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외집단불안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ge Stereotype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Focusing on Intergroup Anxie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1, 2021년, pp.464 - 477  

양정은 (평택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성세대와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인 '고정관념'이 세대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외집단불안의 매개효과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외집단 불안은 고정관념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로는 성별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고정관념이 외집단 불안에 영향을 주었으나 외집단 불안이 직접적으로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여학생 집단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낮은 집단의 경우 외집단 불안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능력과 관련된 고정관념보다는 인품과 관련된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its affecting factors. Based on literatures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the effect of stereotype on intergenerational satisfaction was testified and the mediating role of intergroup anxiety and the mo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요약하자면 이 연구는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변수인 ‘외집단 불안’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의한 조절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요약하자면 이 연구는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변수인 ‘외집단 불안’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모델을 확장하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인 고정관념과 외집단 불안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러한 효과가 성별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라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1>;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대한 고정관념(덕망, 활기)의 영향력에 대한 것이다. 검증결과,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대한 덕망의 직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
  • 가설 3-1.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은 경우 고정관념이 외집단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외집단 불안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것이다.
  •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고정관념이 외집단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나, 외집단 불안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낮은 사람의 경우 고정관념이 외집단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이나, 외집단 불안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한다.
  • 가설3.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고정관념(활기, 덕망) 이외집단 불안을 매개로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 가설 3-2.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낮은 경우 고정관념이 외집단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외집단 불안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 가설 3-1.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은 경우 고정관념이 외집단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외집단 불안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R. Inglehart,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1997. 

  2. H. Giles, B. Liang, K. Noels, and R. McCann, "Communicating across and within generations: Taiwanese, Chinese-Americans and EuroAmerican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Asian Pacific Communication, Vol.11, No.2, pp.161-179, 2001. 

  3. H. Ota, R. McCann, and J. Honeycutt, "Inter-Asian variability in intergenertional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8, No.2, pp.172-198, 2012. 

  4. E. B. Ryan, H. Giles, G. Bartolucci, and K. Henwood, "Psycholinguistic and social psychological components of communication by and with the elderly," Language and Communication, Vol.6, pp.1-24, 1986. 

  5. M. L. Hummert, T. A. Garstka, E. B. Ryan, and J. Bonnesen, "The role of stereotype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J. Nussbaum and J. Coupland, Handbook of Communication and Aging Research, pp.91-114, 2004. 

  6. 임태섭, "청소년들의 세대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3호, pp.244-269, 1999. 

  7. R. McCann, R. Dailey, H. Giles, and H. Ota, "Beliefs about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cross the lifespan: Middle age and the roles of age stereotyping and respect norms," Communication Studies, Vol.56, No.4, pp.93-311, 2005. 

  8. H. Giles, C. Hajek, T. Stoitsova, and C. Choi,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age boundaries in Bulgari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25, pp.133-147, 2010. 

  9. H. Giles, G. H. Khajavy, and C. Choi,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age boundaries: Comparative Middle Eastern data,"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27, pp.357-371, 2012. 

  10. Y. Chen and B. E. King, "Intra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and individual's age and age stereotyp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26, No.6, pp.562-570, 2002. 

  11. P. Huchinson, E. Fox, A. M. Laas, J. Martharu, and S. Urzi, "Anxiety, outcome expectancies and young people's willingness to engage in contact with the elderly," Educational Gerontology, Vol.36, pp.1008-1021, 2010. 

  12. Y. B. Zhang, S. Paik, C. Xing, and J. Harwood, "Young adults' contact experience and attitude toward aging: age salience and intergroup anxiety in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8, No.5, pp.468-489, 2018. 

  13. R. McCann, A. Cargile, H. Giles, and B. Cuong, "Communication ambivalence toward elders : Data from North Vietnam, South Vietnam and the U.S.A,"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19, pp.275-297, 2004. 

  14. R. McCann, K. Kellermann, H. Giles, C. Gallois, and M. A. Viladot, "Cultural and gender influences on age idetification," Communication Studies, Vol.55, No.1, pp.88-105, 2004. 

  15. W. T. Wiebe, Y. B. Zhang, and N. Liu, "Intergenerational conflict management styles: Exploring the indirect effects of sex through filial obligation," China Media Research, Vol.14, No.3, pp.44-56, 2018. 

  16. J. Harwood, J. McKee, and M-C. Lin, "Younger and older adults' schematic representation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Vol.67, No.1, pp.20-41, 2000. 

  17. M. Lin, Y. B. Zhang, and J. Harwood, "Taiwanese young adults'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chema,"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19, pp.321-342, 2004. 

  18. V. J. Knox, W. L. Gekoski, and L. E. Kelly, "The age group evalauation and description inventory: A new instrument for assessing stereotypes of and attitudes toward age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40, No.1, pp.31-55, 1995. 

  19. M. L. Hummert, "Multiple stereotypes of elderly and young adults: A comparison of structure and evaluations," Psychology and Aging, Vol.5, pp.182-193, 1990. 

  20. M. L. Hummert, T.Garstka, J. L. Shaner, and S. Strahm, "Stereotypes of the elderly held by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Journal of Gere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Vol.49, pp.240-249, 1994. 

  21. M. E. Kite and B. T. Johnson, "Attitudes toward older and younger adults: A meta 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Vol.3, pp.233-244, 1988. 

  22. J. Harwood and H. Giles, "Creating intergenerational distance: Language, communication and middle-age," Language Sciences, Vol.15, pp.1-24, 1993. 

  23. J. Harwood, H. Giles, H. Ota, H. D. Pierson, C. Gallois, S. H. Ng, T. S. Lim, and L. Somera, "College students' trait ratings and three age groups around the Pacific Rim,"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11, pp.307-317, 1996. 

  24. H. Giles, E. B. Ryang, and A. P. Anas, "Perceptions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by young, middle-aged and older Canadian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Vol.40, No.1. pp.21-30, 2008. 

  25. W. G. Stephen and C. W. Stephen, "Intergroup Anxiety," Journal of Social Issues, Vol.41, pp.157-175, 1985. 

  26. W. G. Stephan, "Intergroup anxiet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Vol.18, pp.239-255, 2014. 

  27. R. Brown and M. Hewstone,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tact," in M. Zanna (ed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pp.255-343,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5. 

  28. D. Abrams, A. Eller, and J. Bryant, "An age apart: The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and stereotype threat on performance and intergroup bias," Psychology and Aging, Vol.21, No.4, pp.691-702, 2006. 

  29. J. C. McCrosky and L. L. McCrosky, "Self-report as an approach to measuri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5, pp.108-113, 1988. 

  30. 장해순, "대인갈등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상호관계, 매력 간의 관계," 언론과학연구, 제3권, 제2호, pp.302-244, 2003. 

  31. 안선경, 허경호, "개인의 성격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2호, pp.321-345, 2004. 

  32. 최민아, 신우열, 박민아, 김주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우리를 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 회복탄력성과 자기결정성을 통해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역할,"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5호, pp.199-220, 2009. 

  33. R. L. Duran, "Communicative adaptability: A measure of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Quarterly, Vol.31, pp.320-326, 1983. 

  34. 박미정, 오두남,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421-434, 2017. 

  35. H. Ota, H. Giles, and L. Somera, "Beliefs about intra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in Japan, the Philippines, and the United States: Implicationa for older adults' subjective well-being," Communication Studies, Vol.58, pp.173-188, 2007. 

  36. H. Giles, S. Makoni, and R. M. Dailey,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beliefs across the lifespan: Comparative data from West and South Africa,"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20, pp.191-211, 2005. 

  37. N. Miczo and J. Burgoon, "Facework and nonverbal behavior in social-support interactions among romantic dyads," in M. Motley (eds.) Studies in appli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p.245-265, Thousand Oaks, CA: Sage, 2008. 

  38. A. Williams and H. Giles, "Intergenerational conversations: Young adults' retrospective account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3, No.6, pp.220-250, 1996. 

  39. S. H. Ng, J. H. Liu, A. Weatherall, and C. S. Loong, "Younger adults'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contact with elders and peer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4, pp.82-108, 1997. 

  40. J. H. B. Yeh, "Relations matter: Redefining communication competence from a Chinese perspective," Chines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 No.1. pp.64-75, 2010. 

  41. J. O. Yum, "Communication competence: A Korean perspective," China Media Research, Vol.8, No.2, pp.11-17,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