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무 동치미 숙성 중 이화학적 .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urnip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2, 2003년, pp.167 - 174  

오상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영미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선경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성진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재래 종 순무인 강화도산 자색 순무(뿌리 껍질의 색이 자색)로 동치미를 담구어 18$^{\circ}C$에서 24시간 방치 후 $0^{\circ}C$ 에서 70일가지 경시적으로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 직후 5.75이었으나, 숙성 10 일 이후부터 크게 감소하여 숙성 적기인 숙성 40일에는3.9이었고, 산도 역시 숙성 10일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숙성 적기인 숙성 40일에는 0.,36%이었다. 순무 동치미 숙성 기간 중의 염도는 1.3%정도를 유지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6.0~7.4$^{\circ}$Brix이었고 탁도는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숙성 60일 이후에 감소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숙성이 경과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가 숙성 30일 이후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산균 수는 숙성 10일 이후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숙성 40일 경까지 높았다가 그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순무 동치미의 자색 색소인 안토시아닌 함량은 국물과 고형물 모두 숙성 기간 40일 경까지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는데, 국물의 붉은 정도인 Hunter system의 a값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TPA측정 결과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도, 파쇄성은 감소하였으나 탄력성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숙성적기인 숙성 40일에 단맛, 감칠맛 및 전체적인 수용도 점수가 유의 적으로 논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숙성 40일 이후부터 숙성 60일까지의 전체적인 수용도는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은 값을 나타내어(5.1~5.6점), 가식기는 숙성 60일 이내로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urnip dongchimi were examined during fermentation at $0^{\circ}C$. Salt concentrations of dongchimi liquid were around 1.3% during fermentation. Greater decrease in pH and reducing sugar content in solid, and higher increase of acidity, turbid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에서 재배된 순무로 동치 미 를 담그어 숙성되는 동안 색 변화를 중심으로 이화학적, 관능 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다즙성 : 숙성 기 간이 경 과됨 에 따라 다소 높아지 는 경 향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ang IH. 1991. History of Culture in Korea (II). Samyoungsa, Seoul, Korea. p 197. 

  2. Park YK, Kim HM, Park MW, Kim SR, Choi IW. 1999.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urnip.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33-341. 

  3. Kim MR. 2000.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urnip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6: 568-576. 

  4. Kim MR, Lee KJ, Kim HY, Kim JH, Kim YB, Sok DE. 1997. Induction of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mice administered with various vegetab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 207-213. 

  5. Kim MR, Lee KJ, Kim HY, Kim JH, Kim YB, Sok DE. 1998. Effect of various kimchi extracts on the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of mice. Food Research Intl 31: 389- 394. 

  6. Kim JS, Kim IS, Cheong DH. 1959.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imchis. Part 1. Variation of components in the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Kwayeon Hwuibo 4: 35-40. 

  7. Kang KO, Sohn HJ, Kim WJ. 1991. Changes in chemical and sonsory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67-271. 

  8. Chung DH. 1970.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imchi (Part 3).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 34-37. 

  9. Kim HS, Whang KC. 1959. Microbiological studies on kimchis. Part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aerobic bacteria. Kwayeon Hwuibo 4: 56-63. 

  10. Whang KC, Chung YS, Kim HS. 1960. Microbiological studies on kimchis. Part 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erobic bacteria. Kwayeon Hwuibo 5: 51-55. 

  11. Kang KO, Ku KH, Lee JK, Kim WJ. 1991.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62-266. 

  12. Jhee OH, Kim MR. 1988. The change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radish kimchi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salt during fermentation. J Chungnam Home Economics 1: 57-68. 

  13. Moon SW, Cho DW, Park WS, Jang MS. 1995.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ongchim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1-18. 

  14. Kim MR, Rhee HS. 1993. Decrease of pungency in “radish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58: 128-137. 

  15. Lee MR, Rhee HS. 1990. A study on the flavor compounds of dongchimi. Korean J Soc Food Sci 6: 1-8. 

  16. Kang KO, Ku KH, Kim WJ. 1991. Combined effect of brining in hot solution and salts mixture addition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dongchim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559-56. 

  17. Kang KO, Kim JK, Kim WJ. 1991.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salts addition on dongchim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565-571. 

  18. Um DH, Chang HG, Kim WJ. 1997. Effect of pasteuriz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alt dongchimi juice. Korean J Soc Food Sci 13: 578-584. 

  19. Lee DH, Park SJ, Park JY. 1999. Effects of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the quality of dongchim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596-1603. 

  20. Hong KP, Park JY. 1998.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dongchim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02-607. 

  21. Jang MS, Moon SW. 1995. Effect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on dongchim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744-751. 

  22. Kim MJ, Moon SW, Jang MS. 1995. Effect of onion on Dongchim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330- 335. 

  23. Jang MS, Kim NY. 1997.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Korean J Soc Food Sci 13: 62-471. 

  24. Kim MJ, Jang MS. 1999. Effect of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Korean J Soc Food Sci 15: 459-468. 

  25. Kim DH, Chun YK, Kim WJ. 1994. Reduction of fermentation time for preparation of dongchimi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26-732. 

  26. Ko EJ, Hur SS, Park M, Choi YH. 1994. Development of ion beverage from dongchimi product by reverse osmosis concent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73-578. 

  27. Um DH, Chang HG, Kim JK, Kim WJ. 1997. Optimal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for low salt dongchimi juice preparation. Korean J Soc Food Sci 13: 578-584. 

  28. Kim MR, Kim MJ, Back JY. 2001.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added with soybeancurd wh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68-1075. 

  2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l Chemists, Inc., Virginia. p 918. 

  30. Forni E, Polesello A, Torreggiani D. 1993. Changes in anthocyanins in cherries (Prunus avium) during osmodehydration, pasteurization and storage. J Food Chem 48: 295-299. 

  31. Larmond E. 1977. Laboratory methods for sensory evaluation of food. Research Branch Canada Department of Agriculture Publication 1637. 

  32. SAS. 1997.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6.12. SAS Institute Inc., Cary, NC. 

  33. Yook C, Park KH, Ahn SY. 1985. Pre-heating treatment for prevention of tissue softening of radish root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447-453. 

  34.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35. Cho Y, Rh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7: 15-25. 

  36. Kim MR, Mo EK, Kim JH, Lee KJ, Sung CK. 1999.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natural plants on the prolongation of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kakdu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65-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