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색미 겨 추출물의 염증반응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Pigmented Rice Brans on Inflammatory Reaction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7 no.2, 2004년, pp.222 - 227  

최선필 (아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강미영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남석현 (아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색미 겨 추출물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백혈구가 분비하는 염증관련 산물인 nitric oxide, histamin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 생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대식세포 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일반미와 유색미 추출물 간에 큰 활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중구 세포주인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histamine 분비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유색미 추출물이 일반미에 비해서 약 3.6-5.4배 정도의 우수한 저해능을 보였다. 특히 조사한 유색미 5품종 중 LK1-3-6-12-1-1가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유색미 추출물이 matrix metalloproteinase(MM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미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오히려 효소활성이 증가한 반면, 유색미 경우는 LK1A-2-12-1-1을 제외하고 농도의 증가에 따라 효소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LK1-3-6-12-1-1와 Elwee의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유색미가 염증반응의 원인인 백혈구의 histamine과 MMP의 분비를 저해하는 능력이 일반미보다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bran part of the pigmented rices on inflammation was evaluated by determining their inhibitory action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s, histamine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MMP) from inflammatory leukocytes.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s in a macroph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MMP-2, MMP-9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채소로부터 얻은 추출물이 MMP-2, MMP-9에 생성 및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13-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진 유색미 중에서 5품종을 선발하여 이들의 겨 추출물이 가지는 염증발생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염증유발의 지표로서 대식세포의 NO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생성도와 호염구세포(basophils)의 탈과립화에 의한 histamine의 생성도를 조사하여 유색미 추출물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그 중에서 MMP9는 동맥경화증성 병반의 진행에 관여하고, 일반적으로는 거의 발현을 하고 있지 않지만, TNF-α(tumor necrosis factor-a)에 의해서 발현이 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14) 따라서 MMP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서 유색미 추출물의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생쥐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지시세포로 하여 그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즉, 세포주를 LPS(lipopolysaccharide)으로 자극할때 유도된 MMP의 활성을 유색미 추출물이 억제하는 정도를 zymogram 방법으로 측정, 비교하였다.
  •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NO는 대식세포의 항균활성 및 세포의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생체에서 생성된 superoxide radical과 반응하여 더욱 세포독성이 강한 reactive peroxynitirite와 같은 이차적인 라디칼 생성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어 있다.20)본 실험에서는 생쥐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를 사용하여 배양세포계에서 유색미 추출물의 NO 소거활성을 평가하였다. RAW264.
  • 만성염증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인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된 반응에 관여하는 비만세포 및 호염구는 알레르기원에 의해 자극을 받아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유발한다.21) 본 실험에서는 유색미 추출물이 알레르기원에 의한 비만세포 및 호염구의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rat의 호염구 세포주인 RBL-가13 세포를 Ionophore인 A23187로 자극했을 때 히스타민이 분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각 유색미 추출물의 첨가가 히스타민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비된 histamine을 정량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mm Table 4에 나타 것처럼, 1μg/ml의 시료농도에서 유색미는 일반미에 비해 1-3 배 정도의 히스타민 생성 억제능력을 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히스타민 분비 억제능력도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 Hydroxy radical, superoxide radical과 더불어 활성산소종의 일종인 NO에 대한 소거능력을 유색미 추출물이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NO는 대식세포의 항균활성 및 세포의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생체에서 생성된 superoxide radical과 반응하여 더욱 세포독성이 강한 reactive peroxynitirite와 같은 이차적인 라디칼 생성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어 있다.
  • 항산화능력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의 실험방법 중, 간편하게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DPPH(l, l-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시료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방법을 사용하여 유색미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일반미와 정량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Table 1의 실험 결과와 같이, 일반미와 유색미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유색미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이 0.
  • 실험 결과, 1μg/ml 및 100μg/ml에서는 거의 100%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시료가 세포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100μg/ml에서 DZ78과 Elwee가 70% 수준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지만, histamine 분비 억제활성과는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실험은 유색미가 일반미에 비하여 유의하게 호중구의 histamine 분비를 억제함을 보여주어, 유색미가 알레르기 예방을 위한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am, S. H. and Kang, M. Y. (2003)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legume speci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2-38 

  2. Juliano, B. O. (1985) In Rice-Chemistry and Technology. AACC Press, New York 

  3. Nam, S. H. and Kang, M. Y. (1997)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against carcinogenicity. Agri. Chem, Biotechnol. 40, 307-312 

  4. Nam, S. H., Chang, S. M. and Kang, M. Y. (2002) Screening of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cremical direct mutagens of ethanolic extracts fonn colored rice bra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95-202 

  5. Ohshima, B., Bartsch, H. (1994) Chronic infections and inflammatory processes as cancer risk factor: possible role of nitric oxide in carcinogenesis. Mut. Res. 305, 253-264 

  6. Miyake, Y., Murakami, A., Sugiyama, Y., Isobe, M., Koshimizu, K. and Ohigash, H. (1999) Identification of coumanns from lemon fruit (Citrus limon) as inhibitors of in vitro tumor promotion and superoxide and nitric oxide generation. J. Agric. Food Chem. 47, 3151-3157 

  7. Moon, E. Y. and Pyo, S. K. (2000) Aflatoxin B1 inhibits CD14-mediat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Int. J. Immunopharmacol. 22, 237-246 

  8. Murakami, A, Gao, G., Kim, O. K, Omura, M., Yano, M., Ito, C., Furukawa, H., Jiwjinda, S., Koshimizu, K and Ohigash, H. (1999) Identification of coumarins from the fruit of Citrus hystrix DC as inhibitors of nitric oxide generation in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J. Agric. Food Chem. 47, 333-339 

  9. Kim, H. M., Yi, D. K .and Shin, H. Y .(1999) The evaluation of antianaphylactic effect of Oryza sativa L. in rats. Am. J. Chin. Med. 1, 63-71 

  10. Yamashita, K., Suzuki, Y., Matsui, T., Yoshimam, T, Yamaki, M., Suzuki Karasaki, M., Hayakawa, S. and Shimizu, K (2000) Epigllocatechin gallate inhibits histamine release from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role of tyrosine phosphorylation pathway.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4, 603-608 

  11. Matsuo, N., Yamada, N., Shoji, K., Mori, M. and Sugano, M. (1997) Effect of tea polyphenols on histamine release from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the structure-inhibitory activity relationship. Allergy 52, 58-64 

  12. Matsuo, N., Yamada, K., Yamashita, K., Shoji, K., Mori, M. and Sugano, M. (1996) Inhibitory effect of tea polyphenols on histamine and leukotriene B4 release from rat peritoneal exudate cells. In Vitro Cell. Dev. Biol. 32, 340-344 

  13. Gaultier, F., Foucault-Bertaud, A., Lamy, E., Ejeil, AL., Dridi, S.M., Piccardi, N., Msiks, P., Godeau, G. and Gogly, B. (2003) Effects of a vegetable extract from Lupinus albus (LU105) on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l, MMP2, MMP9)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TIMP1, TIMP2) by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culture. Clin. Oral Invest. 7, 198-205 

  14. Moon, S. K., Cha, B. Y., Lee, Y C., Nam, K S., Runge, M. S., Patterson, C. and Kim, C. H. (2004) Age-related changes in matrix metalloproteinase-9 regulation in cultured mouse aortic smooth muscle cells. Exp. Gerontol. 39, 123-131 

  15. Hong, B. K., Kwon, H. M., Lee, B.K., Kim, D., Kim, I. J., Kang, S. M., Jang, Y., Cho, S. H., Kim, H. K., Jang, B. C., Cho, S. Y., Kim, H. S., Kim, M. S., Kwon, H. C. and Lee, N. (2000) Coexpression of cyclooc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human aortic atherosclerotic lesions. Yonsei Medical J. 41, 82-88 

  16. Yen, G. C. and Chem, H. Y. (1995) Antioxidant actlVl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ty. J. Agric. Food Chem. 43, 27-32 

  17. Shore, P. A., Burkhalter, A and Cohn, V. H. (1959) A method for the fluorometric assay of histamine in tissue. J. Pharmacol. Exp. Ther. 127, 182-186 

  18.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ol. Methods 65, 55-63 

  19. Birkedal-Hansen, H. and Taylor, R. E. (1982) Detergent activation of latent collagenase and resolution of its component molecul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07, 1173-1178 

  20. Pryor, W. A. and Squadrito, G. L. (1995) The chemistry of peroxynitrite: a product from the reaction of nitirc oxide with superoxide. Am. J. Physiol. 268, L699-L722 

  21. Janeway, C. A, Travers, P., Walport, M. and Shlomchik, M. (2001) In Immunobiology: The immune system in health and disease (5th ed.), Garland Publishing,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