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심층수 소금을 이용한 민어 염건품 제조 및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Salted and Dried Brown-Croaker Product Prepared with Deep Seawater Sal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2, 2011년, pp.235 - 244  

주동식 (한중대학교 외식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심층수 및 해양심층수 소금을 이용하여 민어 염건품 제조 조건을 확인한 결과, 민어 어체의 전처리 조건이 염건품 품질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장만을 제거하고 부레와 복부지방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염의 침투도 원활하지 않으며, 가공 중 지방의 산패나 미생물의 성장에 의한 품질 저하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어체 중량에 대해 20% 염 농도로 염장하는 것이 적절하였고, 특히 이 염장 농도에서 염장 시간에 따른 제품의 염도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염장시간은 상온($20\sim25^{\circ}C$)에서 12시간이 적절하였다. 한편, 건조온도$30^{\circ}C$ 조건에서 24시간 건조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에 가장 바람직한 조건이었다. 한편, 해양심층수 소금과 시판 소금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한 민어 염장품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관찰한 결과, 시판 소금의 경우 소금에서 유래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가공 중 품질의 저하는 물론이고 저장 중에도 POV나 AV의 증가, 생균수의 증가 정도가 해양심 층수 소금을 사용한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산 변화는 관능검사 결과, 시판 소금에 비해 해양심층수 소금이 민어 염건품 제조에 있어서 가공 공정 중이나 저장 중에도 품질을 유지하는데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해양심층수는 염장 후 2차 수세 시에 해양심층수를 사용하고, 염장 시에는 어체 중량에 대해 20% 농도로 상온에서 12시간 정도 염장을 행한 다음 $30^{\circ}C$ 온도 조건에서 24시간 건조하는 조건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민어 염건품의 경우 냉장 유통 과정에서 2주 이상을 경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changes in salted and dried brown croaker products using deep seawater salt were investigated for preparation with different pretreatment, salting and drying conditions. Optimum salt concentration, salting time and drying time for product were 20% of bod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고급어종으로 인식되어 있는 양식민어(Miichthys miiuy, brown croaker)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술로서 해양심층수 및 해양심층수 소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즉, 염장 및 염지액을 해양심층수나 해양심층수 소금을 사용하여 민어염건품을 제조하여 시판 소금으로 제조한 제품과의 비교실험을 통해 제품의 품질, 위생성 및 저장성 등에 있어서 해양심층수 및 해양심층수 소금의 수산가공품 제조에의 효과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고급어종으로 인식되어 있는 양식민어(Miichthys miiuy, brown croaker)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술로서 해양심층수 및 해양심층수 소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즉, 염장 및 염지액을 해양심층수나 해양심층수 소금을 사용하여 민어염건품을 제조하여 시판 소금으로 제조한 제품과의 비교실험을 통해 제품의 품질, 위생성 및 저장성 등에 있어서 해양심층수 및 해양심층수 소금의 수산가공품 제조에의 효과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심층수는 어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가? 해양심층수는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 m 이하에 존재하는 해수로 수온이 5 °C이하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해양식물 생장에 필수적인 영양염류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이나 병원균 등이 거의 없는 청정한 해양 수자원이다 (1).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해양심층수는 먹는 물 자원이나수산생산 및 가공, 농업 생산 분야, 에너지 분야, 미네랄 자원, 유용물질 생산 분야, 의약, 미용, 건강 등의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2). 수산분야에서는 해조류 생산, 미세조류, 어류 생산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식품 분야의 활용에 있어서는 수산가공품 분야의 절임식품, 어묵, 연제품, 건조제품 등에 활용이 가능하며, 미네랄워터, 청량음료수 등의 식음류, 청주, 맥주, 소주 등의 주류 제조(3), 된장, 간장, 빵, 청국장 등 발효양조식품류, 기타 두부나 과자류 등의 식품가공분야에 이용 가능하다(4).
공업 제품에서 해양심층수를 어떻게 이용하는가? 수산분야에서는 해조류 생산, 미세조류, 어류 생산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식품 분야의 활용에 있어서는 수산가공품 분야의 절임식품, 어묵, 연제품, 건조제품 등에 활용이 가능하며, 미네랄워터, 청량음료수 등의 식음류, 청주, 맥주, 소주 등의 주류 제조(3), 된장, 간장, 빵, 청국장 등 발효양조식품류, 기타 두부나 과자류 등의 식품가공분야에 이용 가능하다(4). 아울러 공업 제품으로서는 화장품의 기초화장수, 샴푸, 린스, 입욕제, 물티슈와 같은 화장품 제품에도 이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미네랄성분이나 저온 특성을 활용한 농업분야에의 적용에 대한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해양심층수는 어떤 자원인가? 해양심층수는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 m 이하에 존재하는 해수로 수온이 5 °C이하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해양식물 생장에 필수적인 영양염류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이나 병원균 등이 거의 없는 청정한 해양 수자원이다 (1).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해양심층수는 먹는 물 자원이나수산생산 및 가공, 농업 생산 분야, 에너지 분야, 미네랄 자원, 유용물질 생산 분야, 의약, 미용, 건강 등의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akahashi M. 2001. Deep seawater. Doseo Press (Science Technology), Seoul, Korea. 

  2. Takahashi M. 2002. Future source, take up from sea. Academy Press, Seoul, Korea. 

  3. Kim ML, Jeong JS, Lee MH, Lee GD. 2003. Effect of deep seawater and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Korean J Food Preserv 10: 326-332. 

  4. Kim ML, Jeong JS, Lee GD. 2003. Changes in growth of alcohol fermentation yeast with addition of deep seawater. Korean J Food Preserv 10: 417-420. 

  5. Lee GD, Kim SK, Kim JO, Kim ML. 2003.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muskmelon with deep seawater salt, sun-dried and purified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40-846. 

  6. Kim O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s of deep seawater as a functional material. PhD Dissertation.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Gangwon, Korea. p 73-76. 

  7.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ap. 35, p 5-11. 

  8. Lee JS, Joo DS, Kim JS, Cho SY, Lee SH. 1993. Processing of a good quality salted and semi-dried mackeral by high osmotic pressure resin dehydration under cold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468-474. 

  9. Conway EJ. 1950. Micro-diffusion analysis and volumetric error. 1st ed. Cosby Lochwood and Son Ltd, London, UK. 

  10. Kim SM, Lee JM. 2004. Quality changes of seasoned and smoked products of skipjack tuna captured in the east sea. J Korean Fish Soc 37: 77-84. 

  11. Cho SY, Endo Y, Fujimoto K, Kameda T. 1989. Oxidative deterioration of lipids in salted and dried sardine during at 5 ${^{\circ}C}$ . Nippon Suisan Gakkaishi 55: 541-544. 

  12. Nakamura K, Fujii Y, Ishikawa S. 1978. Changes of the chemical components in sardine meat during salting, drying and storage. Bull Tokai Reg Fish Res Lab 95: 75-82. 

  13. Moon DS, Kim HJ, Shin PK, Jeong DH. 2005.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ntents of horizontal spray salts from deep ocean water. J Korean Fish Soc 38: 65-69. 

  14. Lee SW, Lee BS, Cha WS, Park JH, Oh SL, Cho YJ, Kim JK, Hong JH, Lee WY. 2004. Diffusion of salt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Korean J Food Preserv 11: 508-515. 

  15. Tashiro I, Tsuyuki H. 1984. Rancidity of lipids in meat of salted semi-dried horse mackerel.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81: 511-519. 

  16. You BJ. 1997. Changes of salmon meat texture during semi-drying process. J Korean Fish Soc 30: 264-270. 

  17. Shim KB, Kim TJ, Ju JM, Cho YJ. 2001. Establishment of processing conditions of salted anchovy. Bull Korean Fish Soc 34: 98-102. 

  18. Nakamura K, Ishikawa S. 1980.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ortions during Storage. Bull Tokai Reg Fish Res Lab 102: 67-76. 

  19. Tsubouchi T, Matsui K, Kusaka H, Ohta S, Kamimura S. 1985.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the drying and smoking of pacific saury. Oil Chem 34: 563-5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