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양세포의 Type에 따른 Constitutive Androstane 수용체 (CAR)의 CYP2B PBRU 전사활성 효과: Hep G2와 COS 세포의 비교
Effects of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on PBRU Transactivation of CYP2B Gene in Different Culture Cell Types: Comparison Between Hep G2 and COS-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3 no.3 = no.58, 2003년, pp.324 - 332  

민계식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Phenobarbital에 의해서 발현되는 CYP2B유전자의 발현촉진 매개인자로서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가 최근에 규명되었다. 사람의 간암세포인 HepG2 cell line에 CAR유전자를 transfection시켰을 경우 PBRU의 활성을 촉진시켰다. 지금까지 연구된 CAR의 역할은 주로 간세포 내에서 cytochrome P4502B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Phenobarbital의 매개체로서 알려져 있다. 다세포동물에서 각각의 분화된 세포는 독특한 유전자의 발현 Pattern을 갖고 있어서 어느 특정한 세포에서 일어나는 유전자의 발현특징이나 작용기전 혹은 기능이 다른 종류의 세포에서는 일어나지 않거나 상이한 기전에 의해서 조절된다. 이러한 세포간 특이성을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규명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YP2B유전자의 발현이 일어나지 않는 콩팥세포 line (COS)에서 CAR 단백질 수용체가 PBRU의 활성촉진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Control 상태의 Hep G2와 COS 배양세포에서는 CAR 단백질의 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mCAR1-GFP를 transfection 한 후 CAR antibody를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시행하였을 경우, Hep G2 세포에서는 발현이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지만, COS 세포에서는 강한 mCAR1-GFP 단백질의 발현을 보였다. 한편, GFP antibody를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시행하였을 경우에는 COS 세포에서 강한 mCAR1-GFP 단백질의 발현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Hep G2 세포에서도 명백히 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Hep G2와 COS세포 모두에서 endogenous RXR의 발현이 일어남을 확인하였고 RXR expression plasmid를 transfection시켰을 때 두 세포 모두에서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에 의한 CYP2B의 PBRU 활성효과를 다르게 분화된 세포에서 차이가 일어나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CAR에 의해 매개되는 PBRU의 transactivation효과를 Hep G2와 COS세포에서 조사하였다. Hep G2 세포에서는 transfection된 CAR의 발현에 의해 firefly luciferase 보고단백질의 활성이 약 12배 증가하였다. CAR 발현유전자를 15 ng transfection하였을 때 주어진 보고유전자의 양에 대하여 최대반응을 나타내었고 CYP2B1PBRU가 제거된 CYP2C1 promotor/firefly luciferase를 보고유전자로 사용하였을 때는 CAR에 의한 luciferase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Hep G2와는 달리, COS세포에서는 transfection된 CAR의 발현이 PBRU에 의한 firefly luciferase보고단백질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분화된 세포의 종류에 따라서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의 CYP2BPBRU 활성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간세포에서 Phenobarbital에 의한 PBRU의 활성유도에 영향을 주는 endogenous 매개 인자들 중 CAR와 RXR과는 다른 전사조절인자들이 필요로 하며 이러한 인자들의 발현이 콩팥 세포에서는 다르게 존재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ransient transfection of CAR can transactivate CYP2B1 PBRU reporter gene in COS cells in which the endogenous CYP2B1 gene is not induced by PB. In non-transfeced cells of both Hep G2 and COS, the endogeneous expression of CAR was not detected by antib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YP2B유전자의 발현이 일어나 지 않는 콩팥세포[19]에서 유래한 COS cell line을 이용하여, CAR 단백질을 일시적으로 발현시켰을 때 CYP2B1PBRU의 활성촉진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세포간 특이성을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인 자들을 규명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YP2B유전자의 발현이 일어나지 않는 콩팥세포 line (COS) 에서 CAR 단백질 수용체가 PBRU의 활성촉진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Control 상태의 Hep G2와 COS 배양세포에서는 CAR 단 백질의 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xelrod, J. 1955. The enzymatic deamination of am-phetamine (benzedrine). J. Bioi. Chem. 214, 753-763 

  2. Baes, M., T. Gulick, H. S. Choi, M. G. Martinoli, D. Simha and D. D. Moore. 1994. A new orphan member of the nuclear hormone receptor superfamily that interacts with a subset of retinoic acid response ele-ments. Mol. Cell Bioi. 14, 1544-1551 

  3. Bhagwat, S. V., B. C. Leelavathi, S. K. Shankar, M. R. Boyd and V. avindranath. 1995. Cytochrome P450 and associated monooxygenase activities in the rat and human spinal cord-induction,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Neurosci. 68, 593-601 

  4. Brodie, B. B., J. Axelrod, J. R. Cooper, L. Gaudette, B. N. LaDu, C. Mitoma and S. Udenfriend. 1955. Detox-ication of drugs and other foreign compounds by liver microsomes. Science 121, 603-604 

  5. Choi, H-S., M. Chung, I. Tzameli, D. Simha, Y-K. Lee, W. Seol and D. Moore. 1997. Differential trans-activation by two isoforms of the orphan nuclear hormone receptor CAR. J. BioI. Chem. 272, 23565-23571 

  6. Conney, A. H., C. Davison, R. Gasten and J. J. Burns. 1960. Adaptive increase in drug-metabolizing enzymes induced by phenobarbital and other drugs. J. Pharmacal. Exp. Therap. 130, 1-8 

  7. Cooper, D. Y., S. Levine, S. Narasimhulu, O. Ro-senthal and R. W. Estabrook. 1965. Photochemical action spectrum of the terminal oxidase of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Science. 147, 400-402 

  8. Forman, B. M., I. Tzameli, H. S. Choi, J. Chen, D. Simha, W. Seol, R. M. Evans and D. D. Moore. 1998. Androstane metabolites bind to and deactivate the nuclear receptor CAR-beta. Nature. 395, 612-615 

  9. Honkakoski, P., A. Kojo and M. A. Lang. 1992. Reg-ulation of the mouse liver cytochrome P450 2B subfamily by sex hormones and phenobarbital. Biochemical. J. 285, 979-983 

  10. Honkakoski, P., R. Moore, K. Washburn and M. Negishi. 1988. Activation by diverse xenochemicals of the 51-base pair phenobarbital-response enhancer module in the CYP2B10 gene. Mol. Pharmacal. 53, 597-601 

  11. Honkakoski, P. and M. Negishi. 1997. Character-ization of a phenobarbital-responsive enhancer mod-ule in mouse P450 Cyp2blO gene. J. BioI. Chem. 272, 14943-14949 

  12. Honkakoski, P. and M. Negishi. 2000. Regulation of cytochrome P450 (CYP) genes by nuclear receptors. Biochem. J. 347, 321-337 

  13. Honkakoski, P., I. Zelko, T. Sueyoshi and M. Negishi. 1998. The nuclear orphan receptor CAR-retinoid X receptor heterodimer activates the phenobarbital-responsive enhancer module of the CYP2B gene. Mol. Cell Bioi. 18, 5652-5658 

  14. Jean, A., A. Reiss, M. Desrochers, S. Dubois, E. Trottier, Y. Trottier, L. Wirtanen, M. Adesnik, D. J. Waxman and A. Anderson. 1994. Rat liver cyto-chrome P450 2B3: structure of the CYP2B3 gene and immunological identification of a constitutive P450 2B3-like protein in rat liver. DNA Cell BioI. 13, 781-792 

  15. Johnson, E. F., K. J. Griffin and U. S. Keith. 1999. Molecular mechanisms of cytochrome P-450 induction by xenobiotics: An expanded role for nuclear hormone receptors. Molecular Pharmacology. 56, 851-857 

  16. Kawamoto, T., T. Sueyoshi, I. Zelko, R. Moore, K. Washburn and M. Negish. 1999. Phenobarbital responsive nuclear translocation of the receptor CAR in induction of the CYP2B gene. Mol. Cell Bioi. 19, 6318-6322 

  17. Kim, J. and B. Kemper. 1997. Phenobarbital alters protein binding to the CYP2Bl/2 phenobarbital-responsive unit in native chromatin. J. Bioi. Chem. 272, 29423-29426 

  18. Kim, J., G. Min and B. Kemper. 2001. Chromatin assembly enhances binding to the CYP2B1 phenobar-bital-responsive unit (PBRD) of nuclear factor-1, which binds simultaneously with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retinoid $\times$ receptor (RXR) and enhances CAR/RXR-mediated activation of the PBRU. J. Biol. Chem. 276, 7559-7567 

  19. Kim, J., I. Rivera-Rivera and B. Kemper. 2000. Tissue-specific chromatin structure of the CYP2B1 phenobar-bital-responsive unit and proximal promotor and modulation by phenobarbital. Nucleic Acids Res. 28, 1126-1132 

  20. Liu, S., Y. Park, I. Rivera-Rivera, H. Li and B. Kemper. 1998. Nuclear factor-1 motif and redundant regulatory elements comprise phenobarbital-responsive enhancer in CYP2B1/2. DNA Cell Bioi. 17, 461-470 

  21. Min, G., J. K. Kemper and B. Kemper. 2002. Glucocorticoid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mediates ligand-independent nuclear translocation and activation of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in uiuo. J. BioI. Chem. 277, 26356-26363 

  22. Moore, D. and I. Tzameli. 2001. Role reversal: new insights from new ligands for the xenobiotic receptor CAR. TRENDS i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12, 7-10 

  23. Moore, L. B., D. J. Parks, S. A. Jones, R. K. Bledsoe, T. G. Consler, J. B. Stimmel, B. Goodwin, C. Liddle, S. G. Blanchard, T. M. Willson, J. L. Collins and S. A. Kliewer. 2000. Orphan nuclear receptors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and pregnene X receptor share xenobiotic and steroid ligands. J. Biol. Chern. 275, 15122-15127 

  24. Mueller, G. C. and J. A. Miller. 1949. The reductive cleavage of 4-demethylaminoazobenzene by rat liver: The intracellular distribution of the enzyme system and the requirement for triphosphopyridine nucleotide. J. BioI. Chem. 180, 1125-1136 

  25. Negishi, M. and P. Honkakoski. 2000. Regulation of cytochrome P450 (CYP) genes by nuclear receptors. Biochem. J. 347, 321-337 

  26. Negishi, M. and T. Sueyoshi. 2001. Phenobarbital response elements of Cytochrome P450 genes and nuclear receptors. Annu. Rev. Pharmacol. Toxicol. 41,123-143 

  27. Park, Y., H. Li and B. Kemper. 1996. Phenobarbital induction mediated by a distal CYP2B2 sequence in rat liver transiently transfected in situ. J. Biol. Chem. 271, 23725-23728 

  28. Ramsden, R., N. B. Beck, K. M. Sommer and C. J. Omiecinski. 1999. Phenobarbital responsiveness con-ferred by the 5-flanking region of the rat CYP2B2 gene in transgenic mice. Gene. 228, 169-179 

  29. Ramsden, R., K. M. Sommer and C. J. Omiecinski. 1993. Phenobarbital induction and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the rat CYP2B2 gene in transgenic mice. J. BioI. Chem. 268, 21722-21726 

  30. Savas, U., K. J. Griffin and E. F. Johnson. 1999. Molecular mechanisms of cytochrome P-450 induction by xenobiotics: An expanded role for nuclear hormone receptors. Molecular Pharmacology. 56, 851-857 

  31. Shervington, A. 1999. CYP2B2 gene expression and phenobarbital induction in kidneys using an in vitro transcription system. Biochem. Mol. BioI. Int. 47, 233-237 

  32. Strobel, H. W., A. Y H. Lu, J. Heidma and M. J. Coon. 1970. Phosphotidylcholine requirement in the enzymatic reduction of hemoprotein P-450 and in fatty acid, hydrocarbon, and drug hydroxylation. J. Biol. Chem. 245, 4851-4954 

  33. Sueyoshi, T., T. Kawamoto, I. Zelko, P. Honkakoski and M. Negishi. 1999. The repressed nuclear receptor CAR responds to phenobarbital in activating the human CYP2B6 gene. J. Biol. Chem. 274, 6043-6046 

  34. Sueyoshi, T. and M. Negishi. 2001. Phenobarbital response elements of cytochrome P450 genes and nuclear receptors. Annu. Rev. Pharmacol. Toxicol. 41, 123-143 

  35. Suwa, Y, Y Mizukami, K. Sogawa and Y. FujiiKuriyama. 1985. Gene structure of a major form of phenobarbital-inducible cytochrome P-450 in rat liver. J. Biol. Chem. 260, 7980-7984 

  36. Trottier, E., A. Belzil, C. Stoltz and A. Anderson. 1995. Localization of a phenobarbital-responsive el-ement (PBRE) in the 5'-flanking region of the rat CYP2B2 gene. Gene 158, 263-268 

  37. Tzameli, I., P. Pissios, E. G. Schuetz and D. D. Moore. 2000. The xenobiotic compound 1,4-bis[2-(3,5dichloropyridyloxy)] benzene is an agonist ligand for the nuclear receptor CAR. Mol. Cell Bioi. 20, 2951-2958 

  38. Waxman, D. J. 1999. P450 gene induction by struc-turally diverse xenochemicals: central role of nuclear receptors CAR, PXR, and PPAR.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369, 11-23 

  39. Waxman, D. J. and L. Azaroff. 1992. Phenobarbital induction of cytochrome P-450 gene expression. Biochem. J. 281, 577-592 

  40. Wei, P., J. Zhang, M. Egan-Hafley, S. Liang and D. D. Moore. 2000. The nuclear receptor CAR mediates specific xenobiotic induction of drug metabolism. Nature. 407, 920-9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