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갯녹음현상 복원을 위한 해조장 조성 원문보기

韓國養殖 = Korean aquaculture, v.15 no.1, 2003년, pp.100 - 110  

김남길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자그마한 연구결과가 축적되다 보면 자 연재 해적인 갯녹음에 대한 보다 확실한 대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강원도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 갯녹음 복원방안으로서의 해조장조성시험 결과를 정리하여 내놓으면서 바라는 작은 희망은 이 연구결과가 갯녹음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 원인 구명 그리고 예방대책 및 해조장 조성분야 연구 및 정책수립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지침서가 될 것임을 확신하며 이 연구의 종결을 짓고자 한다.
  • 하나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변화하는 자연환경에 맞게 연안 생태계를 보존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면서 환경 조화형으로 바꾸려고 하는 시도가 복원전략의단초임을 지적해 두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갯녹음 발생해역의 물리, 화학, 생물학 및 역학적인 종합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곰피의 모조 및 유체를 이식할 목적으로 2001년 6월 19일 괭생이모자반을 채집한 곳과 같은 곳인 척포 연안의 수심 4m에서 곰피를 채집한 후 조체를 이식할 목적으로 엽장 100cm전후의 대형엽체는 부착기와 포복지를 한데 묶은 후 우렁쉥이 채묘용 팜(palm)사로 직접 결착시켰으며, 엽장 2~10cm의 유엽과 포복지는 10cm 간격으로 팜사에 끼워 넣은 상태로대형쿨러에 넣어 강원도립대학으로 운반한 후 냉각수조에 넣어 하룻밤을 보존하였다. 운반된 곰피의 유체 및 모조는 괭생이모자반과 같은 방식인해조초에 이식용 씨줄을 고정핀에 결착 시키는방법으로 이식한 후 해조장 조성 시험해역인 양양군 남애리 현장에 20개를 투하하였다.
  • 해역은 조간대에서 수심 20m까지 해조류의 서식 대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지는데 특히 수심 15m 전후에서는 참다시마 등 대형 다년생 해조군락이 풍부하여 열대나 아열대의 정글과 비슷할 정도로 울창한 해조숲을 이루고 있다. 연구진은 이렇게 해조상이 풍부한 점에 착안 처녀면을 가진 새로운 기질을 투하한 후 이곳에 강원 동해안형 해조를 착생시켜 갯녹음 해역에 이식시킬 경우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고 하는 가설을 두고 2001년 8월 10일에 표면을 거칠게 제작한 해조 초 20개를 고성군 죽도해역에 투하한 후 2001년 12월 16일에 인양하여 다음날 시험해역인 남애리의 갯녹음 해역에 20개 전량을 투하 이식하여 같은 동해안이라 하더라도 환경이 서로 다른 곳에 이식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해조류의 생리,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식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시점에서 강원 동해안의 갯녹음 원인에대해서 조사한 후 이 결과를 토대로 동해안의 갯녹음 발생에 대하여 진지하게 논의하고 해중조림기술 등 이것을 치유하고 복원할 수 있는 방안은무엇인가를 찾아내고자 한 것이 이 연구의 배경이라 할 수 있다.
  • 이번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갯녹음에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위해 술어로서의 갯녹음을 수산용어로써 정착시키고자 그 어원부터 정리하였으며 아울러 지금까지 알려진 제학설들을 수많은 문헌을 통해서 정리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착수하여 현재의결과들을 도출해 내었으나 갯녹음 발생에 대한실태파악 및 발생해역에 대한 원인분석을 완벽히하기에는 연구기간이 너무 짧아 연구자체가 다소벅찬 감이 없지 않았다.
  • 이제까지 갯녹음의 일반적인 원인과 대책 그리고 강원 동해안에서 나타나 갯녹음의 원인에 대해서 논의하고 진단하였다

가설 설정

  •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나타났지만 이 가설은 소형 다년생 해조를 이용한 해중림의조성이 결국 대형 다년생 해조에 의한 푸른 해조 숲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은 논거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