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지체아동의 거주형태별 및 장애등급별 영양상태 비교
Nutritional Statu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by Residence and by Degree of Handicap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8 no.1, 2003년, pp.112 - 119  

김창임 (혜전대학 식품영양학과) ,  박기순 (순천향대학교 응용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 ,  박영숙 (순천향대학교 응용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신지체 장애아동의 영양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특수학교의 재학생 중에서 만 10-12세의 자택 통학생 29명과 재활원생 35명(각각 45.3%와 54.7%)의 총 6:l명 (교육가능급 26.5%, 훈련가능급 64.1% 및 다운증후군 9.4%)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에너지 섭취량은 2,070.1 kcal (94.1% RDA), 칼슘은 603.9 mg (75.5%), 철 11.1 mg (92.5%), vt.A는 507.5 RE (84.6%) , vt.B$_2$는 1.1 g (88.2%) , 나이아신은 14.1 g (93.6%) 및 vt.C는 58.2 g (83.1%)으로 정상아의 권장량보다 낮게 섭취하였고 반년, 단백질은 75.3 g (136.9%)과 vt.Bl은 1.6 g (146.8%)은 높게 섭취하였다. 2) 거주형태별로 재활원생은 자택통학생보다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이 높았다. 부족수준(< 75% RDA)에 해당하 는 장애아 비율이 자택통학생에서 재활원생보다 많았고, 과잉섭취수준(> 125% RDA)에 해당하는 비율은 재활원생에서 자택통학생보다 많았다. 장애정도별로는 훈련가능급과 다운증후군보다 교육가능급에서 vt.C를 제외한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이 높았다. 3) 장애아동 식사의 MAR은 0..84로서 재활원생(0.90)이 자택통학생(0.76)보다 높았고 특히 재활원생은 칼습과 vt.C를 제외한 다른 영양소의 NAR이 0.9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 재택통학생보다 식사의 영양균형은 나았으며, INQ < 1의 영양소가 5개나 되었고 특히 재활원생에서 그 비율이 높아 영양밀도가 더 낮았다. 4) 끼니별 섭취량에서 자택통학생은 섭취식품 총량의 40%를 간식에서 섭취하였고 간식빈도도 잦아서 이들의 불량한 영양섭취는 간식과 관련된 문제로 추측되었다. 5) 장애아동의 영양소 섭취량은 신체적 및 식행동 변인 은 관련이 있으나 건강관련 생활습관이나 아동의 일반사항은 관련이 없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과 같이 재활원에서 생활하는 장애아들의 영양섭취는 자택통학생보다 양적으로 나았으나 질적으로는 부실하므로 이들 교육시설에서는 식품 및 음식 선택에 향상을 기해야 할 것이다. 특히 가정에서 자유롭게 식생활을 하는 자 택통학생에서 더욱 유의가필요하여 어머니를 대상으로 식사계획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한편 장애아 가정에서도 자녀를 돌보는 데에 힘겨워 하므로 장애아 교육시설을 확대하고 전문화된 영양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nutritional status of on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living at home or in institutions since early teenage years are nutritionally important. The subjects of 7 to 12 year old mentally retarded children attenending a special education school in Seoul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장애아의 영양섭취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거주형태별로 비교하고 또 장애등급별로 비교하였다. 본 조사가 제한된 수를 대상으로 조사된 한계점은 있으나 장애아의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자료가 부족한 우리 실정에서 이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장애아의 영양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의의를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erg K (1970): Effects of physical activation and of improved nutrition on the body composition of 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cta pediat Scand (suppl) 204: 53-69 

  2. Brooks D, McFadden S, Russel F (1989): Interdisciplinary feeding clinic assessments. In Nutritional assessment manual III: Needs of the handicapped/chronically ill child. University of Cincinnati 1989, pp.60-68 

  3. Chang NS (1998): Foodservice and Nutritional Management of Disabled Children. Repor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4. Cimino JA, Epel R (1985): Cooperman JM. Effect of diet on vitamin deficiencies in retarded individuals receiving drugs. Drug Nutr Interact 3: 201-204 

  5. Cravioto J, Robles B (1965): Evolution of adaptive and motor behavior during rehabilitation from Kwashiorkor. Am J Orthopsychiot 35: 449-464 

  6. Cully, Goyal K, Jolly DH, Mertz (1965): Caloric intake of children with Dawn's syndrome mongolism. J Pediatr 6: 772-775 

  7. Frank H, Krusen MD (1971):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WB.Saunders Company, pp.761-774 

  8. Gisel EG, Patrick J (1988): Identific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nable to maintain a normal nutritional state. Lancet 6: 283-286 

  9. Gouge AL, Ekvall SW (1975): Diets of handicapped childre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correlations. J Am Diet Assoc 80: 149-156 

  10. Green EM, McIntosh EN (1985): Food and nutrition skills of mentally retarded adults: assessment and needs. J Am Diet Assoc 85: 611-613 

  11. Hopman E, Csizmadia CG, Bastiani WF, Engels QM, Graaf EA, Cessie SL, Mearin LM (1998): Eating habits of young children with Down syndrome in the Netherlands- Adequate nutrient intakes but delayed introduction of solid food. J Am Diet Assoc 98: 790-794 

  12. Jung YH (1989): A Report of survey on the Nutritional Management of Mentally Retarded. Master Thesis, Hannam University 

  13. Kim JE (1977): Nutrition and behavior development. Korean J Nutrition 10: 72-77 

  14. Kim SH (2002): Ministry of education meaning of a passage result and propulsion direction. Health and Welfare Forum 3: 41-53 

  15. Kim SS, Kang SY, Kang SA, Kim JD (2000): Review on the obesity in mentally retarded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mental retardation). Korea University Sports Scientific Laboratory 11: 57-64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1): A survey of the disabled 2000, Repor 

  17. Kwak JK, Jeon CG (1996): A practice on meal guidance of disabled childre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Press 

  18. Lee YN, Kim WG, Lee SK, Chung SJ, Choi KS, Kwon SJ, Lee EW, Yoo DI (1992):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with a school lunch program, in socioeconomically high apartment compound of Seoul. Korean J Nutrition 25 (I): 56-72 

  19. Lindeman AK (1991): Resident managers' nutrition concerns for staff and residents of group hom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J Am Diet Assoc 91: 602-604 

  20. Mercer KC, Ekvall SW (1992): Conparing the diets of daul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live in intermediate care facilities and in group homes. J Am Diet Assoc 92 (3): 356-358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7, 2000):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Health. Nutrition) Survey in 1995, 1998 

  22. Park EJ, Moon HK, Lee SS, Park WH (2001):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Korean J Nutrition 34 (2): 188-197 

  23. Park YS, Lee JW, Suh JS, Lee BK, Lee HS (2000):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2nd ed, Kyomunsa, 2000 

  24. Park YS, Park KS, Kim CI (2002): Eating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ir Handicap.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5): 628-638 

  25. Pipes PL (1988): Nutrition and individuals with Dawn syndrome. Nutrition News 3: 1-4 

  26.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27. Ryu ES (1982): Nutrition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of delay inconvenient child. Yonsei University Dissertation 

  28. Siddall CN (1981): The nutritional care of the multiply handicapped person. J Can Diet Assoc 42: 317-320 

  29. Springer NS (1987): From institution to foster care impact on nutritional status. Am J Ment Defic 91: 321-327 

  30. Unonu JN, Johnson A (1992): Feeding patterns, food energy, nutrient intak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selected black preschool children with Dawn syndrome. J Am Diet Assoc 92(7): 856-858 

  31. Warpula D (1981): Meeting the nutritional needs of the mentally retarded. J Can Diet Assoc 42: 310-3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