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망력 수준의 시ㆍ군별 편차 및 그 변화 추이, 1990∼2000
Regional Differentials in Mortality in Korea, 1990-2000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6 no.1, 2003년, pp.1 - 30  

김두섭 (한양대학교 사회학과) ,  박효준 (한양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거주지역의 생태학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요인이 사망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그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 1995년, 2000년 세 시점의 인구센서스 자료와 동태통계 원자료, 그리고 각 시$.$군별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사망력의 지표로는 조사망률, 표준화사망률과 장수비율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은 우선 GIS를 이용하여 세 시점의 시$.$군별 사망률 지도와 장수 지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거주지역의 생태학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사망력의 지표들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일반화된 설명을 위해 분산분석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망률 지도와 장수 지도를 비교한 결과. 전라남도 남서해안지역에서 조사망률, 표준화사망률과 장수비율이 모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수도권과 부산권역에서는 사망력의 세 지표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표준화사망률과 장수비율의 지역별 편차는 1990년 이후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또한 표준화사망률과 장수비율 간에는 의미 있는 선형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 인과구조가 서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망력의 지역별 편차를 분석한 결과, 산간과 농촌이라는 입지조건을 지닌 시$.$군들의 조사망률과 표준화사망률이 대체로 높으며, 해안과 농촌지역에서는 장수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결과는 교육, 소득, 혼인상태, 의료수준, 보건수준 등 사회 경제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하는 과정에서 대체로 약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특히 표준화사망률의 경우에 그러하였다. 거주지역의 입지조건에 따른 사망력 수준의 편차는 사회경제적인 요인은 물론 지난 40여 년간의 인구이동으로 인한 인구연령구조의 차이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s of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level of mortality and the changing trends of such effects during the period of 1990∼2000. For this purpose the population census data and micro-data from the vital statistics for years 1990, 1995 and 2000 were...

주제어

참고문헌 (42)

  1. 건설교통부(2000), . 건설교통부 

  2. 권태환. 김두섭(2002), .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권호장. 조수헌(1999), '서울시의 대기오염과 일별 사망자 수위 관련성에 대한 시계열적 연구.' 32(2): 191-199 

  4. 김두섭(2000). '성선호에 따른 유아의 성별 차별사망력: 중국의 조선족. 한족과 다이족의 비교분석.' 23(2): 143-166 

  5. 김석종(2001), '세계적인 장수촌.'http://npc.or.kr/npc/maga/200109/0109_07.htm 

  6. 김윤신. 고응린(1990), '1986-89년 한국인의 평균수명에 관한 연구,' 15(1): 48-60 

  7. 김정근. 이승욱(1989). '우리나라 영아 및 1-4세아 사망수준 추정,' 20(2): 22-44 

  8. 김정근. 이주열. 김무채(1995),' '한국의 지역별 생명표에 관한 연구.' 20(1): 55-82 

  9. 김태헌(2002), '제4장: 사망력,'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 편. . 통계청. pp. 115-151 

  10. 박경애(1999)a. '한. 일 사망원인별 사망력 비교,' 22(1): 37-63 

  11. 박경애(1999b), '한미일 노인의 기대여명과 사망원인,' 22(2): 97-119 

  12. 손미아(2002), '직업, 교육수준 그리고 물질적 결핍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5(1) : 76-82 

  13. 윤덕중. 김태헌(1989). '사회. 경제적 요인별 차별사망력의 변화. 1970-86: 사망신고자료를 중심으로,' 12(2): 1-21 

  14. 윤태호. 문옥륜. 이상이. 정백근. 이신재. 김남순. 장원기(2000), '우리나라의 사회계층별 건강행태 의 차이,' 33(4): 469-476. 

  15. 이삼식. 김두섭(2003), '사망력 수준별 사망원인구조의 차이: 지역의 생태 학적 환경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미간행) 

  16. 이세원. 이종윤. 신동욱(1999), '노인수명 100세의 시대: 21세기 노인의학의 위상과 비 전,' http://cha11enger.1g.co.kr/korean/webcast/past/1999/medical/air/medical _0731.shtml 

  17. 이시백. 윤봉자(1991), '한국인의 지역 및 월별 사망률 수준의 변동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논집> 11(1): 82-99 

  18. 이종태. 이성임. 신동천. 정용(1998). '울산시의 대기 중 분진과 일별 사망에 대한 연구(1991년-1994).' 31(1) : 82-90 

  19. 이종태. Douglas W. Dockery. 김춘배. 지선하. 정용(1999),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한 서울시 대기오염과 조기사망의 상관성 연구(1991-1995년),' 32(2) : 177-182 

  20. 조선일보(2000a), . 2002. 12. 31 

  21. 조선일보(2002b). . 2002.12. 4 조선일보사 

  22. 조선일보(2002c), . 2002. 10. 6. 조선일보사 

  23. 주경식, 김한중, 이선희, 민혜영(1996), '도시 농촌간 의료이용 수준의 비교분석,' 29(2): 314-329 

  24. 최진호(2002), ' 제13장: 인구분포와 국내 인구이동.'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 편. 통계청. pp. 461-494 

  25. 통계청 (1990). 원자료. 통계청 

  26. 통계청 (1995), 원자료. 통계청 

  27. 통계청 (1999), . 통계청 

  28. 통계청 (2000), 원자료. 통계청 

  29. 통계청 (2001), <장래 인구추계 : 2000-2050). 통계청 

  30. 통계청 (2002), 한국통계 정보시스템 (KOSIS). http://kosis.nso.go.kr/. 통계청 

  31. 환경부(1997). . 환경부 

  32. Behm, H.(1980),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Mortality in Latin America,' in Proceedings of the Meeting on Socioeconomic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Mortatity. pp. 140-164. UN/WHO Seminar. Mexico City, WHO 

  33. Feldstein, P. J.(1979), Health Care Economics. New York: Wiley 

  34. Gove, W. R.(1973), 'Sex, Marital Status, and Mortality,' American Joumat of Sociology 79: 45-67 

  35. Kitagawa, Evelyn M. and Philip M. Hauser(1973), DifferentiaI MortaIity in the United States: A study in Socioeconomic Epidemiotog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6. Kobayashi, Kazumasa(1984), 'Mortality Trends and Differentials,' Population of Japan, Country Monograph Series No. 11, ESCAP, Bangkok: United Nations, pp. 43-60 

  37. Lee, Sam Sik(1990), 'An Analysis on Korean Mortality Structure,' The Journal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13(1): 51-79 

  38. Mathis, Evelyn S.(1969),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Deceased Persons,' Vital and Health Statistics 22(9). Washington: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9. Miro, Carmen A. and Joseph E. Potter(1980), Population PoIicy: Research Priorities in the DeveIoping Wortd. London: Frances Printer 

  40. Noin, Daniel(1995), 'Spatial Inequalities of Mortality in the European Union,' in Europe's Population: Toward the Next Century, edited by Ray Hall and Paul White, pp. 69-82. London: UCL Press 

  41. Pathak, K. and P. Murty(1983), 'Levels and Trends of Mortality in Some Selected Countries of Asia,' in Dynamics of Population and Famity Welfare 1983, PP. 246-277. Bombay: Himalaya Publishing House 

  42. Sastry, Narayan(2002), 'Forest Fires,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Southeast Asia,' Demography 39(1): 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