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감정자각 수준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Version of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LEAS-K)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11 no.1, 2003년, pp.60 - 68  

이정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  김상헌 (토론토대학교 토론토종합병원 정신과 섭식장애 클리닉) ,  임효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Richard D. Lane이 인지발달이론에 기초하여 감정의 경험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LEAS)를 번역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한국판 감정자각 수준 척도(LEAS-K)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 법: LEAS를 일차번역과 역번역의 과정을 거쳐 가능한 원문에 가깝게 번역을 한 후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수정한 것을 최종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경북대학교 의예과와 의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476명(남자 322명, 여자 15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신뢰도를 알아보았으며 타당도를 검사하기 위해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 개방성 척도(Openness to Experience Inventory), 사회 바람직성 척도(Marlowe-Crowne Scale), 외현 불안 척도(Bendig short form of the Taylor Manifest Anxiety Scale), 정서 표현성 척도(Emotional Expressivity Scale)를 같이 시행하였다. 결 과: LEAS-K의 내적 일치도(internal consistency)는 Cronbach's alpha 계수 0.81이었으며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였다. LEAS-K와 TAS-20K는 부적 상관관계(r=-0.10), 개방성 척도, 사회 바람직성 척도와는 정적 상관관계(r=0.10)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였다. 외현 불안 척도, 정서 표현성 척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LEAS-K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감정을 경험하는데 있어서 감정의 강도보다는 감정 경험의 구조(structure)나 복합성(complexity)을 측정하는 척도임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LEAS-K)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LEAS-K was developed from translating original LEAS into Korean. The subjects were 476 Korean medical students(322 male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LEAS에 대해서 연구된 바가 없기 때문에 본 저자는 LEAS를 우리나라의 문화와 언어 체계의 맥락에 맞게 번역하여 한국판 감정자각 수준 척도(Korean version of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 이하 LEAS-K)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의 경험을 평가하는 지금까지의 측정 방법의 한계는? 감정의 경험을 평가하는 지금까지의 측정 방법은 대부분 감정이나 기분을 단어나 구로 서술하여 그 강도나 빈도를 점수화하는 것이었으나, 감정의 조절과 표현은 매우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에 주관적 심리상태를 자각할 수 있는 개인간의 차이를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 었다. 1970년대부터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이론의 발달과 함께 감정을 경험하는 개인간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많은 도구들이 개발되었는데 Byrne 등7)은 억압, Linden 등8)은 자기-기만(self-deception), Bagby 등9)은 감정표현불능증, Coan10), Costa와 McCrae11)는 경험의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정신치료자의 치료 능력은 어떠한 능력과 관계가 있나? 감정의 조절 및 표현의 장애는 정신치료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정신치료자의 치료 능력은 타인의 감정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자각하고 표현할수 있는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환자를 공감하는 능력도 정확한 감정의 자각 능력과 관계가 있다. 정신치료를 받는 과정에서도 치료가 진전됨에 따라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환자의 증가하며 이러한 감정 표현의 강도나 자각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정신치료가 그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지 여부와 정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도 시도되고 있다6).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의 구성은? LEAS는 20개의 장면으로 구성되며 2-4개의 문장이 각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각 장면은 기본적으로 화남, 두려움, 행복함, 슬픔의 네 가지 감정을 일으키도록고안되었고 마지막 문장은‘당신은 어떤 느낌이 들겠습니까? ’,‘다른 사람은 어떤 느낌이 들겠습니까? ’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