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광처리가 가시오갈피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Treatment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Acanthopanax senticosus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6 no.6 = no.116, 2003년, pp.321 - 326  

김판기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  이갑연 (임업연구원 서부임업시험장) ,  허성두 (임업연구원 서부임업시험장) ,  김선희 (임업연구원 산림환경부) ,  이은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차광처리에 의한 가시오갈피의 생상촉진현상을 구명하기 위해서, 차광막으로 전천광을 55%, 75%, 90% 차광 처리한 조건과 노지에서 3년간 생장한 개체의 기관별 건물중을 조사하고, 광-광합성곡선과 A-Ci곡선을 통하여 광합성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75%의 차광조건에서는 지하부에 대한 지상부의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이 있었으나, 가장 높은 건물중을 나타내 생장촉진에 효율적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차광처리에 의해서 엽면적당의 엽록소 a+b 함량과 a/b가 감소하고 잎이 얇아지는 반응을 나타냈으며, 개엽 및 개체 당의 엽면적이 증가하는 등의 낮은 광도에 대한 적응반응이 확인되었다. 광합성계에서는 차광처리에 의해서 순양자수율(apparent quantum yield)이 높아지고 광보상점이 낮아졌으며, 탄소고정효율(carboxylation efficiency)과 재인산화속도가 상승하였다. 그러나 순양자수율은 차광처리구의 건물중 상승과는 대응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는 반면에 탄소고정효율은 건물중 상승과 대응된 결과를 나타내, 차광처리구의 광합성능력 증가가 탄소고정계의 활성증가에 기인함이 시사되었다. 광합성에 대한 수분이용효율은 차광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낮았으나, 모든 차광처리구가 포플러류와 같은 양수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effects of shading treatment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Acanthopanax senticosus. We investigated plant growth, light response curve and A-Ci curve to photosynthesis of A. senticosus at 55%, 75%, and 90% shading treatment. As results, the ratio of ab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3년간 차광처리하여 재배한 가시오갈피의 광합성 특성과 생장특성을 조사하여, 차광처리에 의한 가시오갈피의 생장촉진 현상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mon, D.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ula vulgaris. Plant Physiol. 24: 1-15 

  2. Farquhar, G.D. and T.D. Sharkey. 1982. Stomatal conductance and photosynthesis. Ann. Rev. Plant Physiol. 11: 539-552 

  3. Hikosaka, K. and I. Terashima. 1995. A model of the acclimation of photosynthesis in the leaves of C3 plants to sun and shade with respect to nitrogen use. Plant Cell Environ. 18: 605-618 

  4. Hiscox, J.D. and G.F. Israelstam. 1979. A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chlorophyll from leaf tissue without maceration. Can. J. Bot. 57: 1332-1334 

  5. Ro, H.-M., P.-G. Kim, L-B. Lee, M.-S. Yiem and S.-Y. Woo. 2001.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growth responses of dwarf apple saplings after 3 years of exposure to elevated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rees 15: 195-203 

  6. Smith, H. 1995.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function within the phytochrome family.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6: 289-315 

  7. Terashima, I. and Jr. Evans. 1988. Effects of light and nitrogen nutrition on the organiz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in spinach. Plant Cell Physiol. 29: 143-155 

  8. 金?基, 佐木惠?. 1994. 光質の違いが光合成?物の轉流方向にあたえる影響. 日本林學會105回 大會講演要旨集 358p 

  9. 森川 靖, 佐?木惠?, 淺川澄彦. 1983. 林床の光の性質と稚樹の成長. 森立地 25: 1-7 

  10. 佐木惠?. 1979. マレ一シアの熱?降雨林におけるフタバガキ科樹種の成長習性と?境. 森林立地 21: 8-18 

  11. 김판기, 이은주. 2001a. 광합성의 생리생태(1) - 광도와 엽육내 $CO_2$ 분압 변화에 대한 광합성 반응.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 126-133 

  12. 김판기, 이은주. 2001b. 광합성의 생리생태(2) -환경변화에 대한 광합성의 적응반응.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 171-176 

  13. 김판기, 이은주. 2001c. 광합성의 생리생티(3) - $CO_2$ 농도와 온도상승에 대한 광합성 반응.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 238-243 

  14. 김판기, 이용섭, 정동준, 우수영, 성주한, 이은주. 2001. 광도가 내음성이 서로 다른 3수종의 광합성 생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0: 476-487 

  15. 김판기, 김선희, 이상모, 조주형, 이은주 2002a. 김포 수도권 매립지에 식재된 현사시나무의 환경 적응 반응(1) -광합성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1: 79-87 

  16. 김판기, 김선희, 이상모, 이철호, 이은주 2002b. 김포 수도권 매립지에 식재된 현사시나무의 환경 적응 반응(2) - 수분생리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1: 279-286 

  17. 박문수, 김영진, 박호기, 김선, 김규성, 장영선. 1996. 덕유산 가시오갈피 자생기의 생육환경. 한국작물학회지 41: 710-717 

  18. 우수영, 이돈구. 1992. 광도와 양료조건을 달리했을 때 상수리나 무 묘목의 광랍성과 Ribulose-Diphosphate Carboxyl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1: 11-20 

  19. 허성두, 박유헌, 이갑연, 유세걸. 2001. 오갈피와 가시오갈피의 자생지 생장 및 엽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 2001 학술발표 논문집 89-92 

  20. 한종수, 김승경, 김세원, 김영진. 2001. 차광처리 및 수확방법이 가시오갈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9 : 1-7 

  21. 홍경락, 조경진, 박유헌, 허성두, 홍용표, 강범용. 2000. 국내 가시오갈피 군락의 유전변이 분석. 한국임학회지 89: 645-6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