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명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19 no.5, 2004년, pp.499 - 505  

나경민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한호석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예수향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현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결명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결명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공노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0.08{\sim}0.11mg%$, glucose $0.09{\sim}0.32%$, sucrose $0.08{\sim}1.26mg%$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에서 2.0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75% ethanol 추출액은 0.02%로 다른 용매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50% ethanol에서 66.,39%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50.5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Cassia tora L. was extracted by reflux extraction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including solvent. The solid yield, turbidity, color value, titratable acidity, 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명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결명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 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생약재 내의 이러한 작용을 하는 유효물질들을 섭취함으로 인해 산화적 장해를 방이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5). 본 연구에서는 결명자 추출액의 추출 특 성과 추출액의 항산화 효과를 토하여 결명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ong GS, Ahn BY, Lee KS, Maeng IK, Choi DS.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midicin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indirect mutag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6): 1288-1294, 1997 

  2. Choi SI, Lee, YM, Heo TR.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4): 282-288, 2003 

  3.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1): 80-85, 1995 

  4. Do JR, Kim SB, Park YH, and Kim DS.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by the component of traditional tae material. Korean J. Food Sci Technol. 25(5): 456-460, 1993 

  5. Park KM, Hwang JK, Shin KM, Kim HS, Song JH. Detoxicating effects of oriental herb extract mixtrues on nicotine and diox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 980-987, 2003 

  6. 박종대, 위재준, 김만옥, 이형주, 인삼의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분획의 조혈 활성 특성 및 구성 성분 동정. 한국농화학회지, 32: 137, 1989 

  7. Takahashi P, and Takido M.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seeds of Cassia tora L. II. On the purgative crude drugs. The structure of the new naphtho-a-pyrene derivative, tolerance. Yakugaku Zasshi. 93: 261-267, 1973 

  8. Kaneda M, Morishita E, and Shibata S. 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 The constituents of Cassia tora L. A glycoside of rubrofusarin. Chem. Pharm. Bull. 17: 458-461, 1969 

  9. Choi JS, Jung JH, Lee HJ, Lee JH, and Kang SS. A naphthalene glycoside from Cassia tora. Phytochemistry. 40: 997-999, 1995 

  10. Shibata S, Morishita E, Kaneda M, Kimura Y, Takide M, and Takahashi S. 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 The constituents of Cassia tora L. The structure of torachrysone. Chem. Pharm. Bull. 17: 454-457, 1969 

  11. Halliwell B, and Gutteridge JMC. I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Oxford. Clarevden Press, 1989 

  12. Devy C, and Gautier R. New perspectives on the biochemistry of superoxide anion and the efficiency of superoxide dismutase. Biochem. Parmacol., 39: 399-405, 1990 

  13. Choi JS, Lee HJ, Park KY, Ha JO, and Kang SS. In vitro antimutagennic effects of anthraquinone aglycones and naphthopyrone glycosides from Cassia tora Planta Med. 63: 11-14, 1997 

  14. Choi JS, Lee HJ, and Kang SS. Alaternin, cassiaside and rubrofusarin gentiobioside, radical scavenging principles from the seed of Cassia tora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rch. Pharm. Res. 17: 462-469, 1994 

  15. Kuramoto 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od materials from plant extract such as SOD. Upto date Food Processing, 27(3): 22-23, 1992 

  16.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912 

  17. Kang YH, Park YK, Lee GD.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996 

  18. Kim SM, Cho YS, Sung SK.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1996 

  19. Song HN, Oh SW. Optimization of extraction and clarification condition for preparation of liquid extract tea from artificially cultivated phellinus linteus. J. Korean Sci. Nutr. 31(4): 636-641, 2002 

  20. Lee KE, Oh NS, Park WJ, and Ryu GH. Changes in extraction pattern and yield of bamboo leaf powder at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9(1): 46-52, 2004 

  21. Park NA, Jo HB, Cho IS, Kim HJ, Cho Sj, and Kim DI. The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and vitamin C content in brewed green tea and determination of EDA in catechines(II). Report of S.I.H.E., 37:98-104, 2001 

  22. Belitz HD, and Grosch W. : Food chemistry. Springer-Verlag, Berlin, p.175, 1987 

  23. Torel J, Gillard J, Gillard P.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383-385, 1986 

  24.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and Son JH.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2): 244-250, 2004 

  25. Lee JT, and An BJ. Detec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Kor. J. Herbology. 17: 61-69, 2002 

  26. Hong HD, Kang NK and Kim SS. Superoxid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1998 

  27.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and Park KM.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bi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0-69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