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irless Mice를 이용한 광노화 모델에서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피부주름 형성 억제효과
Anti-wrinkle Activity of a Curdrania tricuspidata Extract on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4, 2013년, pp.608 - 614  

김옥경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호진녕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남다은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전우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민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안전하고 우수한 효과를 지닌 천연항산화제의 광노화에 의한 피부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천연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CTL80의 식이투여와 로션 도포가 광노화를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주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광노화 유발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 hairless mice에 10주 동안 UVB 조사를 주 3회 실시하였다.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UVB를 조사한 군은 각질이 증가하고 주름 능선의 두께가 굵고 주름이 깊게 형성한 반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CTL80 처리한 군에서 주름 형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2% CTL80 로션 도포군이 가장 주름 형성을 억제하였다. 피부조직의 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인 변화에서는 UVB 조사로 두꺼워진 각질층과 표피층을 관찰하였으며 진피층의 교원섬유가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다. CTL80은 각질층과 표피층의 증가를 감소시켰으며 진피층의 교원섬유를 증가시켰음을 관찰하였다. 형태학적 변화와 같이 2% CTL80 로션 도포군의 효과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동물 혈청의 SOD와 GSH-Px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타민C와 CTL80처리 군에서 UVB만 조사한 군에 비하여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 또한 CTL80에 농도 의존적이지는 않았으나 식이 투여군에 비하여 로션 도포군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고 분해를 촉진시키는 MMPs(MMP-1, MMP-3, MMP-9)의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측정하여 발현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식이 투여군과 로션 도포군 모두 UVB 조사군에서는 발현이 현저히 높아졌으나 비타민 C와 CTL80 처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CTL80 로션 도포군에서 MMP-9의 발현이 확연히 낮아졌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TL80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지녔으며 이러한 항산화능을 통하여 UVB로 광노화를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주름 생성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주름 억제 효능을 지니는 기능성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nti-wrinkle activity of an 80% ethanol extract of Curdrania tricuspidata leaves (CTL80) on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ice. Skin wrinkles were induced by 10 weeks of UVB-irradiation on the back of Skh-1 hairless mice three times a week. Mice were divided into 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자외선 노출에 의한 인체 피부노화 연구는 오랜 기간이 소요되며 자외선 노출량을 조절하기 어렵다. 따라서 광노화 연구에 있어서인간의 표피 및 진피의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hair-less mouse가 광노화 연구 모델로 적합하여(18), 본 연구에서는 hairless mouse를 이용하여 UVB를 조사함으로써 광노화 유발 모델을 만들어 항산화 작용이 뛰어난 비타민 C와 CTL80의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 뿐만 아니라 GSH-Px는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여 과산화수소의 축적을 막아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어하는 기능을 한다(22).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광노화 유발된 mouse의 항산화 방어체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SOD와 GSH-Px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안전하고 우수한 효과를 지닌 천연항산화제의 광노화에 의한 피부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천연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CTL80의 식이투여와 로션도포가 광노화를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주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광노화 유발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 hairless mice에 10주 동안 UVB 조사를 주 3회 실시하였다.
  • 이러한 꾸지뽕나무의 항산화 활성은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의 증가를 억제시켜 주름개선 효과에 긍정적인 효과를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 연구를 통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꾸지뽕나무 잎 80% 에탄올 추출물(CTL80)을 이용하여 광노화 유발 동물모델에서식이 투여와 로션 도포를 통한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비교 및 검증하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꾸지뽕나무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는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 Burea)의 부위별 및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고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지녀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11).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Mol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아시아나 우리나라 전라도, 경상도, 충청남도 등에 분포하며 10월경 붉은 열매를 맺는 특징이 있다(12). 꾸지뽕나무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항산화 활성에 대해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며(13), 뿐만 아니라 항염(14), 항당뇨, 고혈압 억제(15)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hairless mice에 10주 동안 UVB 조사를 주 3회 실시한 결과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광노화 유발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 hairless mice에 10주 동안 UVB 조사를 주 3회 실시하였다.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UVB를 조사한 군은 각질이 증가하고 주름 능선의 두께가 굵고 주름이 깊게 형성한 반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CTL80 처리한 군에서 주름형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2% CTL80 로션 도포군이 가장 주름 형성을 억제하였다. 피부조직의 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인 변화에서는 UVB 조사로 두꺼워진 각질층과 표피층을 관찰하였으며 진피층의 교원섬유가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다.
피부의 노화는 어떻게 구분할 수있는가? 피부의 노화는 시간 의존성 자연노화에 따른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부적 요인에 의한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 온도, 공해, 자외선 등에 의한 외인성 노화 중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라고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Rittie L, Fisher GJ. 2002. UV-light-induced signal cascades and skin aging. Ageing Research Reviews 1: 705-720. 

  2. Bernerd F, Vioux C, Asselineau D. 2000.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effect of sunscreens on in vitro reconstructed human skin exposed to UVB or UVA irradiation. Photochem Photobiol 71: 314-320. 

  3. Yasui H, Sakurai H. 2003. Age-dependent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skin of live hairless rats exposed to UVA light. Exp Dermatol 12: 655-661 

  4. Ansel JC, Luger TA, Lowry D, Perry P, Roop DR, Mountz JD. 1988. The expression and modulation of IL- $1{\alpha}$ in murine keratinocytes. J Immunol 140: 2274-2278. 

  5. Castanet J, Ortonne JP. 1997. Pigmentary changes in aged and photoaged skin. Arch Dermatol 133: 1296-1299. 

  6. Fisher GJ, Wang ZQ, Datta SC, Varani J, Kang SW, Voorhees JJ. 1997. Pathophysiology of premature skin aging induced by ultraviolet light. New Eng J Med 337: 1419-1428. 

  7. Shephard P, Martin G, Smola-Hess S, Brunner G, Krieg T. Smola H. 2004. Myofibroblast differentiation is induced in keratinocyte-fibroblast co-cultures and is antagonistically regulated by endogenous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and interleukin-1. Am J Pathol 164: 2055-2066. 

  8. Steenvoorden DP, Henegouwen GM. 1997. The use of endogenous antioxidants to improve photoprotection. J Photochem Photobiol B 41: 1-13. 

  9. Darr D, Fridovich I. 1994. Free radicals in cutaneous biology. J Invest Dermatol 102: 671-675. 

  10. Masteikova R, Muselik J, Bernatoniene J, Majiene D, Savickas A, Malinauskas F, Bernatoniene R, Peciura R, Chalupova Z, Dvorackova K.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tinctures prepared from hawthorn fruits and motherwort herb. Ceska Slov Farm 57: 35-38. 

  11. Kim OK, Ho JN, Nam DE, Jun WJ, Hwang KT, Kang JE, Chae OS, Lee JM. 2012. Hepatoprotective effect of Curdrania tricuspidata extract against oxidative dam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13. 

  12. Kim JY, Chung JH, Hwang I, Kwan YS, Chai JK, Lee KH, Han TH, Moon JH. 2009. Quantifica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their processed foods. Kor J Hort Sci Technol 27: 489-496. 

  13.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r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 Med Crop Sci 17: 115-120. 

  14. Oh PS, Lim KT.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involvement of MAPK/NF- ${\kappa}B$ signaling. Immunol Invest 40:76-91. 

  15. Kang DG, Hur TY, Lee GM, Oh H, Kwon TO, Sohn EJ, Lee HS. 2002.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water extract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s in NO-dependent hypertension. Life Sci 70: 2599-2609. 

  16. Lee IK, Song KS, Kim CJ, Kim HM, Oh GT, Yoo ID. 1994.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and antioxy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from the stem bark of Cudrania tricuspidata. Agric Chem Biotechnol 37: 105-109. 

  17. Chung JH. 2003. Photoaging in asians.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9: 109-121. 

  18. Kligman LH. 1996. The hairless mouse model for photoaging. Clin Dermatol 14: 185-195. 

  19. Seite S, Zucchi H, Septier D, Igondjo-Tchen S, Senni K, Godeau G. 2006. Elastin changes during chronological and photo-ageing: the important role of lysozyme.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 980-987. 

  20. Woods GM, Malley RC, Muller HK. 2005. The skin immune system and the challenge of tumour immuno-surveillance. Eur J Dermatol 15: 63-69. 

  21. Deisseroth A, Dounce AL. 1970. Catalas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mechanism of catalysis and physiological role. Physiol Rev 50: 3-24. 

  22.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98.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p 32. 

  23. Kirnbaner R, Kock A, Neuner P, Forster E, Krutmann J, Urbanski A, Schauer E, Ansel JC, Schwarz T, Luger TA. 1991. Regulation of epidermal cell interleukin-6 production by UV light and corticosteroids. J Invest Dermatol 96:484-489. 

  24. Ikeda T, Tsutsumi T. 1990. Function and skin depigmental activity of crude drugs. Fragrance J 6: 59-66. 

  25. Talwar HS, Griffiths CEM, Fisher GJ, Hamilton TA, Voorhees JJ. 1995. Reduced type I and type III procollagens in photodamaged adult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105:285-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