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irless Mice를 이용한 광노화 모델에서 APB-01의 경구반복투여에 의한 피부주름개선 효과 시험
Effect of APB-01 on the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and Wrinkle Formation in the Hairless Mice 원문보기

Journal of toxicology and public health : an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xicology, v.19 no.4, 2003년, pp.303 - 310  

이지해 ((주)태평양기술연구원 의약건강연구소) ,  이병석 ((주)태평양기술연구원 의약건강연구소) ,  변범선 ((주)태평양기술연구원 의약건강연구소) ,  김완기 ((주)태평양기술연구원 의약건강연구소) ,  이상준 ((주)태평양기술연구원 의약건강연구소) ,  심영철 ((주)태평양기술연구원 의약건강연구소) ,  김배환 ((주)태평양기술연구원 의약건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ltraviolet (UV) is thought to induce erythema, sun-burn, photo-toxicity, photo-allergy, photo-aging and sometimes skin tumor. To investigate the photo-protective effects of APB-01 (Amore-Pacific Beauty-01, the mixture of Jaummi-dan and Fujiflavone P10) on UV-induced skin damage, forty of SKH hair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의보감을 근거로 피부질환 및 여성질환에 주로 사용되는 자음미단 엑기스(Kim 등, 2002)와, 여성호르몬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성 호르몬인 후지플라본P10을 함께 처방한 APB-01 (AmorePacific Beauty-01)을 제조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개별 인증형 미용 기능식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암컷 Hairless mice(Bisset 등, 1987; Kligman 등, 1982)를 모델로 하여 경구반복 투여한 후 피부 주름의 개선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태평양기술연구원에서 확립한 "hairless mice* 이용한 광노화 모델에서의 피부미용 효과 시험법에 대한 유용성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 피부 노화와 관련된 피부 변화 관찰에 있어서는 collagen, elastic fiber, glycosaminoglycan 등을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하는데, 면역염색법에 의한 type-1 pN collagen 염색법이 많이 사용된다(Kligman 등, 1996).본 시험에서는 H&E(Hematoxylin & Eosin) stain을 통해 일반적인 관찰을 실시하고, 특수 염색 법인 Verhoeff stain(Elastic fiber 및 collagen을 감별), Masson-tri- chrome stain(Collager)을 감별), Luna stain(티astic fiber 검출) 등을 실시하여, UV 조사에 의한 표피 및 진피, 피하지방층에서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관찰 결과, H&E stain에서 UV 조사에 의한 표피 두께 증가와 깊은 주름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유극세포의 증가, 각질 세포의 다형성 등도 관찰되었고, 진피층은 collagen의 감소에 비해 변형된 elastic fiber가 다소 증가하는 elastosis가 관찰되었다.
  • 특히 젊게 살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일치하여 먹는 화장품이라 불리우는 미용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실험에서도 (주)태평양기술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APB-01(AmorePacific Beauty-01)을 암컷 hairless mice에 경구반복 투여 하여 UV 광노화에 대한 피부주름개선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용기능식품으로서의 효능을 지니고 있는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 한의학에는 피부, 특히 여성 피부와 관련하여 보혈과자음, 항노화 등을 위한 다양한 처방이 존재하나, 실제로 이러한 한방처방이 피부 노화에 효과가 있다고 증명한 실험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동의보감을 근거로 피부질환 및 여성질환에 주로 사용되는 자음미단 엑기스(Kim 등, 2002)와, 여성호르몬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성 호르몬인 후지플라본P10을 함께 처방한 APB-01 (AmorePacific Beauty-01)을 제조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개별 인증형 미용 기능식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암컷 Hairless mice(Bisset 등, 1987; Kligman 등, 1982)를 모델로 하여 경구반복 투여한 후 피부 주름의 개선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태평양기술연구원에서 확립한 "hairless mice* 이용한 광노화 모델에서의 피부미용 효과 시험법에 대한 유용성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tman, D.G. (1993): Comparing groups-catedorical data: Practical stastics for Medical Research, Chapman & Hall, London, 229-276 

  2. Bisset, D.L., Hannon, D.P. and Orr, T.V. (1987): An animal model of solar-aged skin: histological, physical, and visible changes in UV-irradiated hairless mouse skin. Photochem. Photobiol., 46, 367-378 

  3. Boelsma, E., Hendriks, H. and Roza, L. (2001): Nutritional skin care: health effects of micronutrients and fatty acids. Am. J. Clin. Nitr., 73, 853-864 

  4. Contet-Audonneau, J.L., Jeanmaire, C. and Paulty, G. (1999): A hitological study of human wrinkle structures: comparision between sun-exposed areas of the face, with or without wrinles, and sun-protected areas. Br. J. Dermatol., 140, 1038-1047 

  5. Epstein, J.H. (1983): Photocarcinogenesis, skin cancer, and aging. J. Am. Acad. Dermatol., 9, 487-502 

  6. Eberlein-Konig, B., Placzek, M. and Przybilla, B. (1998): Protective effect against sunburn of combined systemic ascorbic acid (vitamin C) and d-alpha-tocopherol (vitamin E). J. Am. Acad. Dermatol., 38, 45-48 

  7. Fuchs, J., Huflejt, M.E., Rothfuss, L.M., Wilson, D.S., Carcamo, G. and Packer, L. (1989): Impairment of enzymic and nonenzymic antioxidants in skin by UVB irradiation. J. Invest. Dermatol., 93, 769-773 

  8. Gilchrest, B., Szabo, G., Flynn, E. and RM G. (1983): Chronologic and actinically induced aging in human face skin. J. Invest. Dermatol., 80(8), 1S-85S. 

  9. Hiroaki, M., Ichiro, K., Tomomi, S. and Toshio, I. (2001): Prevention of the photodamage in the hairless mouse dorsal skin by kojic acid as an iron chelator. Eur. J. Pharmacol., 411, 169-74 

  10. Kambayashi, H., Yamashita, M., Odake, Y., Takada, K., Funasaka, Y. and Ichihashi, M. (2001): Epidermal changes caused by chronic low-dose UV irradiation induce wrinkle formation in hairless mouse. J. Dermatol. Sci., 27, S19-S25 

  11. Kaminer, M.S. (1995): Magnitude of the problem. In: Gilchrest BA, eds. Photodamage. Blackwell Science, Inc., 115 

  12. Katiyar, S.K. and Ahmad, N. (2000): Green Tea and Skin. Arch. Dermatol., 36, 989-994 

  13. Kim, S.Y., Ahn, D.K., Park, S.K., Lee, J.Y., Kim, W.G., Sim, Y.C. and Lee, S.J. (2002): Protective effects of jaummidan (Ciyinmei-dan) against skin photoaging in hairless mouse model and UVB-induced damage in human fibroblasts. J. Korean Oriental Med., 23, 43-53 

  14. Kligman, A.M. (1969): Early destructive effect of sunlight on human skin. J. Am. Med. Assoc., 210, 2377-2380 

  15. Kligman, L.H. (1996): The hairless mouse model for photoaging. Clinics in Dermatology, 14, 183-195 

  16. Kligman, L.H., Akin, F.H. and Kligman, A.M. (1982): Prevention of ultraviolet damage to the dermis of hairless mice by sunscreens. J. Invest. Dermatol., 78, 181-189 

  17. Kligman, L.H., Sapadin, A.N. and Schwartz, E. (1996): Peeling agents and irritants, unlike tretinoin, do not stimulate collagen synthesis in the photoaqed hairless mouse. Arch. Dermatol. Res., 288, 615-620 

  18. Marta, J.P. (2001): Aging of the skin. The biology of the skin. Perthenon publishing. 209-218 

  19. Moan, J. and Dahlback, A.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ncers, solar radiation and ozone depletion. Br. J. Cancer, 65, 916-21 

  20. Moloney, S.J., Edmonds, S.H., Giddens, L.D. and Learn, D.B. (1992): The hairless mouse model of photoaging: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rmal elastin, collagen, skin thickness and wrinkles. Photochem. Photobiol., 56, 505-511 

  21. Montagna, W. and Carlisle, K. (1979): Structural changes in aging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73, 47-53 

  22. Nishimori, Y., Edwards, C., Pearse, A., Matsumoto, K., Kawai, M. and Marks, R. (2001): Degenerative alterations of dermal collagen fiber bundles in photodamaged human skin and UV-irradiated hairless mouse skin: possible effect on decreas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and appearance of wrinkles. J. Invest. Dermatol., 117, 1458-1463 

  23. Record, I.R., Dreosti, I.E., Konstantinopoulos, M. and Buckley, R.A. (1991): The influence of topical and systemic vitamin E on ultraviolet light-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Nutr. Cancer, 16, 219-225 

  24. Stahl, W., Heinrich, U., Jungmann, H., Sies, H. and Tronnier, H. (2000): Carontenoids and carotenoids plus vitamin E protect against ultraviolet light-induced erythema in humans. Am. J. Clin. Nutr., 71, 795-798 

  25. Scharffetter-Kochanek, K., Brenneisen, P. and Wenk, J. (2000): Photoaging of the skin form phenotype to mechanisms. Exp. Gerontol. 35, 307-316 

  26. Taylor, C.R., Stern, R.S., Leyden, J.J. and Gilchrest, B.A. (1990): Photoaging/photodamage and photoprotection. Arch. Dermatol., 22, 1-15 

  27. Uitto, J., Fazio, M.J. and Olsen, D.R. (1989): Molecular mechanism of cutaneous aging. Age-associated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the dermis. J. Am. Acad. Dermatol., 21, 614-622 

  28. Varani, J., Spearman, D., Perone, P., Fligiel, S.E., Datta, S.C., Wang, Z.O., Shao, Y., Kang, S., Fishcer, G.J. and Voorhees, J.J. (2001): Inhibition of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by damaged collagen in photoaged skin and by collagenase-degraded collagen in vitro. Am. J. Pathol., 158, 931-942 

  29. Werninghaus, K., Meydani, M., Bhawan, J., Margolis, R., Blumberg, J.B. and Gilchrest, B.A. (1994): Evaluation of the photoprotective effect of oral vitamin E supplementation. Arch. Dermatol., 10, 1257-126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