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여성의 일상용 머리쓰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men's Daily Headdresses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6, 2015년, pp.79 - 98  

강서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김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studied women's headdresses that appeared in th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This examined the shapes of women's headdresses painted in genre paintings, record paintings and nectar ritual paintings from Joseon Dynasty and compared them to literatures and relics in order to analyze th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18・19세기 풍속화는 조선여성의 쓰개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는데 시대적 한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선 전・중기의 기록화(記錄畵)와 감로도(甘露圖)도 함께 활용하고자 한다. 기록화는 역사적인 사건이나 특정한 인물들을 사실에 충실하게 묘사하는 기념적인 기록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그려져 왔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의 일상생활을 그린 여러 회화자료에 나타난 여성의 머리쓰개를 중심으로 고찰하며, 관련된 유물 및 문헌 기록을 함께 비교 분석한다. 조선 여성이 일상적으로 착용하던 쓰개에 관한 기록은 매우 제한적이며, 출토되는 유물만으로는 실제 착용여부를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에 회화 고찰은 제한된 사료(史料)를 보완하고 다양한 착용례와 형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회화를 중심으로 여성의 일상적 쓰개의 특징과 사용례를 살펴보고자 상당수의 풍속화와 기록화 등을 자세하게 고찰하였으나, 불분명하게 그려진 그림도 적지 않기에 논문에서 배제된 자료들이 있고, 그로 인해 당시의 풍속이 충분하게 반영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회화와 출토 유물을 연계하여 연구함으로써 상류층 여성의 예장용 두식이 아닌, 기록이 흔하지 않은 일반 여성들의 일상적 두식의 정체를 일면(一面)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회화에 묘사된 여성 모자는 정수리 모양에 따라 둥근 형과 위로 돌출된 유형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이 두 가지 양식을 문헌 및 출토 유물과 비교하여 여성 모자의 정체 및 사용례를 추론해 보고자 한다. [Table 2]는 여성의 묘역에서 출토된 챙 없는 모자 형(족두리 포함)의 유물 총 24점을 시기 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 조선 여성이 일상적으로 착용하던 쓰개에 관한 기록은 매우 제한적이며, 출토되는 유물만으로는 실제 착용여부를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에 회화 고찰은 제한된 사료(史料)를 보완하고 다양한 착용례와 형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여성의 일상에 나타난 머리쓰개의 유형 및 사용을 고찰함으로써 남성과 차별되는 여성용 쓰개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족두리가 육합모와 구별되는 차이점은 무엇인가? 주로 검은색을 사용하여 머리카락과 함께 착용했던 모자류는 가체가 유행하였던 시기에 적은 비용과 쉬운 방법으로 머리 모양을 보완할 수 있는 간편한 수발 도구로서의 기능이 있었다고 본다. 족두리는 육합모와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모체가 일곱 조각으로 연결되어 있고, 앞으로 기울어진 형상에서 육합모와 확연히 구별된다. 조선 후기 회화에서 주로 예장용으로 착용된 사례가 많이 보이지만, 문헌과 유물을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육합모와 마찬가지로 일상용으로 사용된 모자에서 기원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육합모는 무엇인가? 육합모란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천 조각 여섯 개 를 이어 모자 상부를 둥글게 만든 모자로, [Table 2]에 정리된 여성의 모자 유물 24점 가운데 17점으로 가장 많이 출토되었다. 소재는 흑색(黑色)이나 쪽으로 짙게 염색한 주(紬)・단(緞) 등의 견직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무명이나 모직(펠트)이 사용된 경우도 있고, 적성 이씨(積城 李氏, 1458-1538)의 겹모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자가 안쪽에 솜을 도톰하게 두른 솜모자이다.
육합모의 소재로 주로 사용된 것은 무엇인가? 육합모란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천 조각 여섯 개 를 이어 모자 상부를 둥글게 만든 모자로, [Table 2]에 정리된 여성의 모자 유물 24점 가운데 17점으로 가장 많이 출토되었다. 소재는 흑색(黑色)이나 쪽으로 짙게 염색한 주(紬)・단(緞) 등의 견직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무명이나 모직(펠트)이 사용된 경우도 있고, 적성 이씨(積城 李氏, 1458-1538)의 겹모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자가 안쪽에 솜을 도톰하게 두른 솜모자이다. 육합모 중에는 끈을 달아 착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거나 모자 정수리에 매듭 장식을 단 것,윤대의 너비를 달리 한 것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n, M. S. (2014). Characteristics and sewing method of Jeju Yang's(1589-1687) costumes which excavated from Chonnam Naju. Study of Namdo Folk. 25, 177-204. 

  2. Andong National University Museum. (ed.) (2000).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Kosong Yi graves at Chongsang-dong, Andong. Andong, Republic of Korea: Andong National University Museum. 

  3. Byeong-ge-jib [병계집] (since the late 18th century). 

  4. Cheong Gye Cheon Museum. (ed.) (2008). Gisanpungsokdo [기산풍속도: 그림으로 남은 100년 전의 기억]. Seoul, Republic of Korea: Cheong Gye Cheon Museum. 

  5. Choi, H. J. (2012). A study on excavated headgears in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Republic of Korea). Retrived from http://lib.dankook.ac.kr/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71594 

  6. Choi, J. H. (2002). (A) Study on dress during the 16th century of Chosun Dynasty through Kiyeonghoido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371 

  7. Chung, B. M. (2011). Portrayal and significance of 'Everyday Life' in the Genre Paintings of Late Joseon. Art History, 25, 331-358. 

  8.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ed.) (2008). Women costume of Joseon dynasty. Cheongju, Republic of Kore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ed.) (1997). Important folk materials II. Daejeon, Republic of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0. Daejeon Metropolitan C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ed.) (2007). Excavated costumes of Yeosan Song's. Daejeon, Republic of Korea: Daejeon Metropolitan City. 

  11.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ed.) (2007). Engagement with Korean art : 100 masterpieces from the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Seoul, Republic of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12. Geondeulbaw Museum. (ed.) (1991).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Jinju Ha graves. Daegu, Republic of Korea: Geondeulbaw Museum. 

  13. Gukjo-orye-ui [국조오례의] (1474). 

  14. Gukjosok-orye-ui [국조속오례의] (1744). 

  15. Gwangju Folk Museum. (ed.) (2000). Korean clothes in the middle of Chosn Dynasty. Gwangju, Republic of Korea: Gwangju Folk Museum. 

  16. Gyeongdojabji [경도잡지] (18-19th century). 

  17.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2002). Excavated Costumes from Jinju-Ryu's.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18. Hanyang University Museum. (ed.) (2003). Hanyang University Museum [한양대학교박물관개관기념도록]. Seoul, Republic of Korea: Hanyang University Museum. 

  19. Imwon-gyeongje-ji [임원경제지] (19th century). 

  20.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ed.) (2005). (Incheon Seoknamdong) Excavated costumes. Seoul, Republic of Korea: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21. Joseonwangjosillok [조선왕조실록] (n.d.). 

  22. Jung, G. E. (2013). Empirical investigation research on woman's Garima in Choson Dynasty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pusan.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600 

  23. Joongangilbosa. (ed.) (1985). Pungsokhwa [한국의 미19-풍속화]. Seoul, Republic of Korea: Jungangilbosa. 

  24. Kang, W. B., Kim, S. H. (1995). The world of nectar ritual painting. Seoul, Republic of Korea: Yekyong. 

  25. Kim, E. J., Kang, S. C. (2007). A study on the Gamt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6), 112-121. 

  26. Kim, J. K. (2014). Research on excavated costume of Manggeon(Headband) and Somoja(Skullcap) of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w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756405 

  27. Kim, J. (2008). (A) Study on the woman's ceremonial headdress in Joseon perio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38 

  28. Kim, J., Hong, N. Y. (2010). Making Method and Use of the 18th Century Jokduri in Ijae-nan-g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8), 86-99. 

  29. Kim, J. Y. (2012).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excavated costumes from Hamyang Park's : female, middle to late 1500'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Republic of Korea). Retrived from http://lib.dankook.ac.kr/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63507 

  30. Kim, M. J. (2006). (A) Study on the Jeoksung-Lee (female, 1458-1538)'s jeogori : A find excavated from Gwangju, representative of early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dankook.ac.kr/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55 

  31. Kim, M. S. (2004). A study on folk costumes of the 17th century from Okcheon, Kore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7(1), 55-64. 

  32. Kim, Y. S. (1996). Development of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ory of Korean history in Sookmyung, 2, 201-216. 

  33. Koh, B. J. (1999). Excavated grain Remains of Goryeong-Shin's. Korean Costumes, 17, 41-128. 

  34. Lee, E. J. (2001). The costume culture in early 17th century perspectives through excavated letters of Hyun-Poong Kwak's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8), 25-41. 

  35. Lee, E. J., Ha, M. E., Anh, T. H. (2007). The historical value of excavated costume in late 16th century from three tombs of the Choi family originated Jeonju in Mungyeong.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0(1), 155-171. 

  36. Lee, K. H (1998). Genre scenes in nectar ritual paintings of Korea.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20, 79-107. 

  37. Lee, M. E. (2013). Excavated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7th Sangju Museum College of Traditional Culture. Sangju Museum. Sangju, Republic of Korea: Sangju Museum. 

  38. Lee, T. H. (2006). Women's customs and women's beauty sense in genr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13, 35-73. 

  39. Mukje-ilgi [묵재일기] (16th century). 

  40. Museum of Old Roads. (ed.) (2010). Story involved in Jungchimak.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41. Museum of Old Roads. (ed.) (2005). Where has she been in her Geumseondan skirt. Seoul, Republic of Korea: Andong National University Museum. 

  42. National Gugak Center. (ed.) (2001). Paintings of banquets during the Joseon dynasty.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Gugak Center. 

  43. National Gugak Center. (ed.) (2003). Joseon dynasty genre painting of music 2.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Gugak Center. 

  44. National Museum of Korea. (ed.) (2002). Genr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45. National Museum of Korea. (ed.) (2007). Joseon Portraits I.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4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d.) (1999). Korean cultural properties of the Guimet National Museum of asian Arts, France.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4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d.) (2012). Conservation of artifacts excavated from Jinseong Lee's grave.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48. Nongpo-mundab [농포문답] (18th century). 

  49. Park, S. S. (1992). Study on exhumed clothing of the e arly Chosun dynasty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ved from http://library.sejong.ac.kr/%2Fsearch%2FDetailView.ax%3Fsid%3D1%26cid%3D37307 

  50. The Center for the Study of Korean Arts. (ed.) (2000). Kansongmunhwa. 59. Seoul, Republic of Korea: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thnic Art. 

  51. The Center for the Study of Korean Arts. (ed.) (2002). Kansongmunhwa. 62. Seoul, Republic of Korea: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thnic Art. 

  52. The Center for the Study of Korean Arts. (ed.) (2011). Kansongmunhwa. 81. Seoul, Republic of Korea: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thnic Art. 

  53. Seugjeongwon-ilgi [승정원일기] (n.d.). 

  54.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ed.) (2003). (The) elegance and beauty of the life of the Yangban in the Joseon dynasty. Seoul,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55. Yagok-jib [야곡집] (17th century). 

  56. Yu, O. K. (2002). Genr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Korea : Republic of Korea, 266-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