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lactobacillus reuteri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 특성, 장내미생물 변화, 혈청 성상 및 사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to Broiler on Growing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Environmental Factor원문보기
본 연구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요인 및 혈청내 생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실험은 1일령 육계 수평아리 480수를 평사로 7주간 실행하였다. 첨가된 유산균 배양물은 육계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reuteri 였으며, 첨가수준은 0, 0.1, 0.2, 0.4%였다. 체중은 1주령부터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7주령에는 82~212g이 현저하게 높았다 (P<0.05). 사료섭취 량은 0.1%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소화기관내 미생물 변화에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구가 무첨가 대비유산균의 수는 회장과 맹장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7주령에 맹장에서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혐기성 미생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E. coli와 Salmonella 늘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내 total protein과 albumin 의 함량은 LR 0.1%구가 각각 3주령과 7주령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total cholesterol은 처리구간에 일관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riglyceride는 3주령과 5주령에서 LR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P<0.05), glucose, blood urea nitrogen 그리고 calcium은 전 기간에 걸쳐 처리간 비슷하게 나타났다. inorganic phosphate는 7주령에서 LR 0.2%와LR 0.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LR 0.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P<0.05), 단백질, Ca 이용율도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P<0.05). 계분내, NH$_3$gas 발생량은 LR급여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여 1/3~l/2의 수준을 유지하였다(P<0.05). 자리깃(왕겨)의 수분함량은 유산균 급여구가 무첨가 대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산균 배양물의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사육환경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요인 및 혈청내 생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실험은 1일령 육계 수평아리 480수를 평사로 7주간 실행하였다. 첨가된 유산균 배양물은 육계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reuteri 였으며, 첨가수준은 0, 0.1, 0.2, 0.4%였다. 체중은 1주령부터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7주령에는 82~212g이 현저하게 높았다 (P<0.05). 사료섭취 량은 0.1%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소화기관내 미생물 변화에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구가 무첨가 대비유산균의 수는 회장과 맹장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7주령에 맹장에서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혐기성 미생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E. coli와 Salmonella 늘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내 total protein과 albumin 의 함량은 LR 0.1%구가 각각 3주령과 7주령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total cholesterol은 처리구간에 일관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riglyceride는 3주령과 5주령에서 LR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P<0.05), glucose, blood urea nitrogen 그리고 calcium은 전 기간에 걸쳐 처리간 비슷하게 나타났다. inorganic phosphate는 7주령에서 LR 0.2%와LR 0.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LR 0.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P<0.05), 단백질, Ca 이용율도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P<0.05). 계분내, NH$_3$ gas 발생량은 LR급여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여 1/3~l/2의 수준을 유지하였다(P<0.05). 자리깃(왕겨)의 수분함량은 유산균 급여구가 무첨가 대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산균 배양물의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사육환경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고 판단된다.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culture(LRC) on the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intestinal microflora, serum metabolites, ammonia generation and litter dampness in broiler chicks. Four hundred eighty, one day old male chicks were fed...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culture(LRC) on the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intestinal microflora, serum metabolites, ammonia generation and litter dampness in broiler chicks. Four hundred eighty, one day old male chicks were fed into none, 0.1, 0.2 and 0.4% of LRC supplementation fer seven weeks. Basal diets excluded antibiotics contained ME 3,100, 3,100 kcal/kg, and CP 22.0, 20.0% for starter and grower, respectively. Weight gain of chicks fed LR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 supplemental group in overall period(P<0.05). Feed intake was the highest in the 0.1% LRC,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other treatments. Feed conversion showed no significance among treatments. Viable Lactobacillus spp. number of chicks fed 0.2 and 0.4% LR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ecum at seven weeks of age compared to the none(P<0.05). The tendency of anaerobes number was similar to Lactobacillus spp in ileum and cecum. Total number of E. coli and Salmonella were no difference in all treatments. In serum metabolites, feeding LRC increased triglyceride, and inorganic phosphorus, but no different total protein, albumin, total cholesterol, glucose, blood urea nitrogen and Ca. Nutrients digesti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in 0.4% LRC compared to that of none(P<0.05). Fecal NH$_3$, gas generation was greatly decreased in the LRC supplemental groups(P<0.05). Moisture contents of bedding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LRC feeding group. It was concluded from the present study that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culture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s digestibility of broiler chicks and minimize the fecal noxious gas emission.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culture(LRC) on the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intestinal microflora, serum metabolites, ammonia generation and litter dampness in broiler chicks. Four hundred eighty, one day old male chicks were fed into none, 0.1, 0.2 and 0.4% of LRC supplementation fer seven weeks. Basal diets excluded antibiotics contained ME 3,100, 3,100 kcal/kg, and CP 22.0, 20.0% for starter and grower, respectively. Weight gain of chicks fed LR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 supplemental group in overall period(P<0.05). Feed intake was the highest in the 0.1% LRC,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other treatments. Feed conversion showed no significance among treatments. Viable Lactobacillus spp. number of chicks fed 0.2 and 0.4% LR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ecum at seven weeks of age compared to the none(P<0.05). The tendency of anaerobes number was similar to Lactobacillus spp in ileum and cecum. Total number of E. coli and Salmonella were no difference in all treatments. In serum metabolites, feeding LRC increased triglyceride, and inorganic phosphorus, but no different total protein, albumin, total cholesterol, glucose, blood urea nitrogen and Ca. Nutrients digesti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in 0.4% LRC compared to that of none(P<0.05). Fecal NH$_3$, gas generation was greatly decreased in the LRC supplemental groups(P<0.05). Moisture contents of bedding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LRC feeding group. It was concluded from the present study that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culture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s digestibility of broiler chicks and minimize the fecal noxious gas emiss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요인 및 혈청내 생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실험은 1일령 육계 수평아리 480수를 평사로 7주간 실행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에서(김상호 등, 2001) 가금 장내에 존재하여 유익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된 Lactobacillus reuteri의 생균제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에 급여시에 증체, 사료효율, 장내미생물 변화, 영양소 이용성, 혈액성상 및 암모니아 가스 발생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제안 방법
시험설계는 유산균 배양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유산균 배양물을 사료에 0.1, 0.2, 0.4%를 첨가한 처리구로 나누었다. 각 처리구는 4반복으로 하였고 반복당 30수씩 공시하였다.
4%를 첨가한 처리구로 나누었다. 각 처리구는 4반복으로 하였고 반복당 30수씩 공시하였다.
깔짚은 왕겨를 이용하였으며 각 pen당 사용량은 37kg 정도로서 약 5cm 두께였다. 점등은 입추후 3일간 24시간 점등을 실시하였고, 이후 7일령까지 23시간 점등 : 1시간 소등으로하였으며 8일령부터 시험 종료시까지 야간간헐점등을 1L: 2D로 실시하였다. 광도는 시험 전 기간 10-15 Lux 였다.
영양소 수준을 전기(0〜3주령)와 후기(4〜7주령)로 구분하여 배합하였으며, ME는 전 기간 3, 100 kcal/kg, CP는 사육전기와 후기에 각각 22.0, 20.0%였다
체중은 1일령과 주령별로 측정하였는데, 반복별 전체 체중을 개체수로 나누어 평균체중을 계산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주간별로 조사하였으며 , 누적사료섭취 량으로 계산하였다.
내용물은 채취직후 PBS로 계단희석하여 Rogosa SL agar(유산균; Difco 2011001), Anaerobic agar(혐기성균; Difco 1283000), McCon- key plate(K coli\ Difco 1262002), SS agar(Salmonella; Difco 1354006)에 접종하였다. Rogosa SL agai와 Anaerobic agar plate는 CO2 incubator(Forma 311, USA)에서 37℃로 48시간 배양하였으며, MacQmkey와 SS agar는 37℃로 조정된 호기적 incubator(Jisico-MIC2, 한국)에서 24시간 배양 후 colony# 조사하였다.
영양소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양실험 종료후 처리구당 4수씩 전분채취법으로 대사시험을 실행하였다. 평균체중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분을 배설하는 개체를 선발하여 1 수용 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는데, 케이지 적응을 고려하여 3일간 시험사료를 자유채식토록 하였으며, 그 후 3일간 매일 사료섭취량과 배설량을 수집하여 칭량하였다.
평균체중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분을 배설하는 개체를 선발하여 1 수용 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는데, 케이지 적응을 고려하여 3일간 시험사료를 자유채식토록 하였으며, 그 후 3일간 매일 사료섭취량과 배설량을 수집하여 칭량하였다. 수집된 분은 Homogenizer(SMT, Japan) 로 충분히 섞은 후 60℃ 로 조정된 송풍건조기(Kijeong, 한국)에서 3일 동안 건조하였으며, 건조후 실온에서 1일 보관 후 칭량하였다.
계사내 사육환경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바닥재의 수분함량과 계분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정확한 바닥재의 수분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pen의 바닥을 비닐로 덮은 후 왕겨로 피복하였고 사양시험기간에 처리구간에 계분 및 바닥재가 혼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정확한 바닥재의 수분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pen의 바닥을 비닐로 덮은 후 왕겨로 피복하였고 사양시험기간에 처리구간에 계분 및 바닥재가 혼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바닥재의 수분은 입추시와 주령별로 조사하였는데, 각 pen당 가장자리와 중앙의 5개 부위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혼합하였다.
정확한 바닥재의 수분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pen의 바닥을 비닐로 덮은 후 왕겨로 피복하였고 사양시험기간에 처리구간에 계분 및 바닥재가 혼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바닥재의 수분은 입추시와 주령별로 조사하였는데, 각 pen당 가장자리와 중앙의 5개 부위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혼합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즉시 135℃로 조정된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바닥재의 수분은 입추시와 주령별로 조사하였는데, 각 pen당 가장자리와 중앙의 5개 부위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혼합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즉시 135℃로 조정된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계분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각각의 처리구에서 3수씩 무작위로 선발하여 실행하였다.
계분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각각의 처리구에서 3수씩 무작위로 선발하여 실행하였다. 계분은 신선한 상태로 채취하였으며, 균질화한 후 500ml 유리용기에 50g씩 담아 30℃ 로 조정된 Incubator(Jisico-MIC2, 한국)에서 호기적으로 보관하면서 NH3 gas 검지관(Gastek , Japan)을이용하여 21일간 매일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채취된 혈액을 37℃에서 하루정도 보관 후 2, 500i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70℃에서 보관하였다. 혈청은 자동생화학분석기 (Cibacoming, USA) 를 이용하여 total protein, album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blood urea nitrogen, calcium, inorganic phosphorus를 분석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즉시 135℃로 조정된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계분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각각의 처리구에서 3수씩 무작위로 선발하여 실행하였다. 계분은 신선한 상태로 채취하였으며, 균질화한 후 500ml 유리용기에 50g씩 담아 30℃ 로 조정된 Incubator(Jisico-MIC2, 한국)에서 호기적으로 보관하면서 NH3 gas 검지관(Gastek , Japan)을이용하여 21일간 매일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실험은 1일령 육계 수평아리 480수를 평사로 7주간 실행하였다. 첨가된 유산균 배양물은 육계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reuteri였으며, 첨가수준은 0, 0.
본 연구의 공시계는 육계 Abor Acre 수평아리 480수로서, 평사에서 6월 13일부터 7월 31일까지 7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체중은 1일령에 개체별로 측정하여 모든 처리구가 비슷하도록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산균주는 이전에 김상호 등(2001)이 육계 장내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reWeri로서 상품화되었는데 시제품은 유산균을 발효조(Bestkorea 5L, 한국)에서 충분히 발효한 후 배양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유당과 혼합제조하였는데, 유산균 수는 107cfu/g 이었다.
공시계가 수용된 계사는 윈치커텐과 콘크리트 바닥이 설치된 개방식 계사였으며, 각 pen의 크기는 ×3m(6㎡)였다. 깔짚은 왕겨를 이용하였으며 각 pen당 사용량은 37kg 정도로서 약 5cm 두께였다.
×3m(6㎡)였다. 깔짚은 왕겨를 이용하였으며 각 pen당 사용량은 37kg 정도로서 약 5cm 두께였다. 점등은 입추후 3일간 24시간 점등을 실시하였고, 이후 7일령까지 23시간 점등 : 1시간 소등으로하였으며 8일령부터 시험 종료시까지 야간간헐점등을 1L: 2D로 실시하였다.
회장소화물은 Meckel's diverticulum 부위의 하단부를 5cm 정도 절단하여 채취하였고, 맹장 내용물은 전체 맹장에서 채취하였다. 내용물은 채취직후 PBS로 계단희석하여 Rogosa SL agar(유산균; Difco 2011001), Anaerobic agar(혐기성균; Difco 1283000), McCon- key plate(K coli\ Difco 1262002), SS agar(Salmonella; Difco 1354006)에 접종하였다. Rogosa SL agai와 Anaerobic agar plate는 CO2 incubator(Forma 311, USA)에서 37℃로 48시간 배양하였으며, MacQmkey와 SS agar는 37℃로 조정된 호기적 incubator(Jisico-MIC2, 한국)에서 24시간 배양 후 colony# 조사하였다.
사양시험 도중 3, 5, 7주령에 처리별로 체중이 비슷한 개체를 20수를 선발하여 익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을 37℃에서 하루정도 보관 후 2, 500i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70℃에서 보관하였다.
데이터처리
수집된 자료는 SAS package(SAS Institute, 1996)의 GLM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처리구별통계적인 차이는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으며 신뢰수준은 모두 95% 수준으로 하였다.
이론/모형
일반성분과 Ca, P분석은 AOAC(1995)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분석치는 평균 사료섭취량과 배설량을 이용하여 건물값으로 소화율을 계산하였다.
기초사료의 영양소 함량은 CP를 제외하고 NRC(1994) 권장수준에 준하여 옥수수와 대두박 위주로 제조하였다(Table 1). 영양소 수준을 전기(0〜3주령)와 후기(4〜7주령)로 구분하여 배합하였으며, ME는 전 기간 3, 100 kcal/kg, CP는 사육전기와 후기에 각각 22.
체중은 1주령부터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7주령에는 82〜212g이 현저하게 높았다 (P<0.05). 사료섭취 량은 0.
coli와 Salmonella 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내 total protein과 albumin의 함량은 LR 0.1%구가 각각 3주령 과 7주령 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total cholesterol은 처리구간에 일관적인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riglyceride는 3주령과 5주령에서 LR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PV0.
05). 자리깃(왕겨)의 수분함량은 유산균 급여구가 무첨가 대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산균 배양물의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사육환경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고 판단된다.
Fuller와 Turvey(1971)가 닭에서 유산균에 대한 급여가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이후 많은 연구에서 가금에서 유산균이 유익한 역할에 대하여 보고 되어왔다 (Dilworth와 Day, 1978; Watkins 등, 1982; Jin 등, 1996; Mohan 등, 1996; Yeo와 Kim, 1997; Nahashon 등, 1993; Tortuero와 Fernandez, 1995; Haddadin 등, 1996; Francis 등, 1978).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일관적으로 유산균은 가축의 성장촉진, 장내 유익균 증가 및 유해균 억제, 영양소 이용성 개선, 암모니아 생산 억제 및 콜레스테롤 감소하는 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보고와는 반대로 유산균의 급여에 의한 육계 증체향상 효과가 없었다는 보고도 있는데(Watkins와 Kratzer, 1983; Maiolino 등, 1992), 이러한 차이를 Jin 등(1998)은 미생물의 종과 급여물의 이상으로 생균제적인 가치가 상실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미치는 영향은 Table 2에 나타냈다. 증체량은 Fig. 1에서 사육 전 기간에 비교하였는데 3주령 이후 LR 첨가구가 실험 종료시까지 무첨가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7주까지의 증체량은 LR 0.
05). 7주까지의 증체량은 LR 0.1 과 0.4% 급여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P<0.05), LR 0.2% 첨가구에서 증체량은 무첨가구와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82g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서 평균체중이 일반적으로 사육된 7주령의 육계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사육 환경온도가 30℃ 이상이었으며, 습도가 약 85%로서 고온다습한 환경아래에서 사육환경에 따른 스트레스가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 첨가구에서 증체량은 무첨가구와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82g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서 평균체중이 일반적으로 사육된 7주령의 육계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사육 환경온도가 30℃ 이상이었으며, 습도가 약 85%로서 고온다습한 환경아래에서 사육환경에 따른 스트레스가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사료섭취 량은 LR 0.
본 연구에서 평균체중이 일반적으로 사육된 7주령의 육계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사육 환경온도가 30℃ 이상이었으며, 습도가 약 85%로서 고온다습한 환경아래에서 사육환경에 따른 스트레스가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사료섭취 량은 LR 0.1% 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LR 0.2와 0.4%구는 무첨가구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LR 0.
4%구는 무첨가구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LR 0.1%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05), 이후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회장 및 맹장내 SalmoneHa수는 처리구별 성장단계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protein과 albumin함량은 3주령과 7주령에 각각 LR 0.1% 급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total cholesterol은 처리구간에 일관성이 없었다. Triglyceride는 3 주령에 LR 0.
05) 7주령에서는 처리구간에 차이 가 없었다. Glucose, blood urea nitrogen 그리고 cal-cium은 실험 전 기간에 처리구간에 비슷하였으며, inorganic phosphate는 7주령에 LR 0.2, 0.4% 급여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iyo.o5).
영양소 소화율은 Table 5에 수록하였다. 건물소화율, 단백질, 지방, 회분의 소화율은 LR 0.4%구가 다른 처 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P<0.05). 이러한 결과는 유산균 급여는 장내 유익균 수를 높여주며, 유익균의 섭취물을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화를 촉진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2에서는 처리별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 량을 비교하였다. 암모니아 가스 발생은 보관 4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1차 피크 이후 감소하다가 다시 2차 피크양상을 보였는데, LR 급여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Lactobacillus reuteri는 육계사료에 첨가제로서 급여시에 효모제와 같은 배양물 등이 함유된 생균제와는 다르게 사료내 적정균수가 포함되면 첨가수준으로 약 0.1%가 적정수준으로 사료되었으며, 생균제적 가치로서 이전에 가금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한 유산균과 동일하게 장내소화기관 유익한 미생물의 작용을 높여 사료영양소의 이용을 개선한 결과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Lactobacillus reuteri는 육계 사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암모니아 가스 및 자리깃의 수분함량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1%가 적정수준으로 사료되었으며, 생균제적 가치로서 이전에 가금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한 유산균과 동일하게 장내소화기관 유익한 미생물의 작용을 높여 사료영양소의 이용을 개선한 결과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Lactobacillus reuteri는 육계 사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암모니아 가스 및 자리깃의 수분함량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1%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소화기관 내 미생물 변화에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구가 무첨가 대비유산균의 수는 회장과 맹장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7주령에 맹장에서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C0.05), 혐기성 미생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E.
05), total cholesterol은 처리구간에 일관적인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riglyceride는 3주령과 5주령에서 LR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PV0.05), glucose, blood urea nitrogen 그리고 calcium은 전 기간에 걸쳐 처리간 비슷하게 나타났다. inorganic phosphate는 7주령에서 LR 0.
05), glucose, blood urea nitrogen 그리고 calcium은 전 기간에 걸쳐 처리간 비슷하게 나타났다. inorganic phosphate는 7주령에서 LR 0.2%와 LR 0.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함량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LR 0.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P<0.05), 단백질, Ca 이용율도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PV0.05). 계분내 NH3 gas 발생량은 LR 급여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여 1/3〜1/2의 수준을 유지하였다(P<0.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