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당파에 따른 복식 연구
Research on the Influences of Political Forties on Fashion Styles in Chosu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3 no.1, 2003년, pp.77 - 85  

구남옥 (전주대학교 전통패션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llowing results are from a research on the influences of the political parties on the fashion styles. which political power was strugg1ed with each other were one of the political Phenomena featuring Chosun Dynasty. Partisan fashion styles are mainly divided into two groups : NohRon (노론)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을 종합하 여 두식, 의복, 색에 나타나 있는 각 당파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 먼저 여자 복식 중 두식의 경우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방법은 당파에 따른 복식이 나타나 있는 단행본 및 논문 등의 문헌자료들을 1차 중심 자료로 하고 고문헌과 민속조사보고서, 복식 유물, 회화 등의 2차 자료를 근거로 하여 이를 입증하고 자 하였다. 따라서 문헌자료에는 언급되어 있으나 2 차 자료로 입증되지 않는 부분은 본 연구에서 제외 하였다.
  • 당시 부녀 자들의 모습만 보아도 그 가문의 당을 알 수 있었 다고 하며 옷차림새를 두고 양반 상놈 운운하며 반 대당을 간접적으로 헐뜯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속 설이 당쟁이 격심하였던 일부지방에서는 근래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복식과 연관된 당쟁의 흔적들이 문헌이나 전래담, 증언 등에서 발견되고 있으므로 본 고에서 조선시대 당파에 따른 복식현 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상태 (1997), 한국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05 

  2. 이기백 (1991). 한국사신론. 서울. 일조각. p. 290 

  3. 이성무 (2000). 조선시대 당쟁사 1. 서울: 동방미디어 

  4. 김상태 (1997), 한국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07 

  5. 이규태 (1999). 한국인의 의식구조 4. 서울. 신원문화사. p. 49 

  6. ‘練藜室記述別集’卷13 光海朝 趙克善日自光海中年 來率玄錦爲表以空其 中貼頭上 以爲足頭里 一時好尙遂變國俗 

  7. 석주선 (1992) 한국복식사. 서울: 보진재. P. 64 

  8. 고부자 (1989). 우리나라 혼례복의 민속학적 연구. 한국복식, 7, p. 92 

  9. 조효순 (1989). 조선조수복의 풍속사적 고찰. 복식, 10, p. 35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p. 158 

  11. 유희경 (1995).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35 

  12. ‘集退溪’, 言行錄, 卷之三 金就礪造幅市深衣以送 先生曰 幅市似僧 言失其制 著之似未穩 乃服深衣而加程子冠 

  13. 이기백 (1991). 한국사신론. 서울. 일조각. p. 286 

  14. ‘與?堂全書’ 第1集. 茯菴李基讓墓誌銘 附見 閒話條, 324 上 

  15. 정혜경(1992). 실학사상기의 복식문화 I. 의류학회지, 16(2). pp. 152-153 

  16. 이경자 (1970). 여자 저고리 소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1 

  17. 김문자 (1981). 조선시대 저고리 깃에 대한 연구. 복식, 5, p. 194 

  18. 문화재관리국 (1986)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의생활편). 서울: 문화공보부 

  19. 이은주, 홍나영, 임재영 (1994). 서민복식문화에 관한 연구1 - 경북 금오산 주변지역의 민속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의류학회지, 18(5) 

  20. 박성실 (1996). 조선조 치마재고: 16C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30, PP. 295-306 

  21. 진준현 (1999). 단원 김홍도 연구. 서울. 일지사. pp. 338-368 

  22. 유희경. 김미자, 강순제 (1989). 소렴의. 안동김씨분묘발굴조사보고서. 충남: 온양민속박물관. p. 254 

  23. 이은주 (1998). 한국 전통복식에 투영된 좌 . 우의 개념. 복식, 38, p. 347 

  24. 김유경 (1994) 옷과 그들 서울: 삼신각. p. 130 

  25. 고복남 (1996). 한국전통복식문화사. 서울: 일조각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