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김의 품질 안정성에 미치는 저장 조건의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y Stability of Dried Laver(Porphyra tener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0 no.1, 2003년, pp.32 - 36  

조길석 (원주대학 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조김의 저장 중 품질 안정성에 미치는 저장조건에 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기 위해 몇가지 광원, a$_{w}$ , 포장 및 온도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건조김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16:0(13.6%) 및 20:5(45.7%) 이었다. 건조김의 품질 안정성을 지방질 산화 및 chlorophyll 함량의 변화로 판단할 때, 건조김의 품질은 형광등 하에서 가장 악화되었고, 다음이 백열등, 암소저장 순 이었으며, 또한 a$_{w}$ 가 증가할수록,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급격히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고 기체 및 광 차단 효과가 적은 포장지에 포장한 시료일수록 품질 안정성은 악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y stability of the dried layer Porphyra tenera depending on various light sources, water activities,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temperatures were investigated by peroxide value and chlorophyll degradation. Major fatty acids of dried layer were 45.7% eicosapentaenoic acid and 13.6% palm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건조김의 저장, 유통 중 일어나는 품질변화요인 및 방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건조 김을 광원, 온도, aw 및 포장 조건하에 저장하면서 지방질 산화와 색소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조길석, 구재근, 홍상필 (1995) 김을 이용한 instant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보고서. 

  2. 大石圭一 (1993) 海藻 科學. 朝倉書店, 甘本, 71-99 

  3. 朴榮浩 (1973) 高濕度下에 있어서의 마른김의 成分變化에 關한 硏究 釜山水大年報, 13, 233-260 

  4. Yoshie, Y., Suzuki, T., Shirai, T. and Hirano, T. (1994) Changes i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minerals, free amino acids and fatty acids during processing of dried nori. Japan. Soc. Sci. Fish., 60, 117-121 

  5. Yoshie, Y., Suzuki, T., Shirai, T. and Hirano, T. (1993) Free amino ac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in dried nori of various culture locations and prices. Japan. Soc. Sci. Fish., 59, 1769-1777 

  6. Araki, S., Ogawa, H. and Kayama, M. (1983) Flavor of dried 'nori' at different activit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dimethyl sulfide production. Japan. Soc. Sci. Fish., 49, 1717-1728 

  7. Cha, Y.J., Lee, E.R, Oh, K.S. and Lee T.H. (1985) Lipid components of dried laver (cultured Porphyra tenera and wild Porphyra suborbiculata) producted at Wan-do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18, 433-439 

  8. Kayama, M., hnayoshi, J., Araki, S. and Saito, M. (1983) Changes in the lipids of dried laver 'nori' at different activities. Japan. Soc. Sci. Fish., 49, 787-795 

  9. Usuki, R. (1989) Oxidative deterioration of commercial fried foods containing chlorophylis. Japan. Soc. Food Tech., 36, 475-482 

  10. Hirata, T, Ishitani, T. and Yamada, T. (1984) Effects of sub-zero temperature, atmosphere and moisture content on the storage stability of dried laver, Porphyra yezoensis. Japan. Soc. Food Tech., 31, 272-280 

  11. Araki, S., Ogawa, H., Saito, M. and Kayama, M. (1982) Changes of the pigments in dried laver 'nori'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Japan. Soc. Sci. Fish., 48, 647-652 

  12. Araki, S., Ogawa, H. and Kayama, M. (1982) Studies on quality preservation of dried laver 'nori', Porphyra yezoensis. I. Degradation of ascorbic acid in dried laver 'nor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Japan. Soc. Sci. Fish., 48, 643-655 

  13. Lundberg, W.O. (1962) Mechanism and products of lipid oxidation. In Lipid and Their Oxidation, The AVI publishing Co., Inc. Westport, Connecticut, 256-263 

  14. Radtke, R., Smit, P. and Heiss, R. (1970) Influence of light of varying intensity and wavelengths on the oxidative deterioration of edible oils. Fette. Seifen. Anstrichmittel., 72, 497-505 

  15. Koo, J.R and Kim, D.H. (1971) Effect of sunlight, incandescent, flurescent, and ultraviolet lights on the oxidation of edible soybean oil. Korean J. Food Sci.Technol., 3, 178-186 

  16. Bligh, E.G. and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22 

  17. A.O.C.S. (1979)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Vol. II, 3rd ed., Chicago, p.23 

  18. Smith, J.H.C. and Benitez, A. (1955) Chlorophyll analysis in plant materials. In Modem Methods of Plant Analysis. Springer-Verlag, Berlin, Vol. IV, 149-168 

  19. 김동수, 구재근 (1992) 조미김 및 마른 미역의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 Lajolo, F.M. and Marquez, U.M.L. (1982) Chlorophyll degradation in a spinach system at low and intermediate water activities. J. Food Sci., 47, 1995-201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