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연안의 가시복(Diodon holoanthus)에서 분리된 세균의 다양성 및 항균활성 효과
Phylogenetic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in Bacterium from Balloon Fish (Diodon holocanthus) of Jeju Island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8 no.1, 2020년, pp.57 - 63  

문채윤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수산생명의학과) ,  고준철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김민선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허문수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 온난화로 인한 제주도의 해양 생태계는 지난 20년동안 온대에서 아열대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기후 변화는 난대성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며, 최근 제주 연안에서는 가시복(diodon holoanthus)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복의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균주 중 어류 또는 인체 유해세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항균 활성 탐색을 수행하였다. Proteobacteria는 분리 된 균주 중 91%를 차지한 우점문으로 γ-proteobacteria강은 11속 142종으로 Vibrio속 35%, Photobacterium속 32%, Shewanella속 6%, Psychrobacter속 4%, Acinetobacter속 3% 및 나머지 Enterovibrio, Moraxella_g2속이 각각 1%를 차지했다. α-proteobactera강은 5속 5종으로 Brevundimonas속, Allorhizobium속, Pseudoceanicola속, Erythrobacter속 및 Methylobacterium속이 각각 1%로 나타났다. Firmicutes문 Bacilli강은 6속 10종으로 Bacillus속 5%가 가장 높았고 나머지 Terribacillus속, Paenibacillus속, Salinicoccus속, Staphylococcus속 및 Streptococcus속은 1%로 관찰됐다. Actinobacteria문 Actinobacteria강은 3속 3종으로 Janibacter속, Micrococcus속 및 Isoptericola속이 각각 1%를 차지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past 20 years, global warming has transformed the marine ecosystem of the Jeju Island into a subtropical zone making it conducive to the production of tropical fishes. Recently, the balloon fish (Diodon holoanthus) has been found off the coast of the Jeju Island. In this study, we analy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서는 가시복의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균주 중 어류 또는 인체 유해세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항균 활성 탐색을 수행하였다.
  • 이러한 기후 변화는 난대성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며, 최근 제주 연안에서는 가시복(diodon holoanthus)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가시복의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균주 중 어류 또는 인체 유해세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항균 활성 탐색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시복의 장내미생물 군집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어류질병세균과 인체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어류질병세균과 인체유해세균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여 추후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에 있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가시복의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장내 세균의 군집은 추후 타 열대어종과 비교 분석하여 생태계 환경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복 장내 미생물의 항균 활성 탐색 결과 어떤 항균 활성을 나타냈는가? 가시복 장내 미생물의 항균 활성 탐색 결과, 일반적으로 비 병원성 상태로 인체 피부와 공생하는 균이지만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게 기회성병원체[18]가 될 수 있는 M. luteus균에서 T6, T8, B21, B22 및 B23이 항균 활성을 나타났다 (Table 3). 그 중 T8은 22 mm으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B21은 20 mm, B22와 B23은 19 mm, 나머지 T6 은 18 mm으로 관찰되었다.
가시복의 최대성장 크기는 얼마이며 어떤 환경에서 서식하는가? 2014년 제주의 겨울 수온은 14℃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다양한 난대성어류가 회유 없이 연중 한 지역에서 출현된다고 보고됐다[12]. 난대성 어류인 가시복(diodon holoanthus)은 전 세계 열대와 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하여 산호나 암석, 모래펄 등에 서식하며 최대 50 cm까지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10].
장내 미생물이 생리학적 역할을 하는 예로 무엇이 있는가? 장내 미생물은 병원균의 침입을 막아주고 정상적인 장내 점막을 유지시켜 숙주의 건강과 영양 공급을 촉진시켜 주는 등 다양한 생리학적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16]. 예를 들면 자체 점막 장벽을 유지시켜 병원균에 의한 감염 또는 항생제 치료에 따른 외부 요인에도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사람에게 장내 세균 불균형(Dysbiosis)이 일어나는 경우, 비만 또는 당뇨와 같은 질병이 발현되며 더 나아가 만성감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iragi A, Sarkar Ghosh K, Sen SK, Ray AK. 2004. Evaluation of the nutritive value of Leucaena leucocephala leaf meal, inoculated with fish intestinal bacteria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circulans in formulated diets for rohu, Labeo rohita (Hamilton) fingerlings. Aquac. Res. 35: 436-446. 

  2. Chaucheyras-Durand F, Durand H. 2010. Probiotics in animal nutrition and health. Benef. Microbes. 1: 3-9. 

  3. Daly K, Kelly J, Moran AW, Bristow R, Young IS, Cossins AR, et al. 2018. Host selectively contributes to shaping intestinal microbiota of carnivorous and omnivorous fish. J. Gen. Appl. Microbiol. 65: 129-136. 

  4. Deep K, Poddar A, Das SK. 2014. Photobacterium panuliri sp. nov., an alkalitolerant marine bacterium isolated from eggs of spiny lobster, Panulirus penicillatus from Andaman sea. Curr. Microbiol. 69: 660-668. 

  5. Fang Y, Wang Y, Liu Z, Lu B, Dai H, Kan B, et al. 2017. Shewanella carassii sp. nov., isolated from surface swabs of crucian carp and faeces of a diarrhea patient. Int. J. Syst. Evol. Microbiol. 67: 5284-5289. 

  6. Gomez GD, Balcazr JL. 2008. A review on the interactions between gut microbiota and innate immunity of fish. FEMS Immunol. Med. Microbiol. 52: 145-154. 

  7. Eigelsbach HT, Downs CM. 1961. Prophylactic effectiveness of live and killed tularemia vaccines. J. Immunol. 87: 415-425. 

  8. Hentschel U, Steinert M, Hacker J. 2000. Common molecular mechanisms of symbiosis and pathogenesis. Trends Microbiol. 8: 226-230. 

  9. Huang MM, Guo LL, Wu YH, Lai QL, Shao ZZ, Wang CS, et al. 2018. Pseudooceanicola lipolyticus sp. nov., a marine alphaproteobacterium, reclassification of Oceanicola flagellates as Pseudooceanicola flagellates comb. nov. and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Pseudooceanicola. Int. J. Syst. Evol. Microbiol. 68: 409-415. 

  10. Huang YR, Shiau CY, Chen HH, Huang BC. 201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 and pepsin-solubilized collagens from the skin of ballon fish (Diodon holocanthus). Food. Hydrocoll. 25: 1507-1513. 

  11. Kim HS, Kim HS, Jung MM, Lee JB. 2013. New record of dinoflagellates around Jeju Island. J. Ecol. Environ. 36: 273-291. 

  12. Kim MJ, Han HS, Kim JS, Kim BY, Song CB.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 Island. Han. Gug. Eoryu. Hag. Hoeji. 26: 212-221. 

  13. Kim SW, Chung M, Park HS. 2015. Tropical fish species thriving in temperate korean waters. Mar. Biodivers. 45: 147-148. 

  14. Krahenbuhl JL, Humphres RC, Henika PC. 1982. Effects of Propionibacterium acnes treatment on the course of Mycobacterium leprae infection in mice. Infect. Immun. 37: 183-188. 

  15. Macian MC, Garay E, Grimont PAD, Pujalte MJ. 2004. Vibrio ponticus sp. nov., a neighbor of V. fluvialis-V. furnissii clade, isolated from Gilthead sea bream, mussels and seawater. Syst. Appl. Microbiol. 27: 535-540. 

  16. Nayak SK. 2010. Role of gastrointestinal microbiota in fish. Aquac. Res. 41: 1553-1573. 

  17. Olsson JC, Westerdahl A, Conway PL, Kjelleberg S. 1992. Intestinal colonization potential of turbot (Scophthalmus maximus) and Dab (Limanda limanda)-associated bacteria wi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Vibrio anguillarum. Appl. Environ. Microbiol. 58: 551-556. 

  18. Peces R, Gago E, Tejada F, Laures AS, Alvarez-Grande J. 1997. Relapsing bacteraemia due to Micrococcus luteus in a haemodialysis patient with a perm-cath catheter. Nephrol. Dial. Transplant. 12: 2428-2429. 

  19. Sudh Rani P, Saini MK, Pinnaka AK, Kumar GS, Kumar S, Vemuluri VR, et al. 2019. Shewanella submarina sp. nov., a gammaproteobacterium isolated from marine water. Int. J. Syst. Evol. Microbiol. 69: 39-45. 

  20. Ray AK, Bairagi A, Sarkar-Ghosh K. 2007.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cellulose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CY5 and Bacillus circulans TP3 isolated from fish gut. Acta. Ichthyol. Piscat. 37: 47-53. 

  21. Sommer F, Anderson JM, Bharti R, Raes J, Rosenstiel P. 2017. The resilience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influences health and disease. Nat. Rev. Microbiol. 15: 630-638. 

  22. Stephens WZ, Burns AR, Stagaman K, Wong S, Rawls JF, Guillemin K, et al. 2016. The composition of the zebrafish intestinal microbial community varies across development. ISME J. 10: 644-654. 

  23. Sugita H, Shibuya K, Hanada H, Deguchi Y. 1997. Antibacterial abilities of intestinal microflora of the river fish. Fish. Sci. 63: 378-383. 

  24. Sugita H, Shibuya K, Shimooka H, Deguchi Y. 1996. Antibacterial abilities of intestinal bacteria in freshwater cultured fish. Aquaculture 145: 195-203. 

  25. Tarnecki AM, Burgos FA, Ray CL, Arias CR. 2017. Fish intestinal microbiome: diversity and symbiosis unraveled by metagenomics. J. Appl. Microbiol. 123: 2-17. 

  26. Thompson FL, Hoste B, Thompson CC, Goris J, Gomez-Gil B, Huys L, et al. 2002. Enterovibrio norvegicus gen. nov., sp. nov., isolated from the gut of turbot (Scophthalmus maximus) larvae: a new member of the family Vibrionaceae.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2015-2022. 

  27. Thompson JR, Randa MA, Marcelino LA, Tomita-Mitchell A, Lim E, Polz MF. 2004. Diversity and dynamics of a north atlantic coastal Vibrio community. Appl. Environ. Microbiol. 70: 4103-4110. 

  28. Williams BA, Verstegen MWA, Tamminaga S. 2001. Fermentation in the large intestine of single-stomached animals and its relationship to animal health. Nutr. Res. Rev. 14: 207-227. 

  29. Yang G, Bao B, Peatman E, Li H, Huang L, Ren D. 2007.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puffer fish Takifugu obscurus. Aquaculture 262: 183-1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