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위한 호흡재활 중재가 운동 능력 및 내구성, 일반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and General Health Statu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3 no.6, 2003년, pp.743 - 752  

오현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bine the effect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PRP)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COPD patients based on the primary research results examined the effects of PRP, Method: Seventeen studies were selected by the sampling cr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 동안 보고되었던 1차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적용이 운동능력/내구성과 대상자가 인지하는 일반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병합된 효과를 메타-분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총 17 편의 논문이 고찰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운동능력 및 내구성과 관련된 지수들 중 호흡재활의 제공으로 가장 효과가 큰 지수는 운동을 수행한 시간과 일정 시간동안 땅위를 걸은 거리 등 이었으며 최대 운동시의 일회 환기량이나 산소 소모량에 대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게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그 효과를 검정한 1차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결과들을 병합한 메타 분석 연구이다.
  • 호흡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병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운동능력 및 내구성, 그리고 대상자가 인지한 일반적 건강상태에 대한 효과를 메타-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lman M. J. (1993).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48, 936-946 

  2. Belman M. J. (1986). Exercis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linics in Chest Medicine, 7(4), 585-597 

  3. Celli, B. R. (1993). Exercise training in pulmonary rehabilitation, Seminars in Respiratory Medicine, 14(2), 132-138 

  4. Oh, E. G., Kim, S. H., Kim, S. H., Park, H. O. Lee, C. W. (2002).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Health Nursing, 14(3), 368-377 

  5. Olopade C. O., Beck, K. C., Viggiano, R. W., Staats, B. A. (1992). Exercise limitation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ayo Clin Proc, 67, 144-157 

  6. Giiell, R., Casan, P., Sangenis, M., Morante, F., Guyatt, G. H., and Sanchis J. (2000). Long-term effects of outpatient rehabilitation of COPD: A randomized trial, Chest, 117(4), 976-983 

  7. Goldstein, R. S., Gort, E. H., Stubbing, D., Avendano, M. A., & Gyatt, G. H. (1994).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The Lancet, 344, 1394-1397 

  8. Hernandez, M. T. E., Rubio T. M., Ruiz, G. O., Riera, H. S. Gil, R. S., and Gomez, J. C. (2000). Results of home-based training program for patients with COPD, Chest, 118(1), 106-114 

  9. Lake, F. R., Henderson, K., Briffa, T., Openshaw, J., & Musk, A. W. (1990). Upper-limb and lower-limb exercise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airflow obstruction, Chest, 97(5), 1077-1081 

  10. Nava, S. (1998). Rehabilitation of patients admitted to a respiratory intensive care unit, Arch Phys Med Rehabil, 79, 849-854 

  11. O,Donnell, D. E., McGuire, M., Lorelei S., & Webb, K. A. (1995). The impact of exercise reconditioning on breathlessness in severe chronic airflow limita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152, 2005-2013 

  12. Reardon, J., Normandin, E., Vale, F., Clark, B., & Zuwallack, L. (1994). The effect of comprehensive out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on dyspnea, Chest, 105, 1046-1052 

  13. Ries, A., Ellis, B., & Hawkins, R. W. (1988). Upper extremity exercise training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hest, 93, 688-692 

  14. Ries a., Kaplan, R. M., Limberg, T. M. Prewitt, L. M. (1995). Effect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on physiologic and psychosocial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n Intern Med, 122(11), 823-832 

  15. Ringbaek, T. J., Broendum, E., Hemmingsen, L., Lybeck, K., Nielsen, D., Anderson, C., & Lange, P. (2000).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ercise twice a week is not sufficient, Respir Med, 94, 150-154 

  16. Sassi-Dambron, D. E., Eakin, E. C., Ries, A., & Kaplan, R. M. (1995). A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dyspnea management strategies, Chest, 107, 724-729 

  17. Sinclair, D. J., & Ingram, C. G. (1980). Controlled trial of supervised exercise training in chronic bronchitis, Br Med J, 23, 519-521 

  18. Strijbos, J. H., Goeter, G. H., & Meinesz, A. F. (1990). Home care rehabilitation and perception of dyspnea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Chest, 97 suppl., 109S-110S 

  19. Strijbos, J. H., POstma, D. S., Altena, R., Gimeno, F., & Koeter, G. H. (1996). A comparison between an outpatient hospital-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and a home-care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 with COPD, Chest, 109, 366-372 

  20. Trooster, T., Gosselink, R., & Decramer, M. (2000). Short-and long-term effects of outpatient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randomized trial, Am J Med, 109, 207-212 

  21. Wijstra, P. J., TenVergert, E. M., Altena R van, Otten, V., Kraan, J., Postma, D. S., Koeter, G. H. (1995). Long-term benefits of rehabilitation at home on quality of life and exercise tole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50, 824-828 

  22. Wijstra, P. J., Mark, Th. W., Kraan, J., Altena R van, Koeter, G. H., & Postma, D. S. (1996). Effects of home rehabilitation on physical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ur Respir J, 9, 104-1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