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체배양에 의한 Monascus anka의 적색색소 생성의 최적 조건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duction of Red Pigment by Monascus anka on Solid Cultur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2, 2003년, pp.155 - 160  

이승민 (계명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현수 (계명대학교 미생물학과) ,  유대식 (계명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ascus anka KCTC 6121을 이용하여 백미에 의한 고체 배양을 통한 실험균의 적색 색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실험균주가 생산하는 적색색소 생산의 최적 배양조건은 초기 수분함량 25%, 2.5$\times$$10^{6}$/mL의 실험균주의 포자, 배양온도3$0^{\circ}C$, 배양습도 90%에서 배양 12일째가 가장 양호했다. 생산된 적 색 색소의 추출은 80% 에탄올에서 2일간 추출이 가장 양호했으며 2일 이후의 색소 추출은 색소 추출량에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균주로부터 추출한 색소의 빛에 대한 안정성은 반 직사광선에서 색소의 색상이 30일간 8% 미만으로 감소하여 햇빛에 대한 안정성은 비교적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ptimum cultural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red pigment from Monascus anka KCTC 6121 on solid culture were studied. The optimal conditions were found that the strain was cultivated on polished rice with 25% initial moisture content, at 3$0^{\circ}C$, 90% humidity for 12 days. I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붉은 곰팡이인 Monascus anka KCTC 6121 을 사용하여 적색 색소의 생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최적 배양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함유한 백미가 된다. 즉 침지하기 전의 백미 무게보다침 지한 후 의 무게는 약 45% 증가하므로 함수율이 45% 라 가정했다. 최초 45%의 함수율인 백미를 건조시키면서 무게를 측정하여 수분 함유율이 각각 45%, 40%, 30%와 25%인 백미를 증자하여 사용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oon BS, Bae KY. 1998. The Newest Food Hygienics. Soohaksa, Seoul. p 358-361. 

  2. Park SY. 1992. Aesthetics of food color, pigment. The Monthly Food Industry 5: 34-49. 

  3. Yu TS. 1999. Hong-ju and pigments produced by filamentous fungus Monascus. J Inst Nat Sci 18: 87-92. 

  4. Martinkova L, Patakova-Juzlova P, Krent V, Kucerova Z, Havlicek V, Olsovsky P, Hovorka O, Rihova B. 1999. Biological activities of oligoketide pigments of Monascus purpureus. Food Addit Contam 6: 15-24. 

  5. Chen FC, Manchand PS, Whalley WB. 1973. The chemistry of fungi. Part LXIV. The structure of monascin. the relative sterochemistry of azaphilones. J Chem Soc 21: 3577-3579. 

  6. Manhand PS, Whalley WB, Chen FC. 1973. Isolation and structure of ankaflavin. a new pigment from Monascus anka. Phytochem 12: 2531-2532. 

  7. Hiroi T, Shima T, Isobe A, Kimura S. 1975.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wo pigments obtained from Monascus sp. J Jap Soc Food Nutr 28: 487-491. 

  8. Fowell ADG, Robertson A, Whelley WB. 1956. Monascorubramine. J Chem Soc Special Publ 5: 27-35. 

  9. Wild D, Toth G, Humpf H-U. 2002. New Monascus metabolite isolated from red yeast rice (Angkak, red kogi). J Agri Food Chem 50: 3999-4002. 

  10. Wang HC, Bau YS. 1977. Pigment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fast neutron and X-ray-induced strains of Monascus purpureus. Went Plant Physiol 60: 578-581. 

  11. Martinkova L, Juzlova P, Vesely D. 1995. Biological activity of polyketide pigments produced by the fungus Monascus. J Appl Bacteriol 79: 609-616. 

  12. Kim CS, Rhee SH, Kim I. 1977. Studies on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dible red color pigment by mold (Monascus sp.). Kor J Food Sci Technol 9: 277-283. 

  13. Lin CF. 1973. Isolation and cultural conditions of Monascus sp. for the production of pigment in a submerged culture. J Ferment Technol 51: 407-414. 

  14. Yoshimura M, Yamanaka S, Mitsugi K, Hirose Y. 1975. Production of Monascus-pigment in a submerged culture. Agric Biol Chem 39: 1789-1795. 

  15. Bau YS, Wong HC. 1979. Zinc effects on growth, pigment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Monascus purpureus. Physiol Plant 46: 63-67. 

  16. Wong HC, Lin YC, Koehler PE. 1981. Regulation of growth, pigmentation of Monascus purpureus by carbon and nitrogen concentrations. Mycologia 73: 649-654. 

  17. Lin CF, Suen SJT. 1973. Isolation of hyperpigment productive mutants of Monascus sp. F-2. J Ferment Technol 51: 757- 759. 

  18. Hiroi T, Shima T, Suzuki T, Tsukioka M, Ogasawara N. 1979. Hyperpigment-productive mutant of Monascus anka for solid culture. Agric Biol Chem 43: 1975-1979. 

  19. Wong HC, Koehler PE. 1981. Mutant for Monascus-pigment production. J Food Sci 46: 956-957. 

  20. Evans PJ, Wong HY. 1984. Pigment production from immobilized Monascus sp. utilizing polymeric resin adsorption. Appl Environ Microbiol 47: 1323-1326. 

  21. Chang U, Kim HS, Son CH, Bae JH, Yu JH. 1980. Studies on the yellow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sp. CS-2. Kor J Appl Microbiol Bioeng 8: 119-123. 

  22. Hesseltin CW. 1965. A millenium of fungi, food and fermentation. Mycologia 57: 149-197. 

  23. Kim HS, Kim DH, Yang HS, Pyun YR, Yu JH. 1979. Studies on the red pigment by Monascus sp. in submerged culture. Kor J Appl Microbiol Bioeng 7: 23-30. 

  24. Juzlova P, Martinkova L, Kren V. 1996. Secondary metabolites of the fungus Monascus: a review. J Ind Microbiol 16: 163-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