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단백질 영양상태와 골대사
A Study of Protein Nutritional Status and Bone Metabolism of Postmenopausal Vegetarian Wom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4, 2003년, pp.608 - 613  

김미현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승정자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단백질 영양상태와 골밀도 및 골대사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 체질량지수 등의 요인이 차이가 없도록 채식군 38명, 일반식군 38명 총 76명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영양소 섭취량, 골밀도, 골대사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채식군과 일반식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60.7세와 60.5세였으며, 두 군간의 연령,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섭취상태 분석결과 열량 섭취량은 채식군이 1518.4㎉(권장량의 82.7%)로 일반식군 1355.4 ㎉(72.6%)보다 높았다. 1일 평균 단백질의 섭취량은 채식군 52.6 g(권장량의 95.6%)과 일반식군 51.8 g(권장량의 94.2%)으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이중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비율은 채식군이 15.3%, 일반식군이 34.9%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칼슘의 섭취량은 채식군이 492.6 mg(권장량의 70.3%), 일반식군이 436.5 mg(권장량의 62.3%)으로 두 군 모두 낮은 섭취수준을 보였다. 혈액성상 분석 결과 총 단백질의 함량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알부민은 채식군이 일반식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1). 요추와 대퇴경부의 평균 골밀도는 두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골대사 지표인 소변 중 디옥시피리디놀린(DPD) 함량은 채식군이 6.7 nM/mM Cr, 일반식군이 6.9 nM/mM Cr로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소변의 pH는 채식군 6.60, 일반식군 6.23으로 일반식군의 소변의 산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단백질 영양상태와 골밀도 및 골대사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과 체질량지수 보정 후 채식군의 소변 디옥시피리디놀린 배설량은 단백질(p<0.05), 식물성 단백질(p<0.05)의 섭취량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일반군의 경우 혈청 총 단백질(p<0.05)과 알부민 함량(p<0.05)은 소변중 디옥시피리디놀린 배설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은 단백질의 섭취량 및 혈청 함량이 정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칼슘의 섭취량은 일반 폐경 후 여성에서와 같이 권장량의 70%수준의 낮은 섭취상태를 보여 채식인의 경우도 칼슘의 섭취부족이 영양상의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와 골대사 지표 측정결과 채식군과 일반식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채식이 골대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채식인의 경우 총 단백질 및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량이 골용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식군에서보다 채식군에서 적절한 단백질의 섭취가 골격 건강 유지에 중요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terests in the influences of vegetarian diet on bone mineral density after menopause have been rapid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otein nutritional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postmenopausal vegetarian women with that of the omnivores. Vegetarian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디옥시피리디놀린은 폐경 후 여성에서 폐경 전 여성에 비하여 가장 많이 상승되는 골용해 생화학지 표이 다(2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밀도의 측정과 함께 소변의 디옥시 피리디놀린의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소변중 디옥 시피 리디놀린 함량은 채식군이 6.
  • 또한 폐경 후 여성 호르몬의 급격한 감소는 골밀도의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령, 폐경 연령, 폐경 후 경과 기간 등을 고려하여 대상자를 선별함으로써 두 군의 골밀도 비교시 이러한 요인의 영향을 배제하였다.
  • 본 연구는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단백질 영양상태와 골밀도 및 골대사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 체질량 지수 등의 요인이 차이가 없도록 채식군 38명, 일반식군 38명 총 76명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영양소 섭취량, 골밀도, 골대 사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채식군과 일반식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60.
  • 골다공증에는 식이 단백질뿐만 아니라 연령, 체矿 칼슘, 알코올, 흡연, 카페인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관여하m로(5, 7) 본 연구에서는 식이 단 백 질급 원의 섭취에 차이를 보이는 채식인과 일반식 인을 예비조사를 통하여 알코올이나" 흡연을 하는 대상자를 제외하고 체질량지수와 연령 등의 골대 사와 관련된 주요 요인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채식 군 38명)과 일반식군(38명)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단백질 섭취 량과 혈청 단백질 및 알부민 함량, 골밀도와 골대사지표 를 측정 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채식을 하는 폐 경 후 여성의 단백질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채식인의 단백질 영양 상태와 골 대사와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폐경 후 여성의 골격 건강을 위한 식사지 침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폐경 후 여성에서 채식과 골 밀도 및 골대 사의 관련성을 단백질 영양 상태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골다공증에는 식이 단백질뿐만 아니라 연령, 체矿 칼슘, 알코올, 흡연, 카페인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관여하m로(5, 7) 본 연구에서는 식이 단 백 질급 원의 섭취에 차이를 보이는 채식인과 일반식 인을 예비조사를 통하여 알코올이나" 흡연을 하는 대상자를 제외하고 체질량지수와 연령 등의 골대 사와 관련된 주요 요인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채식 군 38명)과 일반식군(38명)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단백질 섭취 량과 혈청 단백질 및 알부민 함량, 골밀도와 골대사지표 를 측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1. Life table.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2. http://www.nos.go.kr/cgibin/sws_999.cgi?ID_2GA, http://www.nso.go.kr/cgi-bin/ sws_999.cgi?ID_2GA26 &IDTYPE3. 

  3. Mazess RB, Mather W. 1974. Bone mineral content of North Alaskan Eskimos. Am J Clin Nutr 27: 916-25. 

  4. Mazess RB, Mather WE. 1975. Bone mineral content in Canadian Eskimos. Hum Biol 47: 44-63. 

  5. Hu JF, Zhao XH, Parpia B, Campbell TC. 1993. Dietary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and acids: a crosssectional study of women in China. Am J Clin Nutr 58: 398-406. 

  6. Kerstetter JE, O'Brien KO, Insogna KL. 1998. Dietary protein affects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Am J Clin Nutr 68: 859-865. 

  7. Feskanich D, Willett WC, Stampfer MJ, Colditz GA. 1996. Protein consumption and bone fractures in women. Am J Epidemiol 143: 472-9. 

  8. Messina M, Messina V. 1994. The simple soybean and your health. Avery Publishing Group, NY. p 19. 

  9. Pi JE, Haek HY. 1986. The effect of meat protein and soy protein on calcium metabolism in young adult Korean women. Korean J Nutrition 19: 32-40. 

  10. Ellis FR, Pathol FRX, Holesh S, Ellis JW. 1972. Incidence of osteoporosis in vegetarians and omnivores. Am J Clin Nutr 25: 555-558. 

  11. Marsh AG, Sanchez TV, Midkelsen O, Keiser J, Mayor G. 1980. Cortical bone density of adult lacto-ovo-vegetarian and omnivorous women. J Am Diet Assoc 76: 148-151. 

  12. Marsh AG, Sanchez TV, Chaffee FL, Mayor GH, Mickelsen O. 1983. Bone mineral mass in adult lacto-ovo-vegetarian and omnivorous males. Am J Clin Nutr 37: 453-456. 

  13. Di Leo C, Tarolo GL, Bestetti A, Tagliabue L, Del Sole A, Aliberti G, Cestaro B, Pepe L. 2000. Osteoporosis and phytoestrogens: an assessment of bone mineral density via quantitative peripheral computed tomography in milk-eggvegetarian women in the premenopause. Radiol Med (Torino) 99: 250-257. 

  14. Marsh AG, Sanchez TV, Michelsen O, Chaffee FL, Fagal SM. 1988. Vegetarian lifestyle and bone mineral density. Am J Clin Nutr 48: 837-841. 

  15. Tesar R, Notelovitz M, Shim E, Kauwell G, Brown J. 1992. Axial and peripheral bone density and nutrient intakes of postmenopausal vegetarian and omnivorous women. Am J Clin Nutr 56: 699-704. 

  16. Lau EM, Kwok T, Woo J, Ho SC. 1998. Bone mineral density in Chinese elderly female vegetarians, vegans, lacto-vegetarians and omnivores. Eur J Clin Nutr 52: 60-64. 

  17. Lee HJ, Choi MJ. 1996. The effect of nutrient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on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women in Taegu (I). Korean J Nutirition 29: 622-634. 

  18. Lee HJ, Choi MJ, Lee IK. 1996. The effect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body composition on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women in Taegu (II). Korean J Nutrition 29: 778-788. 

  19. Recker RR, Lappe JM, Davies KM, Kimmel DB. 1992. Change in bone mass immediately before menopause. J Bone Miner Res 7: 857-862. 

  20. Supawan V, Pongpaew P, Tungtrongchitr R, Tawprasert S, Changbumrung S, Migasena P, Schelp FP. 1992. Lipid profile, anthropometry and dietary intake of 132 Thai vegetarians. Int J Vitam Nutr Res 62: 324-329.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 

  22. Gibson RS. 1990. Principle of nutrition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3. Anderson GH, Drapper HH. 1972. Effect of dietary phosphorus on calcium metabolism in intact and parathyroidectomized adult rats. J Nutr 102: 1123. 

  24. Kim KS. 1996 A plan of selection and application to biochemical makers. The third Osteoporosis Symposium, Korea. p 41-45. 

  25. Min YK. 1998. Clinical usefulness of biochemical makers for the side of new medicine. '98 New Horizon of Osteoporosis (Osteoporosis Symposium). p 15-21. 

  26. Wachman A, Bernstein DS. 1968. Diet and osteoporosis. Lancet 1 (7549): 958-959. 

  27. Sherman HC. 1920. Nutrition Classics. Protein requirement of maintenance in man and the nutritive efficiency of bread protein. J Bio Chem 41: 97-109. 

  28. Lawrence GR, Smith JA. 1989. Pathogene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nn Rev Med 40: 251. 

  29. Bonjour JP, Rapin CH, Rizzoli R, Tkatch L, Delmi M, Chevalley T, Nydegger V, Slosman D, Vasey H. 1992. Hip fracture,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and protein supply in elderly patients. In Nutrition of the elderly. Munro H, Schliert G, eds. Nestle Nutrition Workshop Series 29: 151. 

  30. Munger RG, Cerhan JR, Chiu BCH. 1999.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protein intake and risk of hip fracture in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69: 147-152. 

  31. Kerstetter JE, O'Brien KO, Insogna KL. 1998. Dietary protein affects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Am. J Clin Nutr 68: 859-8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