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 시 하지근육 역할에 대한 최적화 기법적 해석
Analysis of Lower Extremity Muscle Force Variations during the Gait Cycle with Optimization Method 원문보기

의공학회지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24 no.6 = no.81, 2003년, pp.509 - 514  

전응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영은 (단국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행시 하지 주요 근육내의힘의 변화를 계산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인체는 7개의 운동 분절로 모델링 하였으며, 하지 당 8개의 수요 근육을 고려한 모델을 사용하였다. 보행시 하지 근육의 발생되는 힘의 변화는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계산 결과는 기존의 EMG 데이터와 비교 검토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행시 각 운동 분절의 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역동력학적 기법으로 구해진 하지 관전내의 토크량의 변화와 비교에서도 본 연구에서의 계산 결과는 만족할 만한 일치를 보이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athematical model of human gait was developed to calculate the muscle forces of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The musculoskeletal model consisted of 7 segments and 16 lower extremity muscles. The muscle forces variation during the gait calculated with optimization technique showed a good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발표되었던 수직점프 모델을 기초로 하여 보행운동의 해석을 위한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해석하였다. 하지를 7개의 분절과 16개의 골격근으로 구성하여 모델링하였으며 이를 최적화 문제로 구성하여 대화형 설계최적화 프로그램인 Idesign으로 해석하였다.
  • 인체의 보행운동에 관한 연구는 하지의 구조와 운동 메커니즘의 복잡성으로 인해 매우 제한적인 조건에 한하여 해석이 수행되고 있으며, 해석적 모델로부터 얻어진 결과의 비교와 검증은 실험적으로 측정된 정상보행 (normal gait)의 통계적 결과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개발된 수직점프 모델과 근육 모델을 응용, 확장하여 보행운동의 해석을 위한 모델을 수립하고, 최적화 기법을 이용해서 보행 시각 근육에서 발생되는 힘의 변화를 해석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의 근-골격 모델은 상체, 넓적다리, 정강이, 발 등 네 개의 강체분절(rigid-body segment)S-, 왼쪽과 오른쪽 하지를 합쳐 총 7개의 분절로 구성하였다(그림 1). 각 분절의 관절은 마찰이 없는 1 자유도 관절로 가정하였으며 하지를 움직이는 작동체로써 그림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8개의 주요 근육으로 구성하였다. 그림에서 TA, SOL, OPF, GAS는 각기 앞경골근(tibialis anterior), 가자미근(solus), 하퇴굽힘근육무리(other plantarflexors), 그리고 장딴지근(gastronecmius)을 각기 나타내고 있다.
  • 근육이 발생시키는 힘을 계산하기 위해 Hill 타입 모델에서 근육의 수동적 요소(passive element)를 고려치 않은 그림 3과 같은 작동체 모델[4]을 적용하였다. 근육은 수많은 근섬유 가 모인 다발이 건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작동체 모델에서는 모든 근섬유가 평행하고 같은 페네이션 각도(pennaton angle)로 건(tendon)에 부착되어 있으며, 근섬 유의 수축 시에 그 부피와 단면적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건은 선형탄성체로 가정하였다.
  • 근육은 수많은 근섬유 가 모인 다발이 건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작동체 모델에서는 모든 근섬유가 평행하고 같은 페네이션 각도(pennaton angle)로 건(tendon)에 부착되어 있으며, 근섬 유의 수축 시에 그 부피와 단면적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건은 선형탄성체로 가정하였다.
  • 정상적인 보행운동은 최소의 힘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여 목적함수를 각 골격근에서 발생되는 힘의 합으로 하였고 이를 최소화하도록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 Garcia, A. Chatterjee, A. Ruina, and M. Coleman, 'The Simplest Walking Model: Stability, Complexity, and Scaling', J. Biomechanical Engr., Vol. 120, pp. 281-288, 1998 

  2. M. Pandy and F. Zajac, 'Optimal Muscular Coordination Strategies for jumping', J. of Biomechanics, Vol. 24, No.1, pp. 1-10, 1991 

  3. M. Pandy, F. Zajac, E. Sim, and W. Levine, 'An Optimal Control Model for Maximum-Height Human jumping', J. of Biomechanics, Vol. 23, No. 12, pp. 1185-1198, 1990 

  4. M. Hoy, F. Zajac, and M. Gordon, 'A Musculoskeletal Model of the Human Lower Extremity: The Effect of Muscle.. Tendon, and Moment Arm on the Moment-Angle Relationship of Musculotendon Actuators at the Hip, Knee, and Ankle', J. of Biomechanics, Vol. 23, No. 2, pp. 157-169, 1990 

  5. G. Taga, 'A Model of the Neuro-Musculo-Skeletal System for Human Locomotion', Biological Cybernetics, No. 73, pp, 97-111, 1995 

  6. B. Prilutsky, L. Petrova, and L. Raitsin, 'Comparison of Mechanical Energy Expenditure of joint Moments and Muscle Forces during Human Locomotion', Jounal of Biomechanics, Vol. 29, No.4, pp. 405-415, 1996 

  7. G. Wu, and Z. Ladin, 'Biomechanical Limitaions of Quasi-static Estimation of Human Joint Loading During Locomotion', Med. & BioI. Eng. & Comput., Vol. 34, pp. 472-476, 1996 

  8. J. Wu, and W. Herzog, 'Modelling Cocentric Contraction of Muscle using an Improved Cross-Bridge Model', J. of Biomechanics, No. 32, pp. 837-848, 1999 

  9. D. Risher, L. Schutte, and C. Runge, 'The Use of Inverse Dynamics Solutions in Direct Dynamics Simulations', J. of Biomechanical Engineering, Vol. 119, pp. 417-422, 1997 

  10. L. Gilchrist, and D. Winter, 'A Multisegment Computer Simulation of Normal Human Gait', IEEE Trans. Rehabilitation Engr., Vol. 5, No. 4, pp. 290-299,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