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로콜리 분말이 첨가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Made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Broccoli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4 = no.212, 2010년, pp.459 - 467  

김찬희 (한양여자대학 식품영양과) ,  조경련 (한양여자대학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재료인 브로콜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브로콜리 분말의 일반성분에 대해 알아본 다음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면서 반죽의 특성 및 제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브로콜리 분말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 반죽의 비중과 점도, 완성된 케이크의 굽기손실율은 증가하였고 비용적은 감소함을 보였다. 케이크의 수분함량 증감은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케이크 crust와 crumb의 색은 브로콜리 분말이 많을수록 명도와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감소하는 동일한 변화를 보였다. 외형은 육안으로 보이는 단면의 질감면에서 B-5와 B-10이 가장 바람직한 스폰지 케이크의 형태를 가지는 동시에 air cell의 발달도 유사하였다. 분말 대체량이 많을수록 탄성은 감소한 반면 견고성, 씹힘성, 점착성, 부착성, 부서짐성은 증가됨을 보였고 케이크 중 B-5는 물성 결과의 모든 값에서 control과 유의차가 없었다. 관능결과에서도 B-5가 control과 가장 유사한 점수를 얻었고 15% 이상을 대체할 경우에는 관능 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폰지 케이크 내 브로콜리 분말의 가장 적절한 대체비율은 5%로 제시할 수 있으며 브로콜리 분말의 생리기능성을 고려할 때는 10%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후 브로콜리 분말의 대체가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브로콜리 분말을 여러 가지 가공식품에 확대 적용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stitution effects of broccoli powder for flour in the preparation of sponge cake were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is. The specific gravity and viscosity of the cake batter and cooking loss of the cake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broccoli powder, whereas speci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재료인 브로콜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브로콜리 분말의 일반 성분에 대해 알아본 다음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면서 반죽의 특성 및 제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브로콜리 분말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 반죽의 비중과점도, 완성된 케이크의 굽기 손실율은 증가하였고 비용적은 감소함을 보였다.
  • 요즈음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생식용이나 샐러드용 식재료로서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음식에 직접 이용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므로 브로콜리를 이용한 음식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기능성 소재인 브로콜리의 이용성 증진을 목적으로 브로콜리 분말을 0, 5, 10, 15, 20, 25%로 첨가하여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한 후 저장하면서 케이크의 품질 변화 관찰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건강기능성 스폰지 케이크를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In a bar, means followed by the different alphabe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2) In a line, means followed by the differen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2)Each values are mean±SD (n=3).
  • 3)In a row, means followed by the different lowercase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스폰지 케이크 반죽의 비중(specific gravity)은 케이크 제조 과정 중 최종 반죽 무게를 측정하여 다음 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11). 이때 증류수의 밀도는 1 g/mL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로콜리의 생리활성 효과는 무엇인가? )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로 모란채라고도 하며 꽃봉오리와 줄기를 식용하는 것으로 양배추의 일종이다. ß-carotene과 비타민 C, 무기질 중 칼륨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들어 있어(2)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암 예방 및 돌연변이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낸다고도 알려져 있다(3). 브로콜리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브로콜리의 항암성분인 sulforaphane의 함량(4) 및 조리 가공에 따른 sulforaphane의 함량 변화(5), 브로콜리잎 즙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과 비타민 C의 함량 분석(6), 브로콜리의 생리활성 물질인 organosulfur 분리 및 동정(7), 브로콜리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효과(8) 등에 관한 보고가 있다.
브로콜리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로 모란채라고도 하며 꽃봉오리와 줄기를 식용하는 것으로 양배추의 일종이다. ß-carotene과 비타민 C, 무기질 중 칼륨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들어 있어(2)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암 예방 및 돌연변이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낸다고도 알려져 있다(3). 브로콜리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브로콜리의 항암성분인 sulforaphane의 함량(4) 및 조리 가공에 따른 sulforaphane의 함량 변화(5), 브로콜리잎 즙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과 비타민 C의 함량 분석(6), 브로콜리의 생리활성 물질인 organosulfur 분리 및 동정(7), 브로콜리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효과(8) 등에 관한 보고가 있다.
브로콜리에 관한 국내 연구로 어떤 것이 있는가? ß-carotene과 비타민 C, 무기질 중 칼륨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들어 있어(2)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암 예방 및 돌연변이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낸다고도 알려져 있다(3). 브로콜리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브로콜리의 항암성분인 sulforaphane의 함량(4) 및 조리 가공에 따른 sulforaphane의 함량 변화(5), 브로콜리잎 즙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과 비타민 C의 함량 분석(6), 브로콜리의 생리활성 물질인 organosulfur 분리 및 동정(7), 브로콜리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효과(8) 등에 관한 보고가 있다. 요즈음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생식용이나 샐러드용 식재료로서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음식에 직접 이용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므로 브로콜리를 이용한 음식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HU. Trends and perspectives in industry of bakery. Food Sci. Indus. 36: 3-12 (2003) 

  2. Jang HG. Food Material. Sinkwang Press, Seoul, Korea. pp. 145-147 (2001) 

  3. Matusheski NV, Juvik JA, Jeffery EH. Heating decreases epithiospecifier protein activity and increases sulforaphane formation in broccoli. Phytochemistry 65: 1273-1281 (2004) 

  4. Seok DE, Kim MR, Lee KJ, Kim JH. Determination of sulforaphane in cruciferous vegetables by SIM.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82-887 (1997) 

  5. Lee KJ, Kim MR, Kim HY. Effect of processing on the content of sulforaphane of broccoli. Korean J. Food Cookery Sci. 13: 422-426 (1997) 

  6. Wi DS, Kim MR, Kim JH, Na JH, Seok DE.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of kale and broccol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01-1207 (1999) 

  7. Kim JH, Seok DE, Kim MR.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active organosulfur phytochemicals from solvent extract of brocco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15-319 (2003) 

  8. Lee HS, Park YW.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from different parts of broccoli extract under high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59-764 (2005)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599-637 (2007) 

  10. Kim MJ, Kim JH, Oh HK, Chang MJ, Kim SH.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Korean fruits and vegetables: Examining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beta$ -carotene cont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23-432 (2007) 

  11. Cho NJ, Kim SG, Kim YH. Bakery Science. B&C World, Seoul, Korea. pp. 146-184 (2004) 

  12. Watanabe N, Suzuki S, Jwao Y, Ohaha T. Confectionary Dictionary. Asakura Bookstore, Seika jiten, Japan. pp. 335-348 (1981) 

  13. Mizukoshi M. Model studies of cake baking. Effect of silicone on foam stability of cake batter. Cereal Chem. 60: 399-500 (1983) 

  14. Pyler EJ.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s. pp. 992-998.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3rd ed. Sosland Publishing Co., Kansas City, MO, USA (1988) 

  15. Kim KO, Kim SS, Sung NK, Lee YC. Methods & application of sensory evaluation. Sinkwang Press, Seoul, Korea. pp. 131-135 (1997) 

  16. Lee KH, Park HC, Her ES.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method. Hyoil Press, Seoul, Korea. pp. 253-296 (1998) 

  17. Oh SH, Kim BG, Yoon ES, Lee YH. Food material dictionary.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Seoul, Korea. pp. 200-201 (1999) 

  18. Hyun HJ, Song KH, Choi MK, Song SM. Food calory and nutrition composition table. Kyomunsa, Seoul, Korea. pp. 76-77 (2007) 

  19. Sahi SS. Influence of aeration and emulsifiers on cake batter rheology and textural properties of cakes. 9th-11th. UMIST, Manchester, UK. pp. 257-260 (1998) 

  20. Kweon BM, Jeon SW, Kim D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ition of lav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78-1284 (2003) 

  21. Oh HJ, Kim CS. The effect of commercial doenjangs (Korean soybean paste) on the sponge cake maki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387-395 (2004) 

  22. Lee JH, Kwak EJ, Kim JS, Lee Y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3-89 (2007) 

  23. Hwang YK, Kim SY. Effects of amount of egg and specific gravity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 Korean J. Food Cookery Sci. 15: 377-381 (1999) 

  24. Shin JH, Choi DJ, Kwon OC.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added steamed garlic and yuza powder. Korean J. Food Nutr. 20: 392-398 (2007) 

  25. Nagae S, Imai S, Sato T, Kaneto Y, Otsubo H. 197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ft wheats and their use in Japan. 1. Methods of assessing wheat suitability for Japanese products. Cereal Chem. 53: 991-998 (1976) 

  26. Lee JS, Kim HS, Lee YJ, Jung IC, Bae JH, Lee J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Grifola frondosa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00-405 (2007) 

  27. Park YR, Han IJ, Kim MY, Choi SH, Shin DW, Chun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prepared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236-242 (2008) 

  28. Park JY, Park YS, Chang HG.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supplemented with soy fiber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12-418 (2008) 

  29. Kim MJ, Jang M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corn star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27-143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