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의 7개 구 보건소(180명), 광역도의 9개 시 보건소(262명), 광역도의 12개 군 보건소(232명) 등 28개 보건소의 공무원 674명을 대상으로 2002년 9월에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과 동시에 이들 보건소의 보건소장 또는 보건사업과장에게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과 계획서에 따른 업무추진 내용,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작성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해 설문조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구체적으로 끝까지 읽어본 공무원은 13.6%에 불과하였고,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비율도 12.5%에 불과하였다. 대상공무원의 56.9%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2002년도 계획서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공무원은 63.5%였다. 응답자의 35.4%가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장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고, 22.4%는 지방의회의원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보건소장의 관심이 높다고 응답한 공무원은 77.8%였으며, 44.9%는 보건소내 타 공무원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고, 43.9%가 본인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58.6%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44.8%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업무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38.0%가 활용정도가 높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36.9%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하였고, 49.6%가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15.7%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을 위한 교육에 참여하였고, 23.6%가 제3기 지역보건의료 계획 작성교육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인력 및 예산부족(39.8%), 직원의 인식부족(21.4%) 순이었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소 업무의 추진현황과 추진계획이라고 하였다. 전체 보건소의 14.3%만이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따라 인력확충 계획을 실행하였다고 하였고, 28.6%가 조직개편계획을 실행하였다고 하였으며, 25.0%가 자체평가를 하였다고 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 목표설정시 내부의견 수렴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경우가 제2기 계획때는 42.9%였으나 제3기 때는 17.9%로 줄어들었다. 지역보건의료계획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서식이 많고 복잡함', '직원의 전문지식 부족', '직원과 기관장의 관심부족' 순이었고, 개선방안으로는 '기획전담부서 확보', '계획수립시기 조정', '의회의결폐지', '직원교육확대', '서식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인력 및 예산확보, 기관장과 직원의 관심도 제고, 보건소 실정에 맞는 지침정비,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제출시기 조정 등의 법규정비, 직원교육 등을 확대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역보건 의료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광역시의 7개 구 보건소(180명), 광역도의 9개 시 보건소(262명), 광역도의 12개 군 보건소(232명) 등 28개 보건소의 공무원 674명을 대상으로 2002년 9월에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과 동시에 이들 보건소의 보건소장 또는 보건사업과장에게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과 계획서에 따른 업무추진 내용,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작성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해 설문조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구체적으로 끝까지 읽어본 공무원은 13.6%에 불과하였고,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비율도 12.5%에 불과하였다. 대상공무원의 56.9%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2002년도 계획서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공무원은 63.5%였다. 응답자의 35.4%가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장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고, 22.4%는 지방의회의원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보건소장의 관심이 높다고 응답한 공무원은 77.8%였으며, 44.9%는 보건소내 타 공무원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고, 43.9%가 본인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58.6%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44.8%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업무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38.0%가 활용정도가 높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36.9%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하였고, 49.6%가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15.7%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을 위한 교육에 참여하였고, 23.6%가 제3기 지역보건의료 계획 작성교육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인력 및 예산부족(39.8%), 직원의 인식부족(21.4%) 순이었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소 업무의 추진현황과 추진계획이라고 하였다. 전체 보건소의 14.3%만이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따라 인력확충 계획을 실행하였다고 하였고, 28.6%가 조직개편계획을 실행하였다고 하였으며, 25.0%가 자체평가를 하였다고 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 목표설정시 내부의견 수렴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경우가 제2기 계획때는 42.9%였으나 제3기 때는 17.9%로 줄어들었다. 지역보건의료계획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서식이 많고 복잡함', '직원의 전문지식 부족', '직원과 기관장의 관심부족' 순이었고, 개선방안으로는 '기획전담부서 확보', '계획수립시기 조정', '의회의결폐지', '직원교육확대', '서식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인력 및 예산확보, 기관장과 직원의 관심도 제고, 보건소 실정에 맞는 지침정비,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제출시기 조정 등의 법규정비, 직원교육 등을 확대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역보건 의료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ttitude and participation status on district health planning of officials in Health Centers. Methods: The data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674 officials of Health Centers and the data on district health planning of 28 He...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ttitude and participation status on district health planning of officials in Health Centers. Methods: The data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674 officials of Health Centers and the data on district health planning of 28 Health Centers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Results: Only 13.6%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responded that they had read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thoroughly and 12.5%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replied that they had known contents of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fully. 56.9%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didn't have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Thirty five point four percent(35.4%) of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the mayor's or county executive's concern about the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high, 22.4% in councilors, 77.8% in Health Center chiefs, 44.9% in Health Center officials, 43.9% in him or her. Among respondents, 58.6% of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necessary and 38.0% of subjects replied that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high. About thirty seven percent(36.9%) of respondents participated in making out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and 49.6% in 'the thir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lack of budget and personnels'(39.8%), 'lack of concern for district health planning'(21.4%)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mprove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establishing department for health planning', 'adjustment of establishment time for district health planning'. Conclusion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district health planning,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budget and personnels, to promote the county executive's concern and Health Center officials' concern about the district health planning, to establish department for health planning, and to adjust establishment time for district health planning.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ttitude and participation status on district health planning of officials in Health Centers. Methods: The data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674 officials of Health Centers and the data on district health planning of 28 Health Centers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Results: Only 13.6%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responded that they had read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thoroughly and 12.5%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replied that they had known contents of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fully. 56.9%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didn't have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Thirty five point four percent(35.4%) of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the mayor's or county executive's concern about the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high, 22.4% in councilors, 77.8% in Health Center chiefs, 44.9% in Health Center officials, 43.9% in him or her. Among respondents, 58.6% of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necessary and 38.0% of subjects replied that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high. About thirty seven percent(36.9%) of respondents participated in making out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and 49.6% in 'the thir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lack of budget and personnels'(39.8%), 'lack of concern for district health planning'(21.4%)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mprove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establishing department for health planning', 'adjustment of establishment time for district health planning'. Conclusion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district health planning,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budget and personnels, to promote the county executive's concern and Health Center officials' concern about the district health planning, to establish department for health planning, and to adjust establishment time for district health planni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이 연구는 보건소에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영ㄱ보건의료계획에 대한 태도와 수립과정에서의 참여실태 등을 파악하여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을 위한 교육 시 반영하고, 바람직한 지역보건의료계획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정부에서는 1995년 보건소법을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하면서 지방자치단체장은 매 4년마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고 매년 연차적 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으나, 원활한 업무추진이 되지않고 있는 실정이어서 많은 보건소들이 사업기획 및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2,14].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건소에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보건소 공무원의 인식 및 태도와 지역보건의료계획서에 따른 업무추진상황,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에서의 참여정도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이하 광역시)에서 달성군을 제외한 7개 구보건소, 경상북도(이하 광역도)에서 22개 보건소(시보건소 10개, 군보건소 12개)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들 보건소의 보건소장 또는 보건사업과장에서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과 계획서에 따른 업무추진 내용,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작성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한 보건소용 조사표를 발송하여 작성한 후 회송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들 보건소 근무자 중 보건소용 조사표를 작성하게 되는 관리직급인 5급 이상의 공무원과 기능직을 제외한 6급 이하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인식과 태도, 계획수립과정에서의 참여정도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가 완료된 보건소는 광역시 7개 구 보건소(180명), 광역도의 9개 시 보건소(262명), 광역도 12개 군 보건소(232명)로 28개 보건소와 28개 보건소의 공무원 674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설문조사는 2002년 9월중에 실시하였고, 설문지 조사방법은 각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 담당자에게 사전에 전화로 조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설문지를 보내어 피조사자가 무기명으로 직접 설문에 응답토록 하여 우편으로 회수하였다.
설문지는 관련연구문헌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역보건의료계획관련 평가 항목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수정 · 보완한 후 작성하여 사용하였는데, 설문지 내용은 대상 전공무원에 대한 공통적인 사항으로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태도에 관한 사항,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에서의 참여실태에 관한 사항 등으로 구성하였다. 보건소용 조사표에는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과 계획서에 따른 업무추진 내용,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작성에 관한 사항 등에 관한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이하 광역시)에서 달성군을 제외한 7개 구보건소, 경상북도(이하 광역도)에서 22개 보건소(시보건소 10개, 군보건소 12개)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들 보건소의 보건소장 또는 보건사업과장에서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과 계획서에 따른 업무추진 내용,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작성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한 보건소용 조사표를 발송하여 작성한 후 회송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들 보건소 근무자 중 보건소용 조사표를 작성하게 되는 관리직급인 5급 이상의 공무원과 기능직을 제외한 6급 이하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인식과 태도, 계획수립과정에서의 참여정도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 보건소 근무자 중 보건소용 조사표를 작성하게 되는 관리직급인 5급 이상의 공무원과 기능직을 제외한 6급 이하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인식과 태도, 계획수립과정에서의 참여정도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가 완료된 보건소는 광역시 7개 구 보건소(180명), 광역도의 9개 시 보건소(262명), 광역도 12개 군 보건소(232명)로 28개 보건소와 28개 보건소의 공무원 674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데이터처리
통계적 검증은 SPSS/PC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5%에 불과하였다.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읽어본 정도와 알고 있는 정도는 보건소 소재지, 연령, 성, 직급, 직렬, 공무원 근무경력, 그리고 현 보건소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5)(표 2).
5%였다.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의 소지여부는 보건소 소재지, 연령, 직급, 직렬, 공무원 근무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p<0.01), 2002년도 연차별 계획서 소지여부는 보건소 소재지, 연령, 성, 직급, 직렬, 공무원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1)(표3).
8%는 지방의회 의원의 관심이 낮다고 하였다. 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의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관심도에 대한 응답은 보건소 소재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p<0.01), 광역시 구보건소 공무원보다는 광역도 시보건소 공무원이, 광역도 시보건소 공무원에 비해서는 광역도 군보건소 공무원이 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의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비율이 높았다(표4).
9%는 본인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보건소장의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관심정도에 대해서는 직렬과 현 보건소 근무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p<0.05), 보건소내 타 공무원의 관심도에 대해서는 보건소 소재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p<0.05), 본인의 관심도에 대한 응답은 보건소 소재지, 성, 직급, 현 보건소 근무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5)(표5).
0%가 활용정도가 높다고 하였다. 필요도에 대한 인식은 보건소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p<0.01), 업무기여도에 대한 인식은 보건소 소재지, 현 보건소 근무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p<0.05), 활용 정도에 대해서는 보건소 소재지, 학력, 현 보건소 근무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5)(표6).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에 참여한 공무원의 53.1%가 지역보건의료계획에 관심이 높다고 하여 참여하지 않은 공무원의 34.6%보다 높았고,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을 위한 교육에 참여한 공무원의 62.7%가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하여 교육에 참여 하지 않은 공무원의 38.4%보다 높았다(p<0.01)(표10).
보건소 공무원이 생각하는 보건소장의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응답은 77.8%인 반면, 보건소내 타 공무원과 본인의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응답은 각각 44.9%, 43.9%로 낮은 편이어서 보건소 공무원의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겠는데, 본 연구에서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에 참여한 경우와 계획서 작성을 위한 교육에 참여한 경우 관심도가 높았고, 계획서 수립에 대한 참여율이나 실무교육 참여율이 낮았으므로 계획수립 시 참여와 교육의 기회를 넓히는 것이 관심도를 높이는 한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평가를 통해 보건소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인력 및 예산부족이 39.8%, 직원의 인식부족이 21.4%, 지침미비 11.5%, 보건소 공무원의 전문지식 부족 10.9%의 순이었다. 따라서 향후 지역보건의료계획수립 및 시행에 있어서 이를 고려한 보완 노력을 계속해서 추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보건의료계획 목표 설정 시 내부의견 수렴정도는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 때는 25.0%가 모든 목표설정 시 내부의견을 수렴하였다고 하였고, 42.1%가 대부분의 목표설정 시 내부의견을 수렴하였다고 하였으나, 제3기 계획작성 때는 모든 목표설정에서 내부의견을 수렴한 경우가 28.6%, 대부분의 목표 설정에서 내부의견을 수렴한 경우가 53.6%로 제2기에 비해 내부의견 수렴정도가 높아졌다. 광역시 구 보건소의 경우는 제2기와 제3기 모두에서 모든 목표설정에서 내부의견을 수렴한 보건소는 없었다.
후속연구
9%의 순이었다. 따라서 향후 지역보건의료계획수립 및 시행에 있어서 이를 고려한 보완 노력을 계속해서 추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비해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 (2003~20060에서 서식이 많고 복잡하다는 응답이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가장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여전히 가장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제4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이점이 반영되어야 하겠다. 또한 직원의 전문지식 부족과 직원과 기관장의 관심부족이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교육기회를 높이고 평가 등을 통해 계획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되면서 지역보건의료계획을 1996년부터 지금까지 수립 시행해 오고 있지만 사업기획 및 업무수행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해 인력 및 예산확보, 기관장과 직원의 관심도 제고, 보건소 실정에 맞는 지침정비, 법규정비(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제출시기 조정 등), 직원교육 등을 확대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인력 및 예산확보, 기관장과 직원의 관심도 제고, 보건소 실정에 맞는 지침정비,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제출시기 조정 등의 법규정비, 직원교육 등을 확대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