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경 연차에 따른 휴경지 군락내 식생 특성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2 no.1, 2003년, pp.53 - 59  

강병화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마경호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원) ,  심상인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식물자원환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휴경지의 식생 특성을 묵밭과 묵논과 같이 토양의 수분상태가 다른 조건과 휴경 연차에 따라 조사하였다. 같은 묵논이라도 습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와 건조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 식생의 차이가 컸으며, 건조한 상태에서 다년생으로의 천이가 빠르게 일어났다. 천이 단계는 휴경 기간보다 휴경지의 토양 조건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다. 묵밭의 경우 휴경 2년차에 우점하였던 돌콩, 칡, 쑥, 새팥 노랑물봉선 등은 휴경이 6년간 진전된 경우 칡, 억새, 돌콩, 쑥 등의 순으로 우점도가 변하였다. 논을 건답상태로 휴경한 경우 3년차에는 들깨풀, 돼지풀i 강아지풀 등이 주요 우점 초종이었으나 7년차에는 억새, 미국쑥부쟁이, 쇠치기풀 등이 우점하여 다년생으로 천이되었다. 논을 습답 조건으로 휴경한 경우 수생 잡초가 우점하였다. 7년차에는 갈대, 돌콩, 부들, 고마리가 우점하였으나, 11년차에는 갈대, 줄, 고마리, 부들이 우점하는 초종이었다. 휴경지의 식물종 다양성은 건조한 토양 조건보다 다소 습한 조건의 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egetational difference in fellowed fields at the different seral stages. Plant species were surveyed on the fields having different cropping history, soil moisture conditions, and the duration of set-aside. Effects of soil moisture condition and fellow...

주제어

참고문헌 (20)

  1. Kang, B. H and Shim, S. I. (1997) Effects of edaphic conditions and fallowed periods on vegetation of fallowed fields located in suburban region. Research Report of the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37, 1-22 

  2. Corbert, S. A. (1995) Insect, plants and succession: advantages of long term set-aside, Agric. Ecosystems Environ. 53, 201-217 

  3. Hansson, M and Hagelfors, H (1998) Management of pennanent set-aside on arable land in Sweden, J. Appl. Ecol. 35, 758-771 

  4. Kosola, K. R. and Gross, K. L. (1999) Resource competition and suppression of plants colonizing early successional old fields, Oecologia 118, 69-75 

  5. Wilcox, A. (1998) Early plant succession on former arable land, Agric. Ecosystems Environ. 69, 143-157 

  6. Connell, J. H. and Slayter, R O. (1977) Mechanism of succession in natural comnumites and their role in community stability and organization, Am. Nat. 111, 1119-1144 

  7. Brown V. K. B. and Gange, A. C. (1989) Differential effects of above- and below ground insect herbivory during early succession, Oikos 54, 67-76 

  8. Huberty, L. E, Gross, K. L. and Miller, C. J. (1998) Effects of nitrogen addition on successional dynamics and species diversity in Michigan old-fields, J. Ecol. 86, 794-803 

  9. Steffan-Dewenter, I. and Tscharntke, T. (1997) Early succession of butterfly and plant communities on setaside fields, Oecologia 109, 294-302 

  10. Carson, W. P. and Barrett, G. W. (1988) Succession in old-field plant communities: effects of contrating types of nutrient enrichment, Ecology 69, 984-994 

  11. Van der Putten, W. H, Mortimer, S. R, Hedlund, K, Van Dijk, c., Brown, V. K., Leps, J., RodriguezBarrueco, C, Roy, J., Diaz Len, T. A, Gormsen, D., Korthals, G. W., Lavorel, S., Santa Regina, I. and Smilauer, P. (2000) Plant species diversity as a driver of early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s: a multi-site approach, Oecologia 124, 91-99 

  12. Na, Y. E, Rho, K. A, Lee, S. B., Han, M. S. and Park, M. E. (1996)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paddy ecosystem, J. Kor. Soc. Soil Sci. Fert. 29, 199-206 

  13. Han S. U., Chung, G. C., Chon, S. U., Lee, H. J. and Guh, J. O. (1998) Changes of physio-chemical soil properties, major soil nutrient contents, and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during fallow period, Korean J. Environ. Agric. 17, 211-214 

  14. Song, J. S. (1977) A Phytosociological stud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ed fields of Korea, Kor. J. Ecol. 20, 191-200 

  15. Lee, T. B. (1982)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rnonsa, Seoul, p.990 

  16. Park, S. 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371 

  17. Ko, K. S. (1993) An observation of Korean wild plants in color, Woosungmunhwasa, Seoul, p.511 

  18. Kang, B. H. and Shim, S. I. (1995) Problem weeds in Korea,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Research 3, 1-22 

  19. Kang, B. H. (1998) Weeds and exotic weeds occurred in rural and urban regions, Kor. J. Weed Sci. 19, 34-69 

  20. Kang, B. H, Shim, S. I., Kim, C. S. and Rho, Y. D. (2001) The feature of weed occurrence in Korea, Kor. J. Weed Sci. 21, 83-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