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치배양중 식초 오염균의 생육특성과 cellulose 생산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of Cellulose of Microorganisms in Static Culture Vinega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6 = no.172, 2003년, pp.1150 - 1154  

장원영 (오뚜기중앙연구소) ,  주경호 (오뚜기중앙연구소) ,  이재하 (오뚜기중앙연구소) ,  백창규 (오뚜기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초공장에서 Acetobacter pasteruianus로 정치배양중인 식초 생산과정과 숙성중인 현미식초를 오염시켜 균막을 형성한 것으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식초를 오염시키는 균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공장에서 식초제품을 생산하거나 가정에서 식초제품을 사용할 경우에 오염을 일으키는 초산균의 생육에 관하여 배양조건 및 생육억제 방법을 검토하였다. 초산균에 오염되어 균막이 형성된 식초로부터 초산균을 분리하여 형태학적, 배양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Acetobacter속에 포함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치배양 기간 동안에 셀룰로오스 생산량을 확인하고자 14일간 배양한 결과 두꺼운 셀룰로오스를 생성하여 Acetobacter xylinum으로 판단되었으며 7%이상의 초산농도와 10%의 에탄올농도, 1.5%의 NaCl농도, $10^{\circ}C$ 이하와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생육할 수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a strain that contaminates the manufacturing of rice vinegar by Acetobacter pasteruianus was invetigated. Conditions for inhibiting pellicle formation and growth of the contaminant, which occurs during static culture and storage, were also observed. Examining the morpholog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치배양 식초의 발효과정, 숙성과정에서 오염되거나 식초를 사용하는 도중에 오염되어 식초 표면에 균막을 형성시키고, 식초를 혼탁하게 만들며 침전을 발생시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초산균의 생육특성과 셀룰로오스 생산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rieg, N.R and Holt, J.G.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The Williams and Wilkins Co., Baltomore, MD, USA (1984) 

  2. Asai, T Acetic Acid Bacteria. University of Tokyo Press, Tokyo. (1964) 

  3. Uhlig, H., Karbaum, K and Steudel, A. Acetobacter methanolicus sp. nov., and acidophlilic facultatively methylotrophic bacterium. Int. J. Syst. Bacterial. 36: 317-322 (1986) 

  4. Inoue, R, Sunakawa, M., Mori, A and Fukuda, M.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gene encoding the 72-kilodalton dehydrogenase subunit of alcohol dehydrogenase from Acetobacter aceti. J. Bacteriol. 171: 3115-3122 (1989) 

  5. Kuga, S. Bacterial cellulose. The possibility of raw material for paper making fiber. Mokchae Konghak 20: 3-8 (1992) 

  6. Toyosaki, H., Naritomi, T., Seto, A., Matsuoka, M., Tsuchida, T. and Yoshinaga, F. Screening of bacterial cellulose-producing Acetobacter strains suitable for agitate culture. Biosci. Biotechnol. Biochem. 59: 1498-1502 (1995) 

  7. Brown, A.J. An acetic ferment which forms cellulose. J. Chem. Soc. 49: 432-439 (1886) 

  8. Dudman, W.F. Cellulose production by Acetobacter acetigenum and other Acetobacter spp. J. Gen. Microbiol. 21: 312-326 (1959) 

  9. Williams, W.S. and Cannon, R.E. Alternative environmental roles for cellulose produced by Acetobacter xylinum. Appl. Environ. Microbiol. 55: 2448-2452 (1989) 

  10. Schramm, M. and Hestrin, S. Factors affecting production of cellulose at the air/liquid interface of a culture of A. xylinum. J. Gen. Microbiol. 11: 123-129 (1954) 

  11. Borzani, W. and de Souza, S.J Mechanism of the film thickness increasing during the bacterial production of cellulose on non-agitated liquid media. Biotechnol Lett. 17: 1271-1272 (1995) 

  12. Embuscado, M.E., BeMiller, J.N. and Marks, J.S.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produced by Acetobacter xylinum. Food Hydrocol. 10: 75-82 (1996) 

  13. Ko, J.Y., Shin, KS., Yoon, B.D. and Choi, W.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etobacter xylinum GS11 producing cellulose.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139-146 (2000) 

  14. Masaoka, S., Ohe, R. and Sakota, N. Production of cellulose from glucose by Acetobacter xylinum. J. Ferment. Bioeng. 75: 18-22 (1993) 

  15. Park, S.H., Yang, Y.K., Hwang, J.W., Lee, C.S. and Pyun, Y.R. Microbial cellulose fermentation by Acetobacter xylinum BRC5.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598-605 (1997) 

  16. Robert, E.C., and Steven, M.A Biogenesis of bacterial cellulose. Microbiol. 17: 435-447 (1991) 

  17. Toda, K., Asakura, T., Fukaya, M., Entani, E. and Kawamura, Y. Celllulose production by acetic acid-resistant Acetobacter xylinum. J. Ferment. Bioeng. 84: 228-231 (1997) 

  18. Park, J.P., Kim, S.J., Ryu, J.C., Pyo, B.S. and Kim, S.W Some properties of Acetobacter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vinegar. Korean J. Biotechnol. Bioeng. 8: 397-404 (1993)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