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단피로부터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Mokdan Bark (Paeonia suffruticosa AND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7, 2003년, pp.1059 - 1065  

황재선 (청강문화산업대학 푸드스타일리스트과) ,  한영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야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식물인 목단피를 건조시켜 분쇄한 후 methanol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 부패 미생물의 증식 억제 효과를 검색하고 그 항균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목단피의 methanol 추출물은 1500$\mu\textrm{g}$/mL 농도에서 B. subtilis,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을 100% 억제하였으며 S. aureus, E. coli도 같은 농도에서 각각 36.31%와 67.81%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목단피의 ethylacetate 분획 추출물은 낮은 농도인 500$\mu\textrm{g}$/disc의 농도에서 식품 부패 미생물 5종 모두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L. monocytogenes, E. coli균에 대해서는 낮은 농도인 500$\mu\textrm{g}$/disc에서 각각 12mm, 11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목단피의 ethylacetate추출물을 silica gel colum chromatography(7cm${\times}$1.2 cm)한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실시하여 항균 실험을 한 결과 B. subtilis의 경우 500 $\mu\textrm{g}$/disc 농도에서 2nd fra. 1이 21mm, V. parahaemolyticus는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14mm를 형성하여 목단피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여 분리한 ethylacetate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y와 TLC를 하여 항균성을 보인 2nd fra. 1의 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HPLC로 단일분리하여 얻은 peak Ⅸ에 대한 compound를 GC-MS로 분석한 결과 peak Ⅸ에서는 isobutyl isopentanoate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microbial activity of Mokdan bark (Paeonia suffruticosa $A_{NDR}$) was investigated. Methanol extract of dried Mokdan was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nd aqueous fraction. Ethylacetate fraction among these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풀어주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8). 본 연구에서는 천연식품보존제 개발의 일환으로 예로부터 구황식물이자 약용식물로 이 용되어 온 목단피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균성을 살펴보고, 항균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EY, Shin DH, Baek NI, Oh JA.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 Korean J Food Sci Tech 30: 680-687. 

  2. Oh DH, Ham SS, Park BK, Ahn C, Yu JY. 199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 30: 957-963. 

  3. Kim YS, Shin DH. 2003. Reaserches on the volatile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edible plants and their food Appl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 35: 159-165. 

  4. Kim SI. 1997. Effect of wild plants on the microbial shelf-life of bread and rice cake. Ph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 34-38. 

  5. Kim KH.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dandelions and plantains and their effects when added to processed foodstuffs.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 20-28. 

  6. Ma SJ, Ko BS, Park KH. 1995.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bark of Aralia elata. Korean J Food Sci Tech 27: 807-812. 

  7. An EY, Han JS, Shin DH. 1997. Growth inhibition of Lisreria monocytogenes by pure compound isolation from extract of Morus alba Linne Bark. Korean J Food Sci Tech 29: 1236-1240. 

  8. Choj YJ. 1991. Growing and using wild edible greens. Osung Publishing Company, Seoul. p 252-259. 

  9.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 17: 148-152. 

  10. Farag RS, Daw ZY, Hewidi FM, EI-Baroty GSA. 1989.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gyptian spice essential oils. J Food Prot 52: 665-671. 

  11. Lemos TLG, Matos FJA, Alencar JW, Craveiro AA, Clark AM, McCheesney JD. 1990.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Brazillian plants. Phytother Res 4: 82-88. 

  12. Kim JM, Marshall MR, Wei CI. 1995.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essential oil components against five foodborne pathogens. J Agric Food Chem 43: 2839-2842. 

  13. Kim KY, Chung DO, Chung HJ. 1997.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Korean J Food Sci Tech 29: 400-412. 

  14. Nam SH, Yang MS. 1997.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n boreale M. J Agri Chem Biotech 38: 82-91. 

  15. Kim SI, Han YS.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Sancho. Korean J Soc Food Sci 13: 56-63. 

  16. Lee BW, Shin DH. 1991.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 23: 205-211. 

  17. Kubo I, Hisae M, Kubo A. 1993. Antibacteria activity of long-chain alcohol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J Agric Food Chem 41: 2447-2453. 

  18. Jay JM. 1986. Food preservation with chemicals. In Modern Food Microbiology. 3rd ed. Van Nostrand Reinhold Co., New York. p 257-282. 

  19. Song JH, Kwon HD, Lee WK, Park IH. 1998. Antimicrobial activity and composition of extract from Smilax china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74-5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