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이 오일과 토코페롤 급여가 돈육의 지방산, 아미노산, TBARS, VBN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ils and Tocopherol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Amino acid, TBARS, VB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2, 2003년, pp.297 - 308  

진상근 (진주산업대학교 국제축산개발학과) ,  김일석 (진주산업대학교 국제축산개발학과) ,  송영민 (진주산업대학교 국제축산개발학과) ,  하경희 (경상대학교 축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지가 5% 첨가되어 있는 일반적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 돈육(C), 우지 함량 중 2%를 들깨유로 대체 급여한 돈육(T1), 들깨유 2%에 비타민 E를 250ppm 첨가한 돈육(T2), 오징어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3), 오징어유 2%에 비타민 E를 첨가 급여한 돈육(T4), CLA를 2% 대체 급여한 돈육(T5)의 육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오일간에는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에 비하여 SFA와 EFA는 높은 반면 UFA, MUFA, UFA/SFA MUFA/SFA는 낮았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오일간에는 T3가 다른 세 처리구들 (C, T1, T5)보다 높았으며, 동일한 오일에서는 비타민 첨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TBARS의 경우 오일간에는 C와 T1에 비하여 T3와 T5가 높았고, VBN은 C대장균군의 경우 오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신선육의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C와 T1에 비하여 T3와 T5가 낮게 나타났으며, 가열육의 관능평가에서 경도는 T3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5)에 비하여 낮아 전체적인 기호도는 높았다. TBARS, VBN, 총세균수, 유산균수, 대장균군, 신선육 및 가열육의 관능평가에서 동일한 오일에서 비타민 첨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요약해 볼 때 우지 대신 들깨유와 오징어유를 첨가 급여시에 육질에는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타민 첨가급여로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되는 등 육질개선에는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지 대신 불포화지방산비율이 높은 들깨유와 오징어유 및 여기에 비타민 E를 첨가하거나 자체 항산화 효과가 있을것으로 가정되는 CLA를 돼지에게 급여하여 안전하고 인체에 유익한 돈육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a, b :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 in the same row significantly differ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P.H.A. 198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 ation of dairy products. 15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2. Ahn, D. U., Sell, J. L., Jo. C., Chamruspollert, M. and Jeffrey, M. 1999.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quality charac- teristics of chicken egg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Poultry Sci. 78:922-928. 

  3. Asghar, A., Gray, J. I., Booren, A. M., Gomaa, E. A., Abouzied, M. M., Miller, E. R. and Buckley, D. J. 1991a. Effect of supranutri tional dietary vitamin E levels on subcellular deposition of $\alpha$ -tocopherol in the muscle and on pork quality. J. Sci. Food Agric. 57:31. 

  4. Bartov, I., Basker, D. and Angel, S. 1983. Effect of dietary vitamin E on the stability and sensory quality of turkey meat. Poultry Sci. 62:1224. 

  5. Brewer, M. S., Ikins, W. G. and Harbers, C. A. Z. 1992. TBA w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 Effects of packing. J. Food Sci. 57:558. 

  6. Buege, J. A. and Aust, J. 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302. 

  7. Burttris, J. L. and Diplock, A. T. 1988. The $\alpha$ - tocopherol and phospholipid fatty acid content of rat liver subcellular membranes in vitamin E and selenium deficiency. Biochem. Biophys. Acta. 963:61. 

  8. Cannon. J. E., Morgan, J. B., Schmidt, G. R., Tatum, J. D., Sofos, J. N., Smith, G. C., Delmore, R. J. and Williams, S. J. 1996. Growth and fresh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gs supplemented with viatmin E. J. Anim. Sci. 74:98. 

  9. Dirinck, P., De Winne, A., Casteels, M. and Frigg, M. 1996. Studies on vitamin E and meat quality. 1. Effect of feeding high vitamin E levels on time-related pork quality. J. Agric. Food Chem. 44:65. 

  10. Du, M., Ahn, D. U. and Sell, J. L. 2000.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CLA) and linoleic/linolenic acid ration on polyunsaturated fatty acid status in laying hens. Poultry Sci. 79: 1749-1756. 

  11. Folch, J., Lees, M. and Sloane Stanley, G. H. 1956.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Iipides from animal tissue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26:497. 

  12. Joo, S. T. Lee, J. I., Ha, Y. L. and Park, G. B. 2002.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oxidation,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of pork loin. J. Ani. Sci. 80:108-112. 

  13. Kim, I. S., Min, I. S. and Lee, M. 1998. Comparison of TBA, VBN, fatty acids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imported and domestic Frozen pork bellies. Korean J. Anim. Sci. 40(5):507-516. 

  14. Kim, M. S., Yang, J. B. and Moon, Y. H. 1999. Effects of chilling process after thawing o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beef lo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9(3):234-239. 

  15. Kim, S. M., Lee, S. H. and Sung, S. K. 1997. Effects of vitamin C and vitamin E on meat color and lipid peroxidation in Korean beef. Korean J. Anim. Sci. 39(3):267-274. 

  16. Larick, D. K., Tmer, B. E., Schoenherr, W. D. Correy, M. T. and Pilkington, D. H. 1992. Volatile d compound cou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as influenced by linoleic acid content of the diet. J. Anim. Sci. 70:1397. 

  17. Lee, J. I., Choi, C. S., Park, J. D., Park, J. C., Kim, Y. H., Moon, H. K., Joo, S. T. and Park, G. B. 2001.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pork quality. Kor. J. Anim. Sci. 43(5): 735-746. 

  18. Lee, J. I., Joo, S. T., Choi, B. D., Ha, Y. R., Ha, J. K. and Park, G. B. 1999. The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feeding period on CLA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Kor. J. Anim. Sci. 41(3):375-386. 

  19. Lin, C. F., Gray, J. I., Asaghar, A., Buckley, D. J., Booren, A. M. and Flegal, C. J. 1989. Effects of dietary oils and $\alpha$ -tocopherol supplementation on lipid composition and stability of broiler meat. J. Food Sci. 54:1457. 

  20. Melton, S. L. 1983. Methodology for following lipid oxidation in muscle foods. Food Technol. 37:105. 

  21. Miller, M. F., Shackelford, S. D., Hayden, K. D. and Reagan, J. O. 1990 Determination of the alteration in fatty acid profil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arcass traits of swine fed dldvated levels of monounsaturated fats in the diet. J. Anim. Sci. 68:1624. 

  22. Mossoba, M. M., McDonald, R. E. and Armstrong, D. J. 1991. Identification of minor C18 triene and conjugated diene isomers in hydrogenated soybean oil and margarine by GC-MlFT-IR spectroscopy. J. Chromatogr. Sci. 29:324-330. 

  23. Park, Y. J. and Lee, L. H. 1996. Dietary intakes, blood pressure, obesity index, and blood lipids concentrations in hypertensive patients classified by socioeconomic factors.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4(6):307-342. 

  24. SAS. 1999.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Inc., Cary, NC. 

  25. Seo, S. H. and Park, J. Y. 1998. Status of hypertensive patients' drug-taking in health center and its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5(2):23-43. 

  26. Sheldon, B. W. 1984. Effect of dietary tocopherol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turkey meat. Poultry Sci. 63:673. 

  27. St. John, L. C., Yong, C. R., Knable, D. A., Thompson, L. D., Schelling, G. T., Grundy, S. M. and Smith, S. B. 1987. Fatty acid profiles and sensory and carcass traits of tissues from steers and swine fed an elevted monounsaturated fat diet. J. Anim. Sci. 64:1441. 

  28. Tarladgis, B. G., Watts, B. M., Younathan, M. T. and Dugan, L. R. Jr. 1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id food. J. Am. Oil Chem. Soc. 37:44. 

  29. Thiel, R. L., Sparks, J. C., Wiegand, B. R., Parrish, F. C. and Ewan, R. C. 1998. Conjugated linoleic acid improves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in swine. p. 127 in: Midwestern Section ASAS and Midwest Branch ADSA 1998 Meeting, Des Moinse, IA. 

  30. azawa, K. and Kageyama. 1991. Physioloical activity of docosahexaenoic acid. J. Japan. Oil Chem. Soc. 40:974-978. 

  31. 高坂和久.1975.肉製品の鮮度保持と測定. 食品工業.18(4):105. 

  32. 佃信夫, 1985. いわしさは油かりのEPA分離技術と利用. 食品工業. 9:30-34. 

  33. 沖谷明. 1992. 森壽一郞, ,松石昌典: 牛肉の含氣熱成による香りの向上. 日畜會報,63:189. 

  34. 김영훈. 1966. 동의보감. 남산당. 서울. 

  35. 박구부, 이정일, 하영래, 강석중, 진상근, 주선태. 1998. 난황내 Conjugated Linoleic Acid가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지. 18(4):339-348. 

  36. 이양자, 강승연, 송일, 김혜경, 이기열. 1979. 불포화지방의 필요량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들깨유의 fat level 차이에 따른 rat의 혈액과 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Nutr. 12:99-105 

  37. 이양자, 곽동경, 이기열. 1976. 비타민 E와 불포화지방산과의 관계-들깨유를 중심으로 한 동물의 비교연구 Korean J. Nutr. 9:283-291. 

  38. 이정일, 정명섭, 박구부, 박범영, 박태선, 황보종, 김진형, 성필남. 1998. 톱밥 발효사료 및 분말어유의 첨가사료가 돈육의 선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40(1):69-78. 

  39. 정인경, 이일하. 1995. 고혈압환자의 지질섭취양상과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과의 관계, ’95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논문 초록. p.31. 한국영양학회.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