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팥꽃나무과 잎표피 미세구조의 분류학적 검토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in Korean Thymelaeaceae Adan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33 no.4, 2003년, pp.421 - 433  

정은희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기초과학연구소, 식물분류학연구실) ,  홍석표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기초과학연구소, 식물분류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Adans.)의 5속(팥꽃나무속: 4종, 아마풀속: 1종, 삼지닥나무속: 1종, 피뿌리풀속: 1종, 산닥나무속: 2종)의 잎표피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였다. 연구된 모든 분류군은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으로 밝혀졌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13.8-34.4{\times}8.7-22.9{\mu}m$로 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Diathron linifolium($15.9{\pm}2.6{\times}10.0{\pm}1.3{\mu}m$)가 가장 작은 공변세포를 갖고 있었고, Daphne odora ($32.8{\pm}1.6{\times}20.7{\pm}1.3{\mu}m$)가 다소 큰 공변세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대부분의 분류군에서 불규칙형(anomocytic)으로 나타났다. 다만, Daphne kiusiana의 경우는 불균등형(anisocytic)도 함께 나타났다. 부세포의 수층벽(anticlinal wall)은 직선형 또는 파상형이다. 표피세포의 크기는 $20.7-61.0{\mu}m$으로, 가장 작은 세포는 Stellera chamaejasme($26.0{\pm}1.9{\mu}m$)에서 나타났고, 가장 큰 세포는 Edgeworthia chrysantha($53.6{\pm}3.1{\mu}m$)에서 나타났다. 표피세포의 표변은 표피상납질(epicuticular wax)이 판 모양의 조각(flake-like platelet)들로 박혀있었으며, 표피침적정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 (1) 표피 상납질은 매끄러우며 완전하지 않은 판모양의 조각들이 존재함, (2) 납작한 판 모양의 조각들이 독립적으로 평행하게 산재함, (3) 막질의 판 모양 조각들이 표면으로부터 연결되어 다양한 각도로 조밀하게 산재함. 모용은 일부 분류군에서만 나타났으며, 엽연과 맥에 분포하는 분류군과 옆 전체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모용이 있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 type으로 구별되었다. 즉, (1) Type I: 유선상이며, 선형단세포모(D. genkwa, E. chrysantha, Wikstroemia ganpi, W. trichotoma)와 (2) Type II: 유두상이며, 3-4개의 절로 구성된 갈고리형 다세포모(Diarthron linifoliuml로 나뉘었다. 끝으로 조사된 분류군내의 속간 그리고 종간의 동정과 식별을 위한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의 분류학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nine species in five genera (Daphne L. - 4 spp., Diarthron Turcz. - 1 sp., Edgewarthia Meisn. - 1 sp., Stellera L. - 1 sp., Wikstroemia Endl. - 2 spp.) of the Korean Thymelaeaceae were investigated by light microscopy (L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산 팥꽃나무과 분류군에 대한 잎 표피의 미세구조학적 형질들(기공의 유형, 표피상납질의 침적 정도, 모용의 존재 유무 및 종류 둥)을 광학현미경 (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상세히 기재하며, 그 분류학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rthlott, W. 1990.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he epidermal surface in plants. In application of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Taxonomy and Functional Morphology. D. Claugher (ed.), Clarendon Press, Oxford. Pp, 69-94 

  2. __, C. Neinhuis, D. Cutler, F. Ditsch, I. Meusel, I. Theisen and H. Wilhelmi. 1998.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of plant epicuticular waxes. Bot. J. Linn. Soc. 126: 237-260 

  3. Beyer, J. B. P. and J. J. A. Van der Walt. 1995. The generic delirnination of Lachnaea and Cryptadenia (Thymelaeaceae), Bothalia 25: 65-85 

  4. Cronquist, A. 1981. An Inter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5. Cutter, E. G. 1978. Plant Anatomy: Experiment and Interpretation. Part I. Cells and tissues. (2nd ed.) Edward Arnold, London 

  6. Domke, W. 1932. Zur Kenntnis einiger Thymelaeaeen. Notizbl. Bot. Gart. Mus. Berlin 2: 348-363 

  7. __. 1934. Untersuchungen uber die systematische und geographsche Gliederung der Thymelaeaceen. Biblioth. Bot. 111: 1-151 

  8. Gifford, E. 1963. Macerating Wood Samples. Personal Cummunication 

  9. Hamaya, T. 1955a. A dendrological monograph of the Thymelaeaceae plants of Japan. Bull. Tokyo Univ. Forests 50: 45-96 

  10. __. 1955b. Some taxonomical notes on Thymelaeaceae from Japan and the adjacent regions (2). Joum, Jap, Bot. 30: 328-333 

  11. Hong, H. H., H. T. Im and S. G. Hong. 1999. One species of Korean Wikstroemia (Thvmelaeaceae): W. ganpi (Siebold & Zucc.) Maxim. Kor. J. Plant. Tax. 29: 391-396 (in Korean) 

  12. Hong, S.-P and J. H. Paik. 2001.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of the genus Scopolia jacq, s. l. (Solanaceae-Hvoscymeae) and its systematic significance. Kor. J. Plant Tax. 31: 267-282 (in Korean) 

  13. Jung, E. H. and S.-P. Hong. 2003. Pollen morphology of Thymelaeaceae in Korea. Kor. J. Plant Tax. 33: 255-270 (in Korean) 

  14. Lee, S. T. 1997. Key for the Flora of Korea. Academy Publ. Co., Seoul (in Korean) 

  15.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angmunsa, Seoul (in Korean) 

  16. Lee, W. C. 1993.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 Co., Seoul (in Korean) 

  17. Lee, Y. N. 1996. Flora of Korea. Gohaksa Publ. Co., Seoul (in Korean) 

  18. Mabberley, D. J. 1990. The Plant Book.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9. Nevling, L. I., Jr. 1961a. A revision of the Asiatic genus Linostoma (Thymelaeaceae), J. Anorld Arbor. 42: 295-320 

  20. __. 1961b. A revision of the Asiatic genus Enkleia (Thymelaeaceae). J. Anorld Arbor. 42: 373-396 

  21. Stace, C. A. 1965. Cuticular studies as an aid to plant taxonomy. Bull. Brit. Mus. (Nat. Hist.), Bot. 4: 3-78 

  22. __. 1984. The taxonomic importance of the leaf surface. In Current Concepts in Plant Taxanomy. Heywood, V. H. and D. M. Moore (eds.), Academic Press, London. Pp. 67-93 

  23. Wilkinson, H. P. 1979. The plant surface (mainly leaf). In Anatomy of the Dicotyledons. 2nd ed. Vol. 1. Metcalfe, C. R. and L. Chalk (eds.), Clarendon Press, Oxford. Pp, 97-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