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역 후 발생된 급성 뇌염 진단시 Tc-99m ECD 뇌혈류 SPECT의 임상적 유용성
The Clinical Usefulness of Tc-99m ECD Brain SPECT in Acute Measles Encephalitis 원문보기

大韓核醫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v.37 no.4, 2003년, pp.229 - 234  

임석태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손명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홍역 감염 후 속발되는 뇌염은 사망률이 높아 조기진단 및 적극적인 치료가 예후에 중요하다. 저자들은 홍역 후 발생된 뇌염에 대한 Tc-99m ECD 뇌혈류 SPECT와 뇌핵자기공명영상(MRI)의 진단 성능을 비교하였고 뇌혈류 SPECT상 중등도 이상의 심한 뇌혈류 감소가 호발하는 부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홍역으로 진단받은 112명 중에서 의식저하, 경련, 마비 등의 임상증상과 혈청 및 뇌척수액에서 홍역 특이항체가 관찰되어 홍역 후 급성 뇌염으로 진단받고 Tc-99m ECD 뇌혈류 SPECT와 MRI를 시행받은 11명(M : F=4 : 7, 연령 $1.6{\sim}1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SPECT상 관찰되는 뇌혈류는 0(정상)에서 3(결손)으로 점수화하였고 2점 이상인 경우를 중등도 뇌혈류 감소로 정의하였다. 홍역 후 발생된 뇌염 환아에서 MRI와 SPECT의 두부병소 진단 성능과 중등도 뇌혈류 감소의 호발부위를 알아보았다. 결과: MRI 시행결과 7명(63.6%)에서 T2-강조영상에서 회백질의 고강도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SPECT상 11명(100%) 모두에서 뇌혈류 감소 부위가 관찰되었다. 중등도 뇌혈류 감소는 전두엽(81.8%), 측두엽(72.7%), 후두엽(27.3%), 기저핵(27.3%), 두정엽(9.1%) 순서로 호발하였다. 결론: 홍역 후 발생된 뇌염 환아에서 두부병소를 진단하는데 MRI에 비하여 Tc-99m ECD 뇌혈류 SPECT가 좀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ince the prognosis of measles encephalitis is poor, early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clinical outcomes. We compared Tc-99m ECD brain SPECT (SPECT) with MR imaging (MRI) for the detection of acute measles encephalitis.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MRI는 입원후 평균 2.3±1.5일에 모든 환아에서1.5T의 7] 7] (IMPACT, VISION, Siemens, Enlangen, Germany) 를 이용하여 Tl-과 T2-강조영상 및 FLARE 영상을 횡단면, 시상면, 관상면으로 얻어 1 명의 진단방서선과 전문의가 신호강도의 변화를 보이는 병변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 뇌혈류 SPECT 는 입원후 평균 4.1±2.3일에 Tc-99m ECD 500~740 MBq를 정맥 주사 1시간 후에 저에너지 고해상도 부채살조준기를 장착한 이중헤드 감마카메라(MultiSPECT2, Siemens, Enrangen, Germany)로 투사상 당 21초씩, 128Q28 매트릭스루 총 40개의 투사상을 획득한 후 Butterworth 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후 역투사 방법으로 재구성하고 Chang 방법으로 감쇠보정하여 횡단면, 관상면, 시상 면을 얻었다. 판독은 2명의 핵의학 전문의가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기저핵, 시상, 소뇌 영역으로 나누어 혈류 감소 정도를 0(정상)에서 3(결손)으로 육안적으로 평가하였다.
  • 저자들은 홍역에 이완된 후 신경계 합병증으로 뇌염이 동반된 환아에서 Tc-99m ECD 뇌혈류 SPECT를 시행하여 호발 병소를 알아보고 홍역 후발생된 급성 뇌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뇌혈류 SPECT가 뇌핵자기공명영상(이하 MRI)에 비하여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 3일에 Tc-99m ECD 500~740 MBq를 정맥 주사 1시간 후에 저에너지 고해상도 부채살조준기를 장착한 이중헤드 감마카메라(MultiSPECT2, Siemens, Enrangen, Germany)로 투사상 당 21초씩, 128Q28 매트릭스루 총 40개의 투사상을 획득한 후 Butterworth 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후 역투사 방법으로 재구성하고 Chang 방법으로 감쇠보정하여 횡단면, 관상면, 시상 면을 얻었다. 판독은 2명의 핵의학 전문의가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기저핵, 시상, 소뇌 영역으로 나누어 혈류 감소 정도를 0(정상)에서 3(결손)으로 육안적으로 평가하였다.
  • 홍역후 발생된 뇌염에 대한 Tc-99m ECD 뇌혈류 SPECT와 MRI의 진단성능을 비교하였고 뇌혈류 SPECT상 중등도 이상의 심한 뇌혈류 감소가 호발하는 부위를 알아보았다.

대상 데이터

  • 2000년 10월부터 2001년 4월까지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Koplik 반점 등이 있은 후에 특징적인 홍반성 구진상 발진이 나타나 홍역으로 진단받은 112명 중에서 의식저하, 경련, 마비 등의 임상 증상과 혈청 및 뇌척수액에서 홍역 특이항체가 관찰되어 홍역후 급성 뇌염으로 진단받고 뇌혈류 SPECT 와 MRI를 시행받은 11^(M : F=4 : 7, 연령 1.6~14 세)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hrman RE, Kliegman RM, Arvin AM.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5th ed. Philadelphia:W.B. Sounders; 1996. p. 868-73 

  2. Oztuk A, Gurses C, Baykan B, Gokyigit A, Eraksoy M. 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clinical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evaluation of 36 patients. J Child Neurol 2002;17:25-9 

  3. Yagishita A, Nakano I, Ushioda T, Otsuki N, Hasegawa A. Acute encephalopathy with bilateral thalamotegmental involvement in infants and childre n:imaging and pathology findings. Am J Neuroradiol 1995;16:439-47 

  4. Park BC, Cheong HK, Park SK. Evaluation of measles vaccine effectiveness in a community outbreak. Korean J Prev Med 2002;35:33-40 

  5. Kwon BO, Ju HY, Kim JH, Yoo HJ, Kim CS. Clinical studies of measles prevalence in western kyungnam district in 2000. J Korean Pediatr Soc 2002;45:331-8 

  6. Yoo JW, Sohn HE, Chung NE, Choi TY. Age related measles antibody levels after vaccination. Korean J Clin Pathol 1999;19:227-33 

  7. Kim YJ, Kim SY, Kim YY, Kim JW, Lee J, Han K, et al. Quantities of receptor molecules for colony stimulating factors on leukocytes in measles. Yonsei Med J 2002;43:43-7 

  8. Brismar J, Gascon GG, Steyern KV, Bohlega S. 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evaluation with CT and MR. Am J Neuroradiol 1996;17:761-72 

  9. Johnson RT, Griffin DE, Hirsch RL, Wolinsky JS, Roedenbeck S, Lindo SI, et al. Measles encephalomyelitis: clinical and immunologic studies. N Eng J Med 1984;310:137-41 

  10. Moench TR, Griffin DE, Obriecht CR, Vaisberg AJ, Johnson RT. Acute measle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neurological involvement:distribution of measles virus antigen and RNA. J infect Dis 1988;158:433-42 

  11. Gendelman HE, Wolinsky JS, Johnson RT, Pressman RT, Pezeshkpour GH, Boisset GF. Measles encephalitis:lack of evidence of viral invas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quantitative study of the nature of demyelination. Ann Neurol 1984;15:353-60 

  12. Hirsch RL, Griffin DE, Johnson RT. Cellular immune responses during complicated and uncomplicated measles virus infections of man. Clin Immunol Immunopathol 1984;31:1-12 

  13. Wairagkar NS, Shaikh NJ, Ratho RK, Ghosh D, Mahajan RC, Singhi S, et al. Isolation of measles virus from cerebrospinal fluid of children with acute encephalopathy without rash. Indian Pediatr 2001;6:589-95 

  14. Akdal G, Baklan B, Cakmakci H, Kovanlikaya A. MRI follow-up of basal ganglia involvement in 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Pediatr Neurol 2001;24:393-5 

  15. Anlar B, Saatci I, Kose G, Yalaz K. MRI findings in 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Neuroradiology 1996;47:1278-83 

  16. Dimova P, Bojinova V. 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with atypical onset:clinical, computed tomographic,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rrelations. J Child Neurol 2000;15:258-60 

  17. Hung KL, Liao HT, Tsai ML. Postinfectious encephalomyelitis:etiologic and diagnostic trends. J Child Neurol 2000;15:666-70 

  18. Pedro ECS, Mountz J, Liu HG, Deutsch G. Postinfectious cerebellitis:clinical significance of Tc-99m HMPAO brain SPECT compared with MRI. Clin Nucl Med 1998;23:21-6 

  19. Kim HS, Kim DI, Lee JD, Jeong EK, Chung TS, Yoon PH, et al. Significance of Tc-99m ECD SPECT in acute and subacute ischemic stroke:comparison with MR images including diffusion and perfusion weighted images. Yonsei Med J 2002;43:211-22 

  20. Kuroda S, Houkin K, Kamiyama H, Mitsumori K, Iwasaki Y, Abe H. Long-term prognosis of medically treated patients with internal carotid o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can acetazolamide test predict it? Stroke 2001;32:2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