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지도 및 수용도에 대한 연차별 비교
A Three-year Survey on Korean Consumer's Awarenes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Genetically-modified Foods; Years 2000-2002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6 = no.172, 2003년, pp.1155 - 1161  

김명희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재욱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채경연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세원 (동해대학교 관광외식산업과) ,  김연순 (조선대학교 가정교육과) ,  경규항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 동안 각각 750명, 979명과 14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평균 65.4%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 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18.5% 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망형이 46.8%를 넘어서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았다. 한편, 유전자재조합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제초제 내성 콩에 대한 적절한 설명으로는 제초제에 견디는 유전자가 있지만 인체에 무해하다라고 답한 비율이 약 37.3%로 약 1/3정도 만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먹는 생물 유래의 식품에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바르게 알고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39% 정도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정도를 유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hree-year (2000-2002) survey on consumer's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netically-modified (GM) foods was conducted on random samples of Korean consumers. More than 65% of the respondents were exposed to some information related to GM foods. The greatest benefit of the development of GM foods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질문은 이미 두 차례에 걸쳐 외국에서 조사된 바 있는것(Table 4)으로 우리나라 국민들과 외국 사람들의 기초지식을 비교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임은 물론 생물학 기본지식과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과의 비교가 목적이었다. 외국의 연구는 Hoban(17)과 Monsanto사(13)가 따로 수행한 것으로서 일부 국가들이 겹치는 데, 연구결과가 매우 근접되는 경우(프랑스, 영국)가 있기는 하지만 일부 다른 나라들(독일, 미국, 캐나다)에서의 연구결과는 두 결과가 잘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적절한 조사방법이 고안되기 전까지는 전형적인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예비조사의 성격을 지녔더라도 우리나라 소비자의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지도 및 인식도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조사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M.H., Ahn, J.M., Park, S.W., Kim, Y.S. and Kyung, K.H. Survey of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food biotechnology in Korea. J. Food Hyg. Saf. 16: 152-158 (2001) 

  2. Kim, M.H., Kim, J.W., Chae, K.Y., Park, S.W, Kim, Y.S. and Kyung, K.H. Consumer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neticallymodified foods in Korea; 2000-2001. J. Food Hyg. Saf. 17: 157-165 (2002) 

  3. Avery, D.T. Why we need food biotechnology. Food Technol. 54: 132 (2000) 

  4. Aerni, P. Public attitudes towards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 developing countries. A comparison between Mexico and the Philippines.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Discussion Paper No. 10.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ambridge, MA, USA (2001) 

  5. Fischerhoff, B., Slovic, P. and Lichtenstein, S. How safe is safe enough? A psychometric study of attitudes towards technological risks and benefits. Policy Sci. 9: 127-152 (1978) 

  6. Millward Brown Australia. Biotechnology public awareness survey final report. (www.millwardbrown.com or www.biotechnology.gov.au/Whats_Newlindex.asp)(2001) 

  7.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 and Sales of Genetically-modified Foods in Korea.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Seoul, Korea (1999) 

  8. Kim, I.S. Survey of perception on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Korea. Are Korean consumers safe? pp. 38-45. Daejeon YMCA Citizens' Column, Daejeon, Korea (1999) 

  9. Saad, L. Biotech food remains fairly obscure to most Americans. Gallup News Service (2001) 

  10. Blaine, K. and Powell, D.A. Backgrounder, an on-farm comparison of agronomic, economic and consumer attitudes of genetically engineered and conventional sweet corn and potatoes in Ontario, Canada, 2000. University of Guelph survey (2001) 

  11. Anonymous. Most Americans can articulate expected benefits of food biotechnology. International Food Information Council (http://www.ific.org/proactive/newsroom/release.Vtml?id]18001) (2001) 

  12. Wirthlin Group Quorum Surveys. US consumers attitudes toward food biotechnology (http://www.ific.org) (1997, 1999, 2000) 

  13. Monsanto Co. Food biotechnology 7 nations consumers tracking study. Summary of Highlights (1999) 

  14. Kim, Y.C., Bahk, G.J., Lee, H.S. and Kim, D.Y. Attitudes to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Korea -Focus on food specialist-. J. Food Hyg. Saf. 14: 397-407 (1999) 

  15. Philips, P.W.B. and Isaac, G. GMO labeling, threat or opportunity, Agroforum 1(1998) 

  16. AFIC. Food biotechnology. Communication (http://www.afic.org) (2001) 

  17. Hoban, T.J. Seed Trade News (Ball Publ. Batavia, Ill) (1999) 

  18. Lee, C.Y. Safety burden of genetically modified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 confronting international society. Food Sci. Ind. 33: 46-49 (2000) 

  19. Lee, K. Food neophobia, major causes and treatments. Food Technol. 43: 62-73 (1989) 

  20. Anonymous. Environmental savior or saboteur? Debating the impacts of genetic engineering. The Pew Initiative on Food and Biotechnology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