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길경 수용액 추출물에 의한 인체 폐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Apoptotic Cell Death of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by an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전통 한의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길경(Platycodi radix)은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의 뿌리 껍질을 벗기거나 또는 그대로 말린 것을 말하며, 염증성 호흡기 질환에 많이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경 수용액 추출물의 항암 활성 기전해석의 일환으로 A549 인체 폐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길경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apoptosis의 유발과 관련이 있었다. 즉 염색체 응축에 의한 apoptotic body의 출현과 sub-Gl기에 속하는 세포의 빈도가 길경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Immunoblot 및 RT-PCR분석에서 길경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Bcl-2의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었으며, Bax의 발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길경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caspase-3가 활성화되었으며, 이에 따른 PARP 및 $\beta$-catenin의 단백질 발현 감소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길경 추출물을 이용한 인체 암세포의 성장억제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여 준다.

Abstract

Platycodi Radix,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commonly known as Doraji, is used a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Extracts from the roots of P grandiflorum have been reported to have wide ranging health benefi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s of P. grandiflorum (AEPG) on the growth of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Upon treatment with AEPG,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cell growth was observed and cells developed many of the hallmark features of apoptosis, including condensation of chromatin. Flow cytometry analysis confirmed that AEPG increased populations of apoptotic-sub Gl phase. Immunoblot and quantitative RT-PCR analyses indicated that the expressions of Bcl-2 was down-regulated but Bax was up-regulated in AEPG-treated A549 cells. The expression of active form of caspase-3 by AEPG treatment was markedly increased, and the levels of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beta$-catenin, its target proteins, were de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 grandiflorum has strong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n agent for prevention against human lung cancer.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길경 추출물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탐색을 위하여 apoptosis와 연관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유전자 산물들의 발현 변화여부를 조사하였다.

    상기의 결과들에서 알 수 있듯이 길경 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자란 폐암세포의 성장 억제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길경 추출물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탐색을 위하여 apoptosis와 연관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유전자 산물들의 발현 변화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중 Bcl-2/Bax family의 대표적 유전자인 Bcl・2는 anti-apoptotic 분자로서 apoptosis의 유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며, Bax는 pro- apoptotic 분자로 apoptosis의 유발과 관계가 있다[1, 4].

  • 따라서 길경의 처리에 의한 upoptosis 유발의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정상 및 길경 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된 암세포를 대상으로 핵의 형태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5%의 암세포가 apoptosis의 과정을 통하여 사 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길경의 처리에 의한 upoptosis 유발의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정상 및 길경 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된 암세포를 대상으로 핵의 형태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Fig.

  • 따라서 븐 연구에서는 길경의 항암작용 해석의 일환으 토 인체 폐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길경 추출물의 영향을 초사하였다.

    따라서 븐 연구에서는 길경의 항암작용 해석의 일환으 토 인체 폐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길경 추출물의 영향을 초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Bax의 발현 증가 및 0 와 연관돈 Bcl-2의 발현 감소에 의한 caspase-3의 활성화 과정이 길경 수용액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caspase 중 대부분의 apoptosis가 유발된 세포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여 주는 caspase-3 (CPP32)의 발현 정도를 서로 다른 농도의 길경 추출믈이 처리된 폐암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편 ICE/CED-like protease family 인 caspase 는apoptosis 유발 경로에 중요한 조절인자로서 작용하는데 [1, 4, 33], 이들 family에 속하는 많은 단백질들은 세포에서 힘과 mitochondria2] 외막에 존재하며, Bcl-2/Bax family볕-혼의 변화에 따라 이들의 활성화가 조절되는 것으로 알 리고 있다[1, 4, 31].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caspase 중 대부분의 apoptosis가 유발된 세포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여 주는 caspase-3 (CPP32)의 발현 정도를 서로 다른 농도의 길경 추출믈이 처리된 폐암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Caspase-3:7- 활성화된 형태로 관찰되려면 불활성 형태인 32 kDa의 상대적 발현이 줄어들거나 그들의 활성형인 17 또는 19 kDa 분자량을 가지는 활성형의 단백질 발현이 증 7뇌어야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길경 수용액 추출물의 항암 활성 기전해석의 일환으로 A549 인체 폐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C)의 뿌리 껍질을 벗기거나 또는 그대로 말린 것을 말하며, 염증성 호흡기 질환에 많이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경 수용액 추출물의 항암 활성 기전해석의 일환으로 A549 인체 폐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길경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apoptosis의 유발과 관련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1. Antonsson, B., Martinou, J.C.. The Bcl-2 Protein Family. Experimental cell research, vol.256, no.1, 50-57.
  2. 2. Am J. Pathol. 136 593 1990 
  3. 3. Kor. J. Food Nut. 9 69 1996 
  4. 4. Chiarugi, Vincenzo, Magnelli, Lucia, Turchetti, Alessandra, Cinelli, Marina, Cavari, Simone, Ruggiero, Marco. Cell survival and death programmes. Pharmacological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talian Pharmacological Society, vol.29, no.2, 101-110.
  5. 5. Choi, Chul Yung, Kim, Ji Young, Kim, Young Sup, Chung, Young Chul, Hahm, Kyung-Soo, Jeong, Hye Gwang. Augmentation of macrophage functions by an aqueous extract isola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Cancer letters, vol.166, no.1, 17-25.
  6. 6. Choi, Chul Yung, Kim, Ji Young, Kim, Young Sup, Chung, Young Chul, Seo, Jong Kwon, Jeong, Hye Gwang. Aqueous extract isola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elicits the release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α from murine macrophages.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1, no.6, 1141-1151.
  7. 7. Choi, Yung Hyun, Lee, Su Jae, Nguyen, PhuongMai, Jang, Joung Soon, Lee, Jeen, Wu, Ming-Lei, Takano, Emiko, Maki, Masatoshi, Henkart, Pierre A., Trepel, Jane B.. Regulation of Cyclin D1 by Calpain Protease.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72, no.45, 28479-28484.
  8. 8. Int. J. Oncol. 17 565 2000 
  9. 9. Jpn. J. Cancer Res. 91 164 2000 10.1111/j.1349-7006.2000.tb00928.x 
  10. 10. Exp. Mol. Med. 33 S15 2001 10.1038/emm.2001.3 
  11. 11. Int. J. Oncol. 18 979 2001 
  12. 12. Int. J. Oncol. 21 1293 2002 
  13. 13. De Candolle. Arg. Chem. Biotech. 40 152 1997 
  14. 14. Acta. Gastroenterol. Belg. 62 393 1999 
  15. 15. Decker, Patrice, Muller, Sylviane. Modulating poly (ADP-ribose) polymerase activity: potential for the prevention and therapy of pathogenic situations involving DNA damage and oxidative stress.. Current pharmaceutical biotechnology, vol.3, no.3, 275-283.
  16. 16. Cancer Res. 54 1169 1994 
  17. 17. Evans, V.G.. Multiple pathways to apoptosis.. Cell biology international, vol.17, no.5, 461-476.
  18. 18. Fukuda, K.. Apoptosis-associated cleavage of β-catenin in human colon cancer and rat hepatoma cell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vol.31, no.3, 519-529.
  19. 19. Han, Sang B, Park, Se H, Lee, Ki H, Lee, Chang W, Lee, Sang H, Kim, Hyoung C, Kim, Young S, Lee, Hyun S, Kim, Hwan M.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radix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lectively activates B cells and macrophages but not T cells.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1, no.11, 1969-1978.
  20. 20. Johnson, Judith P.. Cell Adhesion Molecules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Malignant Melanoma. Cancer and metastasis reviews, vol.18, no.3, 345-357.
  21. 21. Cancer Res. 53 3976 1993 
  22. 22. Shoyakugaku Zasshi J. Pharm. Soc. Jpn. 40 367 1986 
  23. 23. Kim, Y P, Lee, E B, Kim, S Y, Li, D, Ban, H S, Lim, S S, Shin, K H, Ohuchi, K. Inhibition of prostaglandin E2 production by platycodin D isolated from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Planta medica, vol.67, no.4, 362-364.
  24. 24. Yakhak Hoeji 42 382 1998 
  25. 25. Lazebnik, Y. A., Kaufmann, S. H., Desnoyers, S., Poirier, G. G., Earnshaw, W. C.. Cleavag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by a proteinase with properties like ICE. Nature, vol.371, no.6495, 346-347.
  26. 26. int. J. Oncol. 21 1239 2002 
  27. 27. Lee, Kyung Jin, You, Ho Jin, Park, Sung Jun, Kim, Young Sup, Chung, Young Chul, Jeong, Tae Chun, Jeong, Hye Gwang. Hepatoprotective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acetaminophen-induced liver damage in mice. Cancer letters, vol.174, no.1, 73-81.
  28. 28. J. Pharm. Soc. Korea 19 164 1975 
  29. 29. Kor. J. Food Sci. Technol. 30 13 1998 
  30. 30. Semin. Nephrol. 18 505 1998 
  31. 31. Toshiyuki, Miyashita, Reed, John C. Tumor suppressor p53 is a direct transcriptional activator of the human bax gene. Cell, vol.80, no.2, 293-299.
  32. 32. Shoyakugaku Zasshi J. Pharm. Soc. Jpn. 40 375 1986 
  33. 33. Nagata, Shigekazu. Apoptosis by Death Factor. Cell, vol.88, no.3, 355-365.
  34. 34. Biol. Pharm. Bull. 18 559 1995 10.1248/bpb.18.559 
  35. 35. Saeki, T, Koike, K, Nikaido, T. A comparative study on commercial, botanical gardens and wild samples of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by HPLC analysis.. Planta medica, vol.65, no.5, 428-431.
  36. 36. Shi, L, Nishioka, WK, Th'ng, J, Bradbury, EM, Litchfield, DW, Greenberg, AH. Premature p34cdc2 activation required for apoptosis. Science, vol.263, no.5150, 1143-1145.
  37. 37. Shin, Chan Young, Lee, Woo Jong, Lee, Eun Bang, Choi, Eui Yul, Ko, Kwang Ho. Platycodin D and D3 increase airway mucin release in vivo and in vitro in rats and hamsters.. Planta medica, vol.68, no.3, 221-225.
  38. 38. Yakugaku Zasshi. 92 951 1972 10.1248/yakushi1947.92.8_951 
  39. 39. Tewari, Muneesh, Quan, Long T, O'Rourke, Karen, Desnoyers, Serge, Zeng, Zhi, Beidler, David R, Poirier, Guy G, Salvesen, Guy S, Dixit, Vishva M. Yama/CPP32β, a mammalian homolog of CED-3, is a CrmA-inhibitable protease that cleaves the death substrate poly(ADP-ribose) polymerase. Cell, vol.81, no.5, 801-809.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