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ition of Laver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278 - 1284  

권병민 (경성대학교 식품공학과) ,  전성운 (경성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동수 (경성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 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였을 때의 반죽특성 및 제품의 물리화학적 변화와 상품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김 스폰지 케이크의 수분함량은 대조구와 김 분말 2,4,6% 첨가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8 및 10% 첨가시에는 증가하였으며, 단백질함량, 회분함량도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비중은 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김분말 10% 첨가시에는 0.674로서 케이크의 부피가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무기질은 Ca와 Na 성분이 가장 많았다. Crust의 L, a, b값은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crumb의 L과 b값도 유의 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김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L-glutamic acid, L-alanine, L aspartic acid 및 L-leucine등의 순으로 검출되었다.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점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복원성(resilience)은 김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스폰지 케이크의 외관은 작아졌으며, 주사현미경 관찰 결과 기공이 작아지고 큰 입자의 air cell이 나타났다 또한 부착성, 냄새, 입에서의 느낌, 촉촉함 및 종합적인 관능검사 항목으로 보아 스폰지 케이크의 김분말 최적 첨가량은 2%가 적당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king “sponge cake” with addition of ingredient, laver powde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new sponge cake. The moisture contents of sponge cake with 2, 4, 6% laver powder did not change but with 8 and 10%, the moistur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 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였을 때의 반죽특성 및 제품의 물리화학적 변화와 상품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김 스폰지 케 이 크의 수분함량은 대조구와 김 분말 2, 4, 6% 첨가시 는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8 및 10% 첨가시에는 증가하였으며, 단백질함량, 회분함량도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많은 장점을 지닌 김 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조과정중 반죽의 상태와 제품의 특성을 조사하고 상품적 가치가 있는스폰지 케이크의 제조 조건 및 품질안정성 에 대하여 연구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2)Mean in a column sharing a common superscript letter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Mean in a row sharing a common superscript letter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oover W. 1979. Use of soy protein in baked foods. J Am Oil Chem Soc 56: 301-306. 

  2. Raidl MA, Klein BP. 1983. Effects of soy or field pea flours substitution on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mically leavened quick bread. Cereal Chem 60: 367-370. 

  3. Kim MA. 1992.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rice flours on characters of sponge cake. Korean J Soc Food Sci 8: 371-378. 

  4. Yi SY, Kim CS, Song YS, Park JH. 2001. 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Yam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8-55. 

  5. Ahn JM, Song YS. 1999.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kes added sea mustard and sea tangle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4-541. 

  6. Lee TS, Lee HJ, Byun HS, Kim JH, Park MJ. 2000. Effect heat treatment in dried lavers and modified processing. Bull Korean Fish Soc 33: 529-532. 

  7. Lee KH, Song SH, Jeong IH. 1987.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Bull Koran Fish Soc 20: 408-418. 

  8. Kim SH, Park HY, Park WK. 1988.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seawe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Nutr 17: 320-325. 

  9. Jenkins DJ, Kendall CW, Axelsen M, Augustin LS, Vuksan V. 2002. Viscous and nonviscous fibers, nonabsorbable and low glycaemic index carbohydrates, lipid blood lipi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Curr Opin Lipidol 11: 49-56. 

  10. AACC. 1986. Official methods of the AACC.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1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2. Yook HS, Kim YH, Ahn HJ, Kim DH, Kim JO, Byun MW. 2000.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qualities of bread prepared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87-395. 

  13. Pomeranz Y, Shogrem MD, Finney KF, Bechter DB. 1997. Fiber in bread making 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41. 

  14. Chabot JF. 1979.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for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3: 279-286. 

  15. Gaines GS, Donelson JR. 1985. Effect of varying flour protein content on angel food and high-ratio white layer cake size and tenderness. Cereal Chem 62: 6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