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트륨 함량에 따른 시판 배추김치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according to sodium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5, 2016년, pp.413 - 417  

황은선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  김효성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  김수현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  고현주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  이미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  윤은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일반김치와 저염김치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저염김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조 초기의 염도는 일반김치가 1.99%, 저염김치가 1.56%로 저염김치가 일반김치에 비해 낮은 염도를 나타냈다. 저장기간에 따른 염도의 변화는 제조 초기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김치와 저염김치의 제조 초기의 당도는 두 김치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김치 제조 5일째에는 당도가 급속히 감소하였고, 저장 10일 이후에는 당도의 감소가 완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염김치의 pH는 5.11로 일반김치의 pH 5.56보다 다소 낮았다. 김치 제조 후 5일차부터는 일반김치 및 저염김치에서 pH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저염김치의 pH가 일반김치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났다. 김치 제조 1일차의 산도는 일반김치와 저염김치가 각각 0.21과 0.22%로 저염김치가 다소 높은 산도를 나타냈다. 김치 저장기간에 비례하여 일반 및 저염 김치 모두 산도가 증가하였다. 김치 제조 초기의 젖산세균 수는 일반 및 저염김치에서 7.5 log CFU/g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김치 제조 후 5일차에서 가장 높은 젖산세균 수를 나타냈으나, 저장기간 10일 이후에는 젖산세균 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고 도리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나트륨 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김치의 기호도를 평가하였을 때 색(외관)에 대한 선호도는 일반김치가 저염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에 대한 강도를 평가한 결과, 일반김치에 비해 저염김치의 짠맛과 젓갈맛 강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단맛은 일반김치보다 저염김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저염김치는 일반김치와 비교할 때, 품질특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containing different sodium contents. The salinity at day 1 post-manufacture in regular kimchi was 1.99%, while it was 1.56% in lowsodium kimchi, thus showing a 21.6% reduction in sodium content. The p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함량이 다른 배추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염도, 당도, pH, 산도와 젖산세균 함량을 측정하여 나트륨 함량이 다른 일반김치와 저염김치의 품질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배추김치의 나트륨 함량에 따라 감지되는 관능적인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와 강도 변화 정도를 분석하고 나트륨 저감 김치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와 섭취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일반김치와 저염김치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저염김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조 초기의 염도는 일반김치가 1.
  •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함량이 다른 배추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염도, 당도, pH, 산도와 젖산세균 함량을 측정하여 나트륨 함량이 다른 일반김치와 저염김치의 품질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배추김치의 나트륨 함량에 따라 감지되는 관능적인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와 강도 변화 정도를 분석하고 나트륨 저감 김치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와 섭취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 제조 방법은?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발효식품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2). 김치는 사용되는 부재료나 담그는 방법에 따라 약 100여 종이 있으며, 채소를 소금에 절여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등을 넣어 숙성시켜 제조한다(1,2). 김치는 2006년 ‘Health’지에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섬유소,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및 발효 중 생성되는 다양한 유기산과 미생물의 대사산물이 함유되어 있어 성인병 예방, 항암, 항비만, 소화 및 면역증강, 정장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3-6).
소금의 섭취량과 관련된 질환은? 소금의 섭취량과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신장질환, 위암, 비만 등의 발병이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나트륨의 과잉 섭취로 인해 다양한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있다(10,11). 식품업계에서도 나트륨 함량을 줄이면서도 식품 본연의 맛을 유지하기 위한 제품 개발, 제조공정 개선, 유통조건의 변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12,13).
배추김치 제조에서 소금의 역할은? 소금은 짠맛과 더불어 음식에 풍미를 부여하여 향미를 높이고 원치 않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효소 활동을 저해하여 식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7). 특히, 김치 제조에 있어서 적절한 양의 소금은 김치발효 초기에 많이 존재하는 산소세균들의 생장을 억제하고, 조건 무산소세균인 젖산세균(Leuconostoc 속, Lactobacilllus 속)의 증식을 도와주어 김치 특유의 맛과 향을 내면서 김치발효를 주도하도록 한다(8). 또한, 배추 조직이 물러지는 연부현상을 억제하고 배추에 견고함을 부여하는 등 김치의 텍스처 개량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ng BH, Seo JS, Jeong EJ.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21: 51- 55 (2008) 

  2. Park DI, Choi AR, Woo HJ, Rhee SK, Chae HJ. Effects of Sclerophyllous plant leaves addition on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80-586 (2010) 

  3. Kang H, Moon JS, Lee MG, Han NS. Immunomodulatory effects of Leuconostoc citreum EFEL2061 isolated from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ood, on the Th2 type-dominant immune response in vitro and in vivo. J. Funct. Food. 20: 79-87 (2016) 

  4. Song HJ, Lee HJ. Consumption of kimchi, a salt fermented vegetable, is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revalence. J. Ethn. Food 1: 8-12 (2014) 

  5. Ji YS, Kim HN, Park HJ, Lee JE, Lee HJ, Shin HK, Kim BJ, Franz CMAP, Holzapfel WH. Functionality and safety of lactic bacterial strains from Korean kimchi. Food Control 31: 467-473 (2013) 

  6. Kim EK, An SY, Lee MS, Kim TH, Lee HK, Hwang WS, Choe SJ, Kim TY, Han SJ, Kim HJ, Kim DJ, Lee KW. Fermented kimchi reduces body weight and improves metabolic parameters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Nutr. Res. 31: 436-443 (2011) 

  7. Dahlsten E, Lindstrm M, Korkeala H. Mechanisms of food processing and storage-related stress tolerance in Clostridium botulinum. Res. Microbiol. 166: 344-352 (2015) 

  8. Mheen TI,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9. Yu KW, Hwang JH.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low-sodium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Korean J. Food Nutr. 24: 753-760 (2011) 

  10. Sebastian RS, Enns CW, Steinfeldt LC, Goldman JD, Moshfegh AJ. Monitoring sodium intake of the US population: Impact and implications of a change in what we eat in Americ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etary data processing. J. Acad. Nutr. Diet. 113: 942-949 (2013) 

  11. Kloss L, Meyer JD, Graeve L, Vetter W. Sodium intake and its reduction by food reformulation in the European union-A review. NFS J. 1: 9-19 (2015) 

  12. Israr T, Rakha A, Sohail M, Rashid S, Shehzad A. Salt reduction in baked products: Strategies and constraints. Trends Food Sci. Technol. 51: 98-105 (2015) 

  13. Bobowski N, Rendahl A, Vickers Z. Preference for salt in a food may be alterable without a low sodium diet. Food Qual. Prefer. 39: 40-45 (2015) 

  14. Paik HY.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Asia Pac. J. Clin. Nutr. 17: 416-419 (2008) 

  15. Yon MY, Lee YN, Kim DH, Lee JY, Koh EM, Nam EJ, Shin, HH,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CI. Major source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6: 473-487 (2011) 

  16. Chang MS, Cho SD, Kim GH.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7: 30-35 (2010) 

  17. Yu KW, Suh HJ, Hwang JH. Fermentative propertie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ow-sodium kimchi supplemented with Acanthopanax senticosus and Glycyrrhizae uralensis extracts. Korean J. Food Nutr. 25: 878-887 (2012) 

  18. Kim GR, Park LY, Lee SH.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using various types of Maesil (Prumus mume Sieb. et Zucc). Korean J. Food Preserv. 17: 214-222 (2010) 

  19. You BR, Kim E, Jang JY, Choi HJ, Kim HJ.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llium hookeri root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 863-870 (2013) 

  20. Lim JH, Park SS, Jeong WJ, Park KJ, Seo KH, Sung JM.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50-456 (2013) 

  21. Lee SK. Characteristic and intake-state of regional kimchi. Food Nutr. 8: 23-25 (1987) 

  22. Song MR, Lee KJ. 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 stew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4: 84- 91 (2008) 

  23. Yi JH, Cho Y, Hwang IK.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nds of minor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Sci. 14: 1-10 (1998) 

  24. Kim KH, Cho HS.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skate (Raja kenojei) kimchi on the market. J. Korean Soc. Food Cult. 23: 235-242 (2008) 

  25. Park SH, Lee JH.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 Sci. 21: 103-109 (2005) 

  26. Lee HY, Paik JE, Han YS. Effect of powder-type dried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Cook. Sci. 19: 254-262 (2003) 

  27. Park WP, Park KD. Effect of whey calcium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1: 34-37 (2004) 

  28. Ku KH, Kang KO, Kim WJ. Some quality changes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476-482 (1998) 

  29. Lee HA, Song YO, Jang MS, Han JS. Effect of Ecklonia cava on the qual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83-88 (2013) 

  30. Chung DO, Park ID, Kim JO. Quality changes of resemary-onion kimchi by packaging material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43-1047 (2002) 

  31. Lee KH, Cho HY, Pyun YR.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1991) 

  32. Standard for Korean Traditional Food. kimchi, No. T020. Notification of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o. 2012-35 (2012) 

  33. Ahn SJ.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oc. Food Sci. 4: 39-50 (1988) 

  34. Chang JY, Choi YR, Chang HC. Change in the microvial profiles of commercial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786-794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