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seudomonas sp.를 이용한 콩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Soybean Anthracnose by Pseudomonas sp.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9 no.3, 2003년, pp.174 - 178  

오정행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김규홍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하여 병원균 Colletotrichum truncatum과 C. gloeosporioieds에 대한 길항세균 Pseudomonas sp.를 분리 동정하였다. Pseudomonas sp.의 균사생장 억제효과는 탄저병 살균제 benomyl, fluazinam과 비슷하였으며, 콩에 대한 병원성은 거의 없었다. Pseudomonas sp. 의 종자처리는 C. truncatum 을 접종한 콩 종자의 출현율을 현저히 증가시켰고, 경엽처리한 경우 잔효성은 낮았지만 처리 2주 후의 방제효과는 benomyl, fluazinam과 비슷하게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eudomonas sp. antagonistic to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 gloesporioies was select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soybean anthracnose. Pseudomonas sp.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athogens effectively as the funhicides such as benomyl and fluazinam in vitro tests without any adver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관련하여 생물학적 방제는 친환경농업에 잘 부합되는 방제법일 뿐 아니라, 화학적 방제가 경제적이지 못한 식물 병의 대체 방제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Cook, 1993; Mathre 둥,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 truncatum 및 C. gloeosporioides에 대한 길항 미생물을 선발하여 콩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thow, K. L. 1987. Fungal diseases. In: Soybeans; improvement, production, and uses. ed. by Wilcox, 712 pp. Madison, Wiscosin, USA 

  2. Backman, P. A., Williams, J. C. and Crawford, M. A. 1982. Yield losses in soybeans from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truncatum. Plant Dis. 66: 1032-1034 

  3. Cook, R. J. 1993. Making greater use of introduced microorganism for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s. Annu. Rev. Phytopathol. 31: 53-80 

  4. De Boer, M., Bom, P., Kindt, F.,Keurentjes, J. J. B., van der Sluis, L., van Loon, L. C. and Bakker, P. A. H. M. 2003. Control of Fusarium wilt of radish by combining Pseudomonas putida strains that have different disease-suppressive mechanisms. Phytopathology 93: 626-632 

  5. Fehr, W. R., Caviness, C. E., Burmood, D. T. and Pennington, J. S. 1971. Stage of development descriptions of soybeans, Glycine max (L.) Merrill. (Abstr.) Crop Sci. 11: 929-931 

  6. Holt, J. G., Krieg, N. R, Sneath, P. H. A., Staley, J. T. and Williams, S. T. 199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 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787 pp 

  7. Hong, S. S., Nam, K. W. and Kim, C. H. 1991. Performance of antagonist's peat formulation to Phytophthora blight of red pepper in field. Korean J. Plant Pathol. 7(3): 147-152 

  8. Manandhar, J. B., Hartman, G. L. and Sinclair, J. B. 1988. Soybean germ plasm evaluation for resistance to Colletotrichum truncatum. Plant Dis. 72: 56-59 

  9. Mathre, D. E., Cook, R. J. and Callan, N. W. 1999. From discovery to use: Traversing the world of commercializing biocontrol agents for plant disease control. Plant Dis. 83: 972-983 

  10. 문병주, 김철승, 송주희, 김현주, 이재필, 박현철, 신동범. 2002. 들깨 잿빛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 II. 미생물 농약희 제조 및 그 방제효과. 식물병연구 8(3): 184-188 

  11. Oh, J. H. and Kang, N. W. 2002. Efficacy of fluazinam and iprodione + propineb in the suppression of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the causal agents of seed decay in soybean. Plant Pathol. J. 18(4): 216-220 

  12. Park, K. S., Hagiwara, H. and Kim, C. H. 1993. Isolation of an antibiotic substance from Pseudomonas cepacia antagonistic to Phytophthora capsid. Korean J. Plant Pathol. 9(1): 1-6 

  13. Raaijmakers, J. M., Leeman, M., Van Oorschot, M. M. P., Van der Sluis, I., Schippers, B. and Bakker, P. A. H. M. 1995. Doseresponse relationships in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wilt of radish by Pseudomonas spp. Phytopathology 85: 1075-1081 

  14. Sinclair. J. B. and Backman, P. A. 1989. Compendium of soybean diseases(3rd. ed.). APS press. St. Paul, Minnesota. 106 pp 

  15. Steddom, K, Menge, J. A., Crowley, D. and Borneman, J. 2002. Effect of repetitive applications of the biological bacterium Pseudomonas putida 06909-rif/na1 on citrus soil microbial communities. Phytopathology 92: 857-862 

  16. Van Loon, L. C, Bakker, P. A. H. M. and Pieters, C. M. J. 1998. Systemic resistance induced by rhizosphere bacteria. Annu. Rev. Phytopathol. 36: 453-483 

  17. 양현숙, 손황배, 정영륜. 2002. Bacillus stearothermophilus YC4194에 의한 Pythium 모잘록 병의 생물학적 방제. 식물병연구 8(4): 234-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