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초제 Mefenacet의 토양 중 분해에 미치는 토양유기물과 토양수분에 의한 영향
Influence of soil organic matter and moisture on the persistence of the herbicide mefenacet in soil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7 no.3, 2003년, pp.182 - 187  

김성민 (크롭사이언스 코리아(주) 기술연구소) ,  조일규 (크롭사이언스 코리아(주) 기술연구소) ,  경기성 (농업과학기술원 농약안전성과) ,  이재구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초제 mefenacet의 토양 중 분해 특성을 알아 보고자 2 종의 토양을 비살균 토양을 대조로 하여 몇가지 조건으로 전처리한 다음 120일 동안 항온배양하면서 그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약제처리 후 70일 경과시 대조토양은 $55\sim63%$가 분해 소실되었으나 살균토양에서는 $32\sim33%$, 담수토양에서는 $33\sim35%$가 소설 되어 mefenacet의 분해에 토양 미생물의 활성이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efenacet의 토양 중 분해에 미치는 수분함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90 일간 배양 시 그 반감기는 포장 용수량의 20%와 50%에 해당하는 7.8%, 19.5%의 수분이 첨가된 토양에서는 각각 83과 82일 이었으며 80%인 31.2%의 수분이 첨가된 토양의 반감기가 61일로 단축되어 토양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mefenacet의 토양 중 분해 소실이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mefenacet의 토양 중 분해 소실에는 토양 성분 중 유기물 함량과 토양 수분 함량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토양 미생물이 토양 성분과 더불어 mefenacet의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lucidate a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herbicide mefenacet in soil, the persistence in soils was studi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for $90\sim120$ days at $28^{\circ}C$. Mefenacet residues were determined from the two soils which pre-treated by sterilizat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생물에 의한 농약의 분해에 관여하는 요인은 토양 수분, 유기물 함량, 산도, 온도 그리고 광물조성 등이며 특히 토양 수분과 유기물의 함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Richardson과 Epstein, 1971; Green, 1974; Rijnaarts 등, 1990). 따라서 본 실험 에서는 논 토양의 전처리 과정이 서로 상이한 조건하 에서 mefenacet의 분해소실 경향을 알아보고 토양의 구성성분 중에서 토양 유기물, 토양 미생물의 활성 및 토양 수분함량이 mefenacet의 잔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derson, R. L. (1985) Environmental effects on metsulfuron and chlorsulfuron bioactivity in soil. J. Environ. Qual. 14: 517-521 

  2. Green, R. E. (1974) Pesticide-clay-water interactions. In Pesticide in Soil and Water. W.D. Guenzi(ed.), SSSA, Madison, WI, USA, pp.3-37 

  3. Hurle, K. and A. Walker (1980) Persistence and its prediction. In Interactions between herbicides and the soil; R. J. Hance(ed.). Academic Press, London, pp.83-122 

  4. Nakamura, N., K. Kobayashi, I. S. Shim and S. Nagatsuka (1996) Influence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 on mefenacet concentration in soil water and the phytotoxic activity. Weed Research, Jpn. 41(4): 339-343 

  5. MacRae, I. C. (1989) Microbial metabolism of pesticide and structurally related compounds. Rev. Environ. Contam. Toxicol. 109: 1-88 

  6. Richardson, E. M. and E. Epstein (1971) Retention of three insecticides on different size soil particles suspended in water. Soil Sci. Soc. Amer. Proc. 35: 884-887 

  7. Rijnaarts, H. H. M., A. Bachmann, J. C. Jumelet and A. J. B. Jehnder (1990) Efffect of desorption and intraparticle mass transfer on the aerobic biomineralization of $\grave{a}$ -hexachlorocyclohexane in a contaminated calcareous soil. Environ. Sci. Technol. 24: 1349-1354 

  8. Sato Y. (1992) Degradation of fenitrothion by bacteria isolated from soil. J. Jpn. For. Soc. 74(6):482-487 

  9. Schoen, S. R. (1987) The effects of various soil factors and amendments on the degradation of pesticide mixtures. J. Environ. Sci. Health 22(3): 347-377 

  10. Tomlin, C. (1994) The pesticide manual (10th ed.) pp. 649-650,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K 

  11. Wang, Q., W. Yang and W. Liu (1999) Adsorption of acetanilide herbicides on soil and its correlation with soil properties. Pestic. Sci. 55: 1103-1108 

  12. 농촌진흥청 농약연구소 (1992) 농약 잔류성 pp. 260-261 

  13.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 토양, 식물체, 토양 미생물 pp.38-40 

  14. 문영희, 김윤태, 김영석, 한수곤 (1993) 토양중 살충제 ethoprophos의 분해성 및 이동성의 측정과 예측에 관한 모델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12(3): 209-218 

  15. 이완석, 김장억 (1998) 제초제 oxadiazone의 토양 흡 .탈착에 미치는 유기물의 함량과 산화환원효소의 영향. 한국농약과학회지 2(3): 70-78 

  16. 한승수, 박필제, 정재훈, 임효섭 (1996) 수종 토양세균에 의한 살균제 myclobutanil의 분해력. 한국환경농학회지 15(1): 25-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