 함유하는 플라스틱에 추가로 산화생분해 첨가제를 첨가한 플라스틱으로, 그 원료 인 바이오매스가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탄소배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한정된 자원인 석유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폐기 후에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특히 물성개선 및 가격경쟁력 유지 측면에서 친환경적인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4,5].
바이오 플라스틱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바이오 플라스틱(Bio plastics)은 크게 생분해 플라스틱(bio degradable plastics), 산화생분해 플라스틱(oxo-biodegradable plastics) 및 바이오 베이스플라스틱(bio based plastics)로 나누어지는 데, 이중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에 산화생분해 첨가제가 더 포함된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은 옥수수등 식물로부터 유래하는 바이오매스를 25% 이상 함유하는 플라스틱에 추가로 산화생분해 첨가제를 첨가한 플라스틱으로, 그 원료 인 바이오매스가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탄소배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한정된 자원인 석유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폐기 후에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특히 물성개선 및 가격경쟁력 유지 측면에서 친환경적인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4,5].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의 장점은 무엇인가? 바이오 플라스틱(Bio plastics)은 크게 생분해 플라스틱(bio degradable plastics), 산화생분해 플라스틱(oxo-biodegradable plastics) 및 바이오 베이스플라스틱(bio based plastics)로 나누어지는 데, 이중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에 산화생분해 첨가제가 더 포함된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은 옥수수등 식물로부터 유래하는 바이오매스를 25% 이상 함유하는 플라스틱에 추가로 산화생분해 첨가제를 첨가한 플라스틱으로, 그 원료 인 바이오매스가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탄소배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한정된 자원인 석유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폐기 후에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특히 물성개선 및 가격경쟁력 유지 측면에서 친환경적인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uillet, J. E., "Polymers and Ecological Problems," Baum, B., and White, R. A. (eds.), Plenum Press, New York, 1973, pp. 45-60. 

  2. Brown, D. T., "Plastic Waste Management," Mustafa, N.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93, pp. 1-35. 

  3. Garcia, C., Hernandez, T., and Costa, F., "Comparison of Humic Acids Derived from City Refuse with More Developed Humic Acids," Soil Sci. Plant. Nutr., 38, 339-346 (1992). 

  4. Huang, J. C., Shetty, A. S., and Wang, M. S., "Biodegradable Plastics, A Review," Adv. Polym. Technol., 10, 23-30 (1990). 

  5. Bloembergen, S., David, J., Geyer, D., Gustafson, A., Snook, J., and Narayan, R., "Biodegradation and Composting Studies of Polymeric Materials. In: Biodegradable Plastics and Polymers," Doi, Y., and Fukuda, K. (eds.). Osaka, 1993, pp. 601-609. 

  6. Doane, W. M., "USDA Research on Starch-based Biodegradable Plastics," Starch, 44, 292-295 (1992). 

  7. Scott, G., "Photo-biodegradable Plastics: Their Role in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Polym. Degrad. Stabil., 29, 135-154 (1990). 

  8. Albertsson, A. C., Barenstedt, C., and Karlsson, S., "Susceptibility of Enhanced Environmentally Degradable Polyethylene to Thermal and Photo-oxidation," Polym. Degrad. Stabil., 37, 163-171 (1992). 

  9. Lee, S. I., Sur, S. H., Hong, K. M., Shin, Y. S., Jang, S. H., and Shin, B. Y.,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Fully Biophotodegradable Composite Film," J. Int. Industrial Technol., 29, 129-134 (2001). 

  10. Chung, M. S., Lee, W. H., You, Y. S., Kim, H. Y., and Park, K. M., "Manufacturing Multi-Degradable Food Packaging Films and Their Degradabi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 877-883 (2003). 

  11. Lee, W. K., "Carbon Dioxide-reducible Biodegradable Polymers," Clean Technol., 17(3), 191-200 (2011). 

  12. Jang, S. H., "A Study on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mer Nanocomposites," Clean Technol., 19(4), 401-409 (2013). 

  13. KFDA. Food Codes,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1, pp. 28-60. 

  14. ASTM D 6866-10, "Standard Test Methods for Determining the Biobased Content of Solid, Liquid, and Gaseous Samples Using Radiocarbon Analysis," USA (2010). 

  15. ASTM D 6954-04, "Standard Guide for Exposing and Testing Plastics that Degrade in the Environment by a Combination of Oxidation and Biodegradation," USA (2004). 

  16. ASTM D 5208-01, "Standard Practice for Fluorescent Ultraviolet (UV) Exposure of Photodegradable Plastics," USA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