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전기적 토양복원에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선정
A study on Surfactants for Electrokinetic Soil Remediation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8 no.1, 2003년, pp.1 - 8  

이현호 (LG 환경안전연구원) ,  박지연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  김상준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  이유진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  양지원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전기적 토양복원에 적합한 계면활성제를 선정하는 방법으로 세 가지 계면활성제, APG, Brij30, SDS를 대상으로 토양에 흡착되는 계면활성제의 양, phenanthrene에 대한 용해도, 생분해도 및 동전기적 토양정화 현상을 살펴보았다. Phenanthrene은 kaolinite에 최대 2,200 mg/kg dry soil까지 흡착되었으며, APG, Brij30, SDS는 토양 1kg당 각각 40, 7, 4g이 흡착되었다. Phenanthrene의 용출효율은 계면활성제에 대해서 Brij30>SDS>APG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생분해도는 APG>Brij30>SDS순서로 나타났다. 동전기 정화실험에서는, 세 가지 계면활성제 중에서 전기삼투 흐름이 가장 원활한 APG가 phenanthrene에 대해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다. 이로부터 동전기적 토양복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유기오염물에 대한 용출효율보다는, 전기삼투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different surfactants, APG, Brij30, and SDS, were test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rption on soil surfaces, washing ability, biodegradability, and electrokinetic removal. Kaolinite and phenanthrene were selected as a model soil and a representative HOC, respectively. Phenanthrene wa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전기 토양정화 기술에 적합한 계면활성제를 선정하는 방법으로 토양에 흡착되는 계면활성제의 양, phenanthrene에 대한 용해도, 생분해도 및 동전기 실험결과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저투수성 토양에서 소수성 유기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세 가지 계면활성제 APG, Brij3O, SDS에 대한 표면장력, 토양 흡착정도, phenanthrene 용해도, 생분해도 및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동전기 정화실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전기장 하에서 토양 내의 오염물의 이동 및 제거를 최대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선택기준을 알아보고자 한다5-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재섭, 김권일, 이기세 '전기동력기술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모래토양 컬럼으로부터의 디젤 제거', J. of KSEE, 21(6), pp. 1073-1083 (1999) 

  2. 염익태, Ghosh, M .M., 안규홍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의 세척', J. of KSEE, 19(9), pp. 1111-1124 (1997) 

  3. 김종성, 김재섭, 이기세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구조가 카올린 토양에서 흡착 및 경유 제거에 미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 '99추계연구발표회논문집(II), 광주과학기술원, pp. 373-374 (1999) 

  4. 정하익, 지반환경공학, 유림, 태훈출판사, 서울, pp. 608-634 (1998) 

  5. Yeom, I. T., Ghosh, M. M., Cox, C. D., and Ahn, K. H. 'Dissolu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from weathered contaminated soil', Wat. Sci. Tech., 34, pp. 335-342 (1996) 

  6. Chang, M. C., Huang, C. R., and Shu, H. Y. 'EfFects of surfactants on extraction of phenanthrene in spiked sand', Chemosphere, 41, pp. 1295-1300 (2000) 

  7. Jafvert, C. T. 'Sediment and saturated soil associated reactions involving an anionic surfactants (dodecylsulfate). 2. Partitioning of PAHs', Environ. Sci. Technol., 25, pp. 1039-1045 (1991) 

  8. Yeh, D. H., Pennell, K. D., and Pavlostathis, S. G. 'Toxicity and biodegradability screening of nonionic surfactants using sediment-derived methanogenic consortia', Wat. Sci. Tech, 38(7), pp. 55-62 (1998) 

  9. 이병민 '환경친화성 계면활성제', 제 7회 정밀화학 심포지움 계면활성제 workshop, KAIST, pp. 5-25 (1998) 

  10. Hall-Manning, T. J., Holland, G. H., Rennie, G., Revell, P., Hines, J., Barratt, M. D., and Basketter, D. A. 'Skin irritation potential of mixed surfactant system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6, pp. 233-238 (1998) 

  11. Ko, S. O. 'Electrokinetic surfactant-enhanced remediation of hydrophobic organic pollutants in low permeability subsurface environments', Texas University, U.S.A. (1998) 

  12. Eichhorn, P., and Knepper, T. P. 'Investigations on the metabolism of alkyl polyglucosides and their determination in wastewater by means of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J. of Chromatography A, 854, pp. 221-232 (1999) 

  13. 염익태, 이상현, 안규홍 '오염토양 중 디젤성분의 생분해 처리성 평가', J. of KSEE, 21(8), pp. 1519-1527 (1999) 

  14. Yuan, Y. S., Wei, S. H., and Chang, B. V. 'Bio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a mixed culture', Chemosphere, 41, pp. 1463-1468 (2000) 

  15. 김인범, 이명천, 서인선, 신평균 '물성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의 생분해도 영향', Polymer, 19(6), pp. 727-733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