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조직의 환자중심간호문화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Patient-Centered Nursing Culture Scale for Hospita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5, 2019년, pp.613 - 630  

신에스더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윤숙희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measuring the Patient-Centered Nursing Culture (PCNC) and provide a basic tool to improve PCNC in Korea. Methods: A conceptual framework and construct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ursing profe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조직의 PCNCS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 도구의 개발단계와 평가단계로 구성 되었다. 연구 과정은 Figure 1과 같다.
  • 본 연구는 병원 조직의 PCNC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와 연구를 위하여 PCNC의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PCNCS를 개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개발된 도구는 간호사 357명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최종 완성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의 환자중심간호문화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측정도 구를 고안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개발된 PCNCS는 3개 수준, 9개 요인, 54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문항당 최저 1점에서 최고 5점까지 분포하며 전체 도구의 총 점수 범위는 54~27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PCNC를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 정책과 절차 요인으로는 관련 선행연구에서 ‘보건서비스의 조정과 통합’ [11], ‘명확하게 정의되고 조작화된 전략적 비전’ [13], ‘공유의사결정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 [15] 등의 요인이 거론된다. 본 연구에서는 PCN을 위한 비전, 정책, 지침이 실질적으로 PCN의 촉진을 위해 간호현장에 잘 전달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PCN 정책과 절차의 실효성을 가늠할 수 있는 문항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의 환자중심간호문화의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측정도구를 고안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과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식별된 PCNC 구성요인들을 조직문화의 기능주의적 접근법 및 개념 틀을 적용하여 국내 의료환경과 문화에 적합한 PCNC 측정 도구 (patient-centered nursing culture scale [PCNCS])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병원 간호조직에 PCNC가 확산되고 정착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중심간호(person-centered care), 고객중심간호(client-centered care), 거주자 중심 간호(resident-centered care), 개별화 간호(individualized care), 전인간호(holistic care) 등의 개념의 한계는 무엇인가? 자중심성과 유사한 개념으로 간호영역에서는 인간중심간호(person-centered care), 고객중심간호(client-centered care), 거주자 중심 간호(resident-centered care), 개별화 간호(individualized care), 전인간호(holistic care) 등의 개념이 연구되었다. 이들 개념은 환자를 고유한 개인으로서 이해하고 환자의 바람, 필요, 선호를 존중한다는 점에서는 환자중심성과 동일한 맥락이나 각각의 대상자 속성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포괄적인 개념을 구축하기에는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실무적으로는 이들 개념이 측정도구와 같은 실천적인 구현 기전을 갖지 못하여 아직도 간호실무 현장에서 간호서비스가 제공자 중심에서 탈피하지 못함으로써 간호의 성과 뿐 아니라 환자만족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비판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7].
PCNC의 정의는 무엇인가? 조직문화가 사람들이 상호작용할 때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의 규칙성, 그리고 조직이 강조하고 있는 지배적인 가치관이 되는 철학을 뜻한다는 점[8]을 참조하면, PCN과 조직문화가 결합된 개념으로서 PCNC를 ‘보건서비스 조직의 간호사들이 공유하고 있는 PCN에 관한 사고 및 행동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PCC가 현대의료의 주요 과제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에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에서도 의료의 질 핵심요소로 PCC를 규정할 만큼 보건의료 분야의 시대적 과제로 부각되었다[2]. PCC는 의료제공자와 환자의 긍정적 관계 구축, 의사소통 개선,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 환자의 적극적 참여 독려를 통해 환자의 건강상태 개선, 환자의 치료순응 및 만족, 치료결과의 향상 등 전반적인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인다는 점에서 현대의료의 주요 과제가 된 것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on Quality of Health Care in America.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1. p. 1-8. 

  2. Do YK, Kim JE, Lee JY, Lee HY, Cho MW, Kim EN, et al.; Research Affairs of SNU & SNU R&DB Foundation. Development of patient centeredness evaluation model.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May. Report No.: G000E70-2015-87. 

  3. Dabney BW, Tzeng HM. Service quality and patient-centered care. Medsurg Nursing. 2013;22(6):359-364. 

  4. Small DC, Small RM. Patients first! Engaging the hearts and minds of nurses with a patient-centered practice model. The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2011;16(2):2. 

  5. Otani K, Waterman B, Faulkner KM, Boslaugh S, Dunagan WC. How patient reactions to hospital care attributes affect the evaluation of overall quality of care, willingness to recommend, and willingness to return.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2010;55(1):25-37; discussion 38. 

  6. Ben Natan M, Hochman O. Patient-centered care in healthcare and its implementation in nur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7;10(1):596. 

  7. Kvale K, Bondevik M. What is important for patient centred care?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perceptions of patients with cancer.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08;22(4):582-589. https://doi.org/10.1111/j.1471-6712.2007.00579.x 

  8. Schein EH.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A dynamic view. San Franciso (CA): Jossey-Bass; 1985. p. 1-358. 

  9.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12. p. 73-115. 

  10. Hobbs JL. A dimensional analysis of patient-centered care. Nursing Research. 2009;58(1):52-62. https://doi.org/10.1097/NNR.0b013e31818c3e79 

  11. Gerteis M, Edgman-Levitan S, Daley J, Delbanco TL. Through the patient's eyes: Understanding and promoting patient-centered car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93. p. 1-360. 

  12. Rathert C. Patient-centered care, work climates, and patient safety: An exploratory study [dissertation].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05. p. 1-149. 

  13. Shaller D. Patient-centered care: What does it take? [Internet]. New York: The Commonwealth Fund; c2007 [cited 2018 Feb 17]. Available from: https://www.commonwealthfund.org/pub624lications/fund-reports/2007/oct/patient-centered-care-what-does-it-take. 

  14. Hunt D. QSEN competencies: A bridge to practice. Nursing Made Incredibly Easy!. 2012;10(5):1-3. https://doi.org/10.1097/01.NME.0000418040.92006.70 

  15. McCormack B, McCance TV.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person-centred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6(5):472-47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4042.x 

  16. Takase M, Teraoka S. Development of the holistic nursing competence scale. Nursing & Health Sciences. 2011;13(4): 396-403. https://doi.org/10.1111/j.1442-2018.2011.00631.x 

  17.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004. p. 1-413. 

  18.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19. Choi CK, Kim JG. A study on the effect of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fitnes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ses from Korean big 4 conglomerates-.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010;34(4):139-167. 

  20. Pfeiffer Y, Manser T. Development of the German version of the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Dimensional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Safety Science. 2010;48(10):1452-1462. https://doi.org/10.1016/j.ssci.2010.07.002 

  21. Lee SG.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urvey instrument for hospitals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5. p. 1-142. 

  22. Kim HG.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07;18(2):23-49. 

  23. Lee JY. Effective communication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5;58(2):100-104. https://doi.org/10.5124/jkma.2015.58.2.100 

  24. Aiken LH, Patrician PA. Measuring organizational traits of hospitals: The revised nursing work index. Nursing Research. 2000;49(3):146-153. https://doi.org/10.1097/00006199-200005000-00006 

  25.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 25(3):176-188. https://doi.org/10.1002/nur.10032 

  26. McCormack B, McCance T, Slater P, McCormick J, McArdle C, Dewing J. Person-centred outcomes and cultural change. In: Manley K, McCormack B, Wilson V, editors. International Practice Development in Nursing and Healthcare. Oxford: Blackwell Publishing; 2008. p. 189-2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