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uicide mortality by region in South Korea. Method: Suicide mortality differentials were calculated for several mortality indicators by geographical regions from raw data of the cause of death from KNSO.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r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 . 도 단위별로 자살에 의한 사망수준을 조사하고 자살사망자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별로 자살 사망 수준이나 자살자의 특성에 있어 다소 상이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지역보건의료 계획 수립 및 자살 예방 계획 수립 시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03년 통계청 지역별 자살에 의한 사망 수준을 비교분석하여 지역별 자살에 의한 사망수준 및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런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자살사망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자살경향(Jang, 2005), 자살양상의 시계열 경향 분석(Kim, 1996) 등은 이루어졌지만, 지역별로 그 특성을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지역별 자살에 의한 사망수준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지역별 자살에 의한 사망수준 및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별 정신보건 정책결정이나 보건사업기획 및 평가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uang, H. L., & Huang, W. C. (1996). A reexamination of sociological and economic theories of suicide: A comparison of the U.S.A. and Taiwan. Soc Sci Med, 43(3), 421-423 

  2. Diekstra, R. F. (1993). The epidemiology of suicide and parasuicide. Acta Psychiatr Scand Suppl, 371, 9-20 

  3. Durkheim, E. (1951). Suicide in a study of sociology. N.Y.: The Ronald Pre 

  4. Higgins, L. J., & Range, L. M. (1999). Expectations of contagion following suicide: Does surrounding information make a difference? J Soc Clin Psychol, 18(4), 436-449 

  5. Jang, Y. J. (2005). The trends of suicide in Korea from 1992 to 2002.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Jeong, I. W., Park, J. R., & Kim, J. J. (1996).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icidal attempts. Chungbuk Medical Journal, 6(1), 135-148 

  7. Jeong, D. S. (1999). Comprehension of Incheon region : Politics, administration, social movements. Incheon: Inha Univ. Press 

  8. Kim, B. Y. (1997). A trend analysis of suicide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9. Kim, M. D., Hwang, S. W., & Hong, S. C. (2003).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residents in rural areas of Jeju island. J Kor Acad Fam Med, 24, 833-844 

  10. Kim, S. K., Park, Y. S., Yeon, M. Y., Won, K. J., Lee, S. H., Lee, T. W., Jeong, S. H., Jeong, H. J., Chae, S. H., Han, K. S., & Hong, E. H. (2005). Abandoned mining town and casino. Seoul: Ilsinsa 

  11.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4). 2004 Health risk behavior and chronic diseases statistics. Seoul: KCDCP 

  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Major statistics by county. Daejeon: KNSO 

  1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a). 2003 Annual report of causes of deaths. Daejeon: KNSO 

  1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b). 2004 The raw data of causes of deaths CD. Daejeon: KNSO 

  15.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8) Neuropsychiatries. Seoul, Hana Medicals 

  16. Kwak, K. P., Song, C. J., Sakong, J. G., & Lee, G. H. (2004).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suicide risk factors. Dong Guk Journal of Medicine, 11(1), 83-94 

  17. Lee, W. S. (1990). A study on trends and behavior of suicide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Nam, Y. Y. (2005). The trend and features of suicide in South Korea. Symposium of Korean association of suicide prevention 

  19. Nirui, M., & Cheonweth, L. (1999). Psychiatric illness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in Denmark. The Lancet, 355, 9-12 

  20. No, D. M. (2000). Characteristics of politics and economic and regional collaboration of Incheon. Korean Academic Political Association, 36(2), 62-76 

  21. Oh, G. S. (2005).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thinking of Koreans. Symposium of Korean Association of Suicide Prevention 

  22. Park, J. S., Lee, J. Y., & Kim, S. D. (2003). A study for the effects of economic growth rate and unemployment rate to suicide rat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6, 85-91 

  23. Yip, P. S., Law C. K., & Law, Y. W. (2003). Suicide in Hong Kong: epidemiological profile and burden analysis, 1981 to 2001. Hong Kong Med Journal, 9(6), 419-426 

  24. Yook, S. P. (2002). The exploration of suicide related variables and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