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가설 검증을 위한 학생들의 실험 설계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esigns Suggested by Students for Testing Scientific Hypothes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2, 2003년, pp.200 - 213  

박종원 (전남대학교 사번대학 물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설의 생성과정과 검증과정에 대한 연구는 가설의 생성과정,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설계과정, 실제 실험수행과정, 실험결과에 따른 가설의 평가과정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들 중에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설계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학생들이 제안한 실험설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실험설계를 위해서 실험방법, 실험결과의 예측, 예측된 결과에 의한 가설평가의 3요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2) 학생들은 옳다고 생각하는 가설과 틀리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 모두 검증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3) 간혹, 옳다고 생각되는 가설에 대해서는 실험적 검증이 아닌 이론적 검증을 하려는 경우도 관촬되었다. (4) 학생들이 제안한 실험설계의 유형은 직접실험과 비교실험으로 나눌 수 있었고, 비교실험은 긍정비교실험과 부정비교 실험으로 나눌 수 있었다. (5) 학생들은 옳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긍정비교실험설계를, 틀리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부정비교실험설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학생들은 옳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실험설계를 하면서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만을 예측하였고, 틀리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실험설계를 하면서 가설을 반증하는 결과만을 예측하였다. (7) 이러한 편향된 예측과 반대되는 예측을 하도록 강요하여도 이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자신의 예측과 반대되는 결과에 대한 거부반응은 실험결과의 해석에서 뿐 아니라 실험설계 단계부터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one of the successive studies for investigating students' processes of generating and evaluating scientific hypothesi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experimental design to test whether the given hypotheses were correct or not.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주제어

참고문헌 (19)

  1. 박종원(1998). 과학활동에서 연역적 사고의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17 

  2. 박종원(2002). 학생개념체제의 연속적 세련화와 정교화를 통한 개념변화 분석-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57-377 

  3. Baker, L. M., & Dunbar, K(2000). Experimental design heuristics for scientific discovery: the use of ‘baseline: and :known standard’ control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3, 335-349 

  4. Chen, Z., & Klahr, D.(1999). All other things being equal: Acquisition and transfer of the control of variables strategy. Child Development, 70(5), 1098-1120 

  5. Gough, N.(1998). 'If this were played upon a stage ...' : school laboratory work as theatre of representation.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London: Routledge 

  6. Kaufman, D. R., Vosniadou, S., diSessa, A.. & Thagard, P.(2000). Scientific explanation, systematicity, and conceptual change. Proceedings of the twenty-second annual conference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August, 13-15. University of Pennsylvania, 5-9 

  7. Klahr & Dunbar(1988).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Cognitive Science, 12, 1-48 

  8. Klahr, D.(2000). Exploring Science: The cognition and development of discovery processes. London: The MIT Press 

  9. Kuhn, D., Amsel, E., & O' Loughlin, M.(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skill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 

  10. Laughlin, P. R, Bonner, B. L., & Altermatt, T. W.(1999). Effectiveness of positive hypothesis testing in inductive and deductive rule learn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77(2), 130-146 

  11. Laughlin, P. R, Magley, V. J., Shupe, E. L. (1997). Positive and negative hypothesis testing by cooperative group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69(3), 265-275 

  12. Lawson, A. E., Clark, B., Cramer-Meldrum, E., Falconer, K.A., Sequist, J.M., & Kwon, Y. (2000).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in college biology: Do two levels of general hypothesis-testing skills exis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 81-101 

  13. Nellist, J., & Nicholl, B.(1986). ASE science teachers' handbook. London: Hutchinson 

  14. Park, J., & Pak, S.(1997). Students' responses to experimental evidence based on perceptions of causality and availability of evid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1), 57-67 

  15. Park, J., & Kim, I.(2002). Analysis of students' processes of generating scientific explanatory hypothesis. Paper presented at the ASERA, Townsville, Australia 

  16. Park, J., Kim, I., Lim, M., & Lee, M.(2001). Analysis of students' processes of confirmation and falsification of their prior ideas about electrost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2), 1219-1236 

  17. Popper, K. R(1968).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London: Hutchinson 

  18. Sharaagen, J. M.(1993). How experts solve a novel problem in experimental design. Cognitive Science, 17(2), 285-309 

  19. Wason, P. C. (1960). On the failure to eliminate hypotheses in a conceptual task.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2, 129-1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