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진동하는 NACA 4412 에어포일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 효과 2: 난류강도
Reynolds Number Effects on the Near-Wake of an Oscillating Airfoil, Part 2: Turbulent Intensity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1 no.8, 2003년, pp.8 - 18  

장조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운항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NACA 4412에어포일은 1/4 시위 지점을 중심으로 조화적으로 피칭운동을 하고, 순간받음각은 +6$^{\circ}$에서 -6$^{\circ}$까지 진동되도록 하였다.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의 난류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선풍속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유류의 속도는 3.4, 12.4, 26.2 m/s이다. 이러한 자유류 속도에 따른 시위 레이놀즈수는 $R_N=5.3{\times}10^4$, $1.9{\times}10^5$, $4.1{\times}10^5$이고, 무차원 진동수는 K=0.1이다. 레이놀즈수가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축방향 난류강도 분포를 제시하였다. 본 측정에서 모든 경우에 난류 강도는 $R_N=5.3{\times}10^4$인 경우에 아주 크고, $R_N=1.9{\times}10^5$$4.1{\times}10^5$인 경우에는 작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 레이놀즈수의 임계값은 층류분리인 경우, 분리가 발생하지 않거나 난류분리인 경우로 구분되며, 그 값은 $R_N=5.3{\times}10^4\;{\sim}\;1.9{\times}10^5$사이에 존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xperimental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ynolds number effects on the near-wake of an airfoil oscillating in pitch. An NACA 4412 airfoil is sinusoidally pitched about the quarter chord point between the angle of attack -6$^{\circ}$ and +6$^{\circ}$. A hot-wi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3x104°1 경우 난류 강도 분포는 최대받음각 6。에서 upstroke에서 downstrokes 변하여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데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이력현상을 나타낸다. 에어포일이 음(-)의 a=-6。에서 downstroke 중 일 때(Case 3) 에어포일은 Case 1일 때의 에어포일과 X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운동을 한다. 그러나 Case 3은 RN=5.
  • 6Uco가 된다고 하였다. 위상지연 효과를 보상하기 위하여 많은 하류 지점에서 축 방향 속도를 측정하여 대류 속도를 구해야 하지만 너무 방대한 작업이므로 대류 속도를 0.6Uo= 로 가정하여 위상 지연 효과를 보상한 실제 받음 각을 구하였다. 순간 받음각 4。에서 실제 받음각은 에어포일이 upstroke 중인 경우 0.
  • 또한 난류 강도 분포는 참고문헌[2이에 서와 같이 두 개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쌍봉 (double peaks) 모양이거나 단봉(single peak) 모 양을 하고 있다. 이미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본 연구에서는 대류 속도를 대략적으로 0.6U8로 가정[기하여 위상지연 효과를 보상한 실제 받음각을 구하였다. 에어포일의 실제 받음각은 순간 받음각 2。에서 upstroke 중인 경우 (Case 1)와 2°에서 downstroke 중인 경우(Case 2)에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cCrosky, W. J., "Unsteady Airfoils," Annual Review of Fluid Mechanics, Vol. 14, 1982, pp. 285-311. 

  2. Carr, L. W., "Progress in Analysis and Prediction of Dynamic Stall," Journal of Aircraft, Vol. 25, No. 1, Jan. 1988, pp. 6-17. 

  3. Ohsima H., and Ramaprian, B. R., "Velocity Measurements over a Pitching Airfoil," AIAA Journal, Vol. 35, No. 1, Jan. 1997, pp. 119-126. 

  4. Lakshminarayana B., Reynolds B., "Turbulence Characteristics in the Near Wake of a Compressor Rotor Blade," AIAA Journal, Vol. 18, No. 11, Nov. 1980, pp. 1354-1362. 

  5. Satyanarayana, B. , "Unsteady Wake Measurements of Airfoils and Cascades," AIAA Journal, Vol. 15, No. 5, May 1977, pp. 613-618. 

  6. De Ruyck, J. and Hirsch, C., "Instantaneous Turbulence Profiles in the Wake of an Oscillating Airfoil," AIAA Journal, Vol. 21, No. 5, May 1983, pp. 641-642. 

  7. Park, S. O., Kim, J. S., Lee B. I., "Hot- Wire Measurements of Near Wakes Behind an Oscillating Airfoil," AIAA Journal, Vol. 28, No. 1, Jan. 1990, pp. 22-28. 

  8. Muti Lin, J. C., and Pauley, L. L., "Low-Reynolds-number Separation on an Airfoil," AIAA Journal, Vol. 34, No. 8, Aug. 1996, pp. 1570-1577. 

  9. McGhee, R. J., and Walker B. S., "Performance Measurements of an Airfoil at Low Reynolds Numbers," Proceeding of the Low Reynolds Number Aerodynamics Conference, Notre Dame, Indiana, June 5-7, 1989, pp. 131-145. 

  10. Mueller T. J., and Batill, S. M., "Experimental Studies of Separation on a Two-Dimensional Airfoil at Low Reynolds Numbers," AIAA Journal, Vol. 20, No. 4, 1982, pp. 457-463. 

  11. 장조원, “진동하는 NACA 4412 에어포일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 효과 I : 평균속도장”,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1권, 7호, 2003, pp 15-25. 

  12. Chang, Jo Won, and Eun, Hee-Bong, "Reduced Frequency Effects on the Near-Wake of an Oscillating Elliptic Airfoil," KSME International Journal, Vol. 17, No. 8, Aug. 2003, pp. 1234-1245. 

  13. Ohmi K., Coutanceau M., Loc T. P., Dulieu A., "Vortex Formation around an Oscillating and Translating Airfoil at Large Incidence,"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211, 1990, pp. 37-60. 

  14. Kanevce, G. and Oka, S., "Correcting Hot-wire Reading for Influence of Fluid Temperature Variations," DISA Information, No. 15, Oct. 1973, pp. 21-24 

  15. Schlichting, H., "Boundary Layer Theory," 7th Ed., McGraw Hill Book Co., New York, 1979, pp. 39-42. 

  16. Arena, A. V., Mueller T. J., "Laminar Separation, Transition, and Turbulent Reattachment near the Leading Edge of Airfoils," AIAA Journal, Vol. 18, No. 7, 1980, pp. 747-753. 

  17. Chang, Jo Won, and Yoon, Yong Hyun, "Camber Effects on the Near-Wake of Oscillating Airfoils," Journal of Aircraft, Vol. 39, NO. 4, July-August 2002. pp. 713-716. 

  18. Chang, Jo Won, and Park, Seung O, "Measurements in the Tip Vortex Roll-up Region of an Oscillating Wing," AIAA Journal, Vol. 38, No. 6, June 2000, pp. 1092-1095. 

  19. Chang, Jo Won, and Park, Seung O, "A Visualization Study of Tip Vortex Roll-up of an Oscillating Wing," Journal of Flow Visualization and Image Processing, Vol. 6, No. 1, 1999, pp. 79-87. 

  20. 장조원, 박승오, “진동하는 날개의 Tip Vortex Roll-up에 관한 실험적 연구 II : 와도 및 순환”,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27권, 제6호, 1999, pp.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