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활용 절임수로 제조한 배추 김치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Salted with Recycled Wastebrine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19 no.5, 2003년, pp.609 - 615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과학과) ,  이숙영 (경희대학교 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김치 제조 과정에서 절임염수를 재활용하기위해 5회 반복 사용 폐절임수(F), 5회 사용한 염수를 가는 모래로 처리한 1차 처리수(F1) 및 1차 처리수를 활성탄으로 여과한 2차 처리수(F2)를 절임염수로 김치를 제조하여 김치 숙성 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도와 가용성고형물의 김치 숙성 중 변화 양상은 시료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지만 5회 사용염수김치(F)의 염도와 가용성고형물이 다른 시료나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았다. 김치 숙성 동안의 pH와 적정산도는 대조군과 F1김치는 비슷한 pH와 산도 변화를 보였고, F김치는 가장 빠르게 숙성되는 변화를 나타낸 반면 F2는 가장 느린 숙성속도를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F시료가 가장 높았고, F2시료가 가장 낮았으며, 젖산균수는 F시료에서 가장 낮은 수를 나타내었고 대조군과 F1시료는 비슷하였다. 숙성적기의 관능평가 결과 외관, 냄새(신냄새, 부패냄새), 맛(신맛, 전체적 맛)과 질감(질긴정도, 아삭함)에서 F시료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F1과 대조군은 유사한 점수를 받았으며 F2는 가장 신냄새와 신맛이 약하고 질긴정도가 높은 김치로 평가되었다. 김치의 특성과 관능평가 결과 반복 사용한 폐염수는 재사용할 경우 김치 품질이 나빠질 것으로 판단되는 반면 가는 모래나 활성탄으로 여과처리한 후 절임염수로 재활용하는 경우는 대조군 김치와 품질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절임염수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Kimchi manufacturing industry, the process of brining baechu produces a vast amount of high salinity waste water. To study if this brine can be recycl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salted by waste brine(F), which was used five times successively, was compared with those salted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 제조 과정에서 절임수를 5회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5회 반복사용 절임염수와 전보17)에서 제안한 가는 모래와 활성탄에 의해 여과처리로 재생된 재활용수를 절임수로 사용하였을 때 김치의 품질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the same letter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TD : The market structure and promotion strategy of Kimchi industry. In The Science of Kimchi, p 400,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1994 

  2. Yoon, HH, Jeon EJ, Sung, SJ and Kim, DM : Characteristics of waste brine from the salting process of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7, 2000 

  3. Kim, DM and Lee, JH : Current status of Korean Kimchi industry and R&D tren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3):52, 2001 

  4. Rhee, HS, Lee, CH and Lee, GJ :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Soc. Food Sci., 3:64, 1987 

  5. Yi, H, Kim, J, Hyung, H, Lee S and Lee, CH : Cleaner production option in a food(Kimchi) industry. J. Cleaner Prod., 9:35, 2001 

  6. Kim, BG : Reuse of brining wastewater in Kimchi industry. The Report of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Korea, 1997 

  7. Han, ES and Seok, MS : The development of salting-process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ocessing plant. Food Ind. Nutr., 1:50, 1996 

  8. Yoon, HH, Jin SK, Choi, HK, Choi, SK and Kim, DM : Change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reused brines during salting process of spring Chinese cabbage. Food Eng. Prog., 3:199, 1999 

  9. Kim, WJ, Ku, KH and Cho, HO : Changes i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83, 1988 

  10. Kim, JB, Yoo, MS, Cho, HY, Choi, DW and Pyun, YR : Change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during salting and blanch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2:445, 1990 

  11. Han, ES, Seok, MS, Park, JH, JO, JS and Lee, HJ : Quality changes of brine during brine salting of Highland Baechu. Food Eng. Prog., 2:85, 1996 

  12. Han, ES, Seok, MS, Park, JH and Lee, HJ :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with the package pressure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650, 1996 

  13. Hong, Sl, Park, NH and Koo, YJ : Effect of vacuurnizing conditions on quality changes of flexible pack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90, 1996 

  14. Han, ES :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by packaging method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283, 1994 

  15. Koh, HY, Lee, H and Yang, HC :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nd Kimchi during freez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Nutr., 22:62, 1993 

  16. Han, ES, Seok, MS and Park, JH : Quality changes of salted Baechu with packaging methods during long 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307, 1998 

  17. Yoon, HH and Kim, DM : Effects of filt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reused waste brine in Kimchi manufactur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4(3):444, 2002 

  18. Ku, KH, Cho, JS, Park, WS and Nam YJ : Effects of sorbitol and sugar sources o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794, 1999 

  19.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p. 250, 신광출판사, 서울, 1993 

  20. Kim, YK : Water treatment technology and management using active carbon. Sinkwang Press, Seoul, Korea, 1995 

  21. Kim, MK, Kim, SD and Oh, YA : 제1회 김치의 과학과 산업화 심포지움 - 김치의 보존성 증진 방안. 식품산업과 영양, 1(1):71, 1996 

  22. Shim, ST, Lee, KJ and Kyung, KH : Effects of soluble-solids contents of Chinese cabbages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3):278, 1990 

  23. Shin, DH :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rnarket Kimchi duribg fermentation in different containers. In The Science of Kimchi, p 82,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