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 심층수 및 염을 이용한 식빵의 품질 특성
Effects of Deep Seawater and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0 no.3, 2003년, pp.326 - 332  

김미림 (경북과학대학 첨단발효식품과) ,  정지숙 (경북과학대학 전통식품연구소) ,  이명희 (경북과학대학 첨단발효식품과) ,  이기동 (경북과학대학 첨단발효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 심층수는 일본, 미국 등에서 200 m 이하의 심해에서 취수되고 있으며, 물의 특성으로 부영양성, 저온안정성 및 청정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빵의 효모증식에 대한 해양 심층수와 그 염의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해양 심층수와 심층수염을 첨가하여 발효한 빵의 부피증가율은 증류수만을 사용한 빵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식빵의 기공 형태는 증류수로 제조된 식빵의 기공보다 둥글고 일정하였다. 한편, 식빵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증류수와 심층수염을 혼합하여 첨가한 식빵이 6.56으로 가장 높은 관능평점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ep seawater is pumped up about 200 m water depth,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rich nutrients, low temperature and cleann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ep seawater and deep seawater salt on the yeast growth of fermented bread. The rate of increase in volume of group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풍부한 미네럴을 함유하고 있는 해양 심층수와 심충수염을 이용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그 품질 특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식빵 제조시 발효시간 단축 및 기 능성 식빵 개발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istry of environment. (2003) International year of freshwater. Ministry of environment research 

  2. Korea ocean research Lab. (2000) Feasibility study for the multipurpose development of deep ocean water resource. MOMAF Report UCM00903-2284 

  3. Takahashi M. (2001) Future resources, it learns from the sea. Academybook. p.78 

  4. Takahashi M. (2001) It knows and the deep sea water. Doseo publ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3, 35-37 

  5. Song J.E., Han J.S. and Kwon S.H. (1997)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urchase of bread by college students in the Daegu area. Resources problem laboratory. 16, 97-108 

  6. Seo N.S. (1994) Technical development trend of bread industry. Korean J. Soc. Food Sci. 10, 209-218 

  7. Choi S.H. (1985) Selection and quality of bread resource. Food Science. 18, 21-26 

  8. Kim S.J. (2001) Change in the quality specialty according to storage period of Paecilomyces Japonica added bread. Hom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9. Im J.G. and Kim Y.H. (1999) Effect of green tea addition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Korean J. Soc. Food Sci. 15, 395-401 

  10. Park G.S. and Lee S.J. (1999) Effects of job's tears powder and green tea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 Korean J Food & Nutr. 28, 1244-1251 

  11. Hwang Y.K., Hyun Y.H. and Lee Y.S. (2001)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Food & Nutr. 14, 311-316 

  12. Kim J.S. and Kang KJ. (1998) Effect of laminaria addition on the shelf-life and texture of Bread. Korean J Food & Nutr. 11, 556-560 

  13. Kim M.L., Park G.S., Park C.S. and An S.H. (2000) Effect of spice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 Korean J. Soc. Food Sci. 16, 245-254 

  14. Kim O.H., Choi O.J., Kim Y.D., Kang S.K, Ree H.J. and Lee S.Y. (2001)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coriander. Korean J. Soc. Food Sci. 17, 269-274 

  15. Lee H.Y, Kim S.M., Kim J.Y, Youn S.K, Choi J.S., Park S.M. and Ahn D.H. (2002)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bread added chitos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49-453 

  16. Lee K.A., Lee Y.J. and Ly S.Y. (1999) Effects of oligosaccharides on physical,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Korean J Food & Nutr. 28, 547-553 

  17. Lee, G.D. and Jeong, Y.J. (1999) Optimization on organolpetic properties of red pepper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69··1274 

  18. Bushuk W, Briggs K.G., Shebeski L.H. (1969) Protein quantity and quality as facters in the evaluation of bread wheats. Can. J. Plant Sci. 49, 113-122 

  19. He H, Hosney R.C. (1992) Effects of the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 17-19 

  20. Bertrand D., Guemeve C, Marion D., Devaux M.F. and Robert P. (1992) Description of the textural appearance of bread crumb by video image analysis. Cereal chem., 69, 257-261 

  21. Day D.D and Rogers D. (1996) Fourier-based texture measures with application to the analysis of the cell structure of baked products. Digital signal processing, 6, 138-144 

  22. Harrigan K.A. (1997) Particle size analysis using automated image analysis. Cereal foods World, 42, 30-35 

  23. Sugden D. (1998) Bubbles in bread. World grai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