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기간의 카르니틴 보충섭취가 건강한 성인남성의 혈장 카르니틴농도 및 소변내 배설량, 혈장 지질수준과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Term Supplementation of Carnitine on Plasma and Urinary Carnitine and Plasma Lipid Levels of Healthy Male Adult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36 no.7, 2003년, pp.720 - 728  

정은정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  엄영숙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차연수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유전공학연구소) ,  박태선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nges in plasma concentration and urinary excretion of carnitine, as well as plasma lipid level and fatty acid composition, caused by short term supplementation of carnitine in humans. Ten healthy male subjects (21.2 $\pm$ 0.5 years old) received o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2주간의 카르니틴 보충 섭취에 따른 혈액 카르니틴 농도 및 배설량의 변화를 보충 전과 비교 평가하므로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섭취되는 경우 카르니틴의 섭취효과 및 체내 대사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한편, 정상인을 대상으로 1 g의 카르니틴을 정맥내로 주사한 후 4시간동안 혈중지질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농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尸 본 연구의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카르니틴 보충이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에 유의적인 변화를 초래하지 않은 가능한 이유에 대해 혈중 지질농도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던 점, 그리고 2 주간의 카르니틴 보충이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를 유도하기에 불충분한 기간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