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유형별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수행능력 변화 I : 보행시 하지근육 활성도 분석
Changes of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by Exercise Types I : Analysis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Walking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8 no.1, 2008년, pp.63 - 72  

박성현 (한국국제대학교) ,  김정태 (창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운동유형별 운동 전후 뇌졸중 환자의 보행시 하지근육 활성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에서 기능적 수행능력의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근력강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운동치료군, 탄성밴드군 및 신장반사군으로 구분하여 각각 7명씩 총 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운동프로그램은 8주 동안 주 5회 실시하였다. 1차 단하지 지지기에서 장요근 및 대퇴이두근의 %MVIC는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과 탄성밴드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반면 전경골근의 %MVIC는 탄성밴드군이 운동치료군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2차 양하지 지지기에서 장요근의 %MVIC는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과 탄성밴드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반면 내측 비복근의 %MVIC는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신장반사 운동은 운동치료와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 운동 보다 고관절의 안정성 및 하지 분절의 운동성을 제공하는 주요 근육의 활성도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임상에서 근 약화로 인한 운동 기능이 제한된 편마비 환자에게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운동방법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types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stroke patients. For the purpo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uch as therapeutic exercise group(n=7), elastic band group(n=7), and stretch refl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실시되는 일반적 접근법인 운동치료와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 운동 및 메디슨 볼과 스텝상자를 이용한 신장반사 운동을 8주 동안 주 5회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이러한 운동유형이 운동 후에 이들의 하지근육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수행능력의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근력강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운동유형별 운동 전후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육 활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여 이들의 기능적 수행능력의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근력강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운동치료군, 탄성밴드군 및 신장반사군으로 구분하여 각각 7명씩 총 21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주 5회의 운동을 실시한 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마비나 편부전마비에 의한 운동장애의 문제점이 기립과 보행으 하는데 장애가 있는 이유는? 뇌졸중 환자의 대부분은 시상면에서 신체의 한쪽이 마비되는 편마비를 나타내고, 주요 증상 중 하나는 기립자세에서 비마비측 하지에 체중의 61-80%가 부하되는 비대칭적인 현상을 보인다(Sackley & Baguly, 1993). 이러한 편마비나 편부전마비에 의한 운동장애의 문제점은 비대칭적인 자세, 비정상적인 균형, 체중이동 능력의 결함 및 섬세한 기능수행 능력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기립과 보행을 하는데 장애가 있다(Carr & Shepherd, 1985).
편마비 환자들의 정상적인 수준의 자발적 근 수축을 생성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과 부적절한 타이밍 그리고 근 활성 강도를 맞추지 못함은 무엇을 야기하는가? 편마비 환자들이 보행을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운 문제는 정상적인 수준의 자발적 근 수축을 생성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과 부적절한 타이밍 그리고 근 활성 강도를 맞출 수 없다는 것이다(Olney & Richards, 1996). 결국 근력의 결핍으로 인해 자세유지, 운동의 시작 및 근골격계의 부하상태 동안의 움직임 조절에 필요한 근육의 능력이 감소된다. 이렇듯 신경근계의 손상 후 근력생산과 조절의 감소로 인해 운동장애가 발생하지만, 근력강화 운동은 지난 50여년 이상 동안 많은 치료 프로그램에서 제외되어 왔다.
뇌졸중 환자의 대부분은 어떤 현상을 보이는가? 뇌졸중 환자의 대부분은 시상면에서 신체의 한쪽이 마비되는 편마비를 나타내고, 주요 증상 중 하나는 기립자세에서 비마비측 하지에 체중의 61-80%가 부하되는 비대칭적인 현상을 보인다(Sackley & Baguly, 1993). 이러한 편마비나 편부전마비에 의한 운동장애의 문제점은 비대칭적인 자세, 비정상적인 균형, 체중이동 능력의 결함 및 섬세한 기능수행 능력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기립과 보행을 하는데 장애가 있다(Carr & Shepherd,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정태, 박성현 (2007). 팔걸이 착용시 편마비 환자의 보행 지지기 동안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1), 713-722. 

  2. 김현수, 김남정 (2003). 고무밴드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활동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2(5), 649-655. 

  3. 이재학, 함용운, 장수경 (1996). 측정 및 평가. 서울: 도서출판 대학서림. 

  4. 채정병 (2006). 고유수용성 운동조절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5. Baechle, T. R., & Earle, R. W. (1995). Fitness weight training. Champaign. IL: Human Kinetics. 

  6. Baechle, T. R., & Earle, R. W. (2000). Essentials of strength training and conditioning, 2nd edition. Champaign, IL: Human Kinetics. 

  7. Baechle, T. R., & Groves, B. R. (1998). Weight training steps to success, 2nd edition. Champaign, IL: 

  8. Bohannon, R. W., & Smith, M. B. (1987). Interrator reliability of modification ashworth scale of muscle spasticity. Physical Therapy, 67, 

  9. Bohannon, R. W., & Andrews, A. W. (1990). 

  10. Buchner, D. M., Larson, E. B., & Wagner, E. H. 

  11. Burke, D., Hagbarth, K. E., & Lofstedt, L. (1978). 

  12. Carr, J. H., & Shepherd, R. B. (1985).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65, 175-180. 

  13. Carr, J. H., & Shepherd, R. B. (2004).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14. Edward, F. D., & Aldo, P. (1981). Anatomic guide for the electromyograph, 2nd edition. Springfield, Charles C Tomas. 

  15. Fiatarone, M. A., Marks, E. C., & Ryan, N. D. (1990). 

  16. Hakkinen, K., & Komi, P. V. (1981). Effect of different combined concentric and eccentric muscle work regimens on maximal strength development. Journal of Human Movement Study, 7, 33-44. 

  17. Miller, G. J. T., & Light, K. E. (1997).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hemiparesis: Should it be avoided?. Neurology and Rehabilitation, 9, 

  18. Olney, S. J., & Richard, C. (1996). Hemipleg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 Characteristics. Gait & Posture, 4, 134-148. 

  19. Peat, M., Dubo, H. I., & Winter, D. A. (1976). 

  20. Sackley, C. M., & Baguly, B. I. (1993).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with balance performance monitor: Two single case studies. Clinical Rehabilitation, 7, 189-195. 

  21. Scarborough, D. M., Krebs, D. E., & Harris, B. A. 

  22. Sharp, S. A., & Brouwer, B. J. (1997).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legic knee: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8, 1231-1236. 

  23. Smith, G. V., Silver, K. H. C., & Goldberg, A. P. 

  24. Teixeira-Salmela, L. F., Olney, S. J., Nadeau, S., & Brouwer, B. B. (1999). Muscle strengthening and physical conditioning to reduce impairment and disability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0, 1211-1218. 

  25. Teixeira-Salmela, L. F., Nadeau, S., McBride, I. & Olney, S. J. (2001).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and physical conditioning training on temporal,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during gait in chronic stroke survivor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