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박을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
Manufacturing of Wine with Watermel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1 = no.173, 2004년, pp.50 - 57  

황영 (고창수박시험장) ,  이기권 (고창수박시험장) ,  정기태 (전북농업기술원) ,  고복래 (고창수박시험장) ,  최동칠 (전북농업기술원) ,  최영근 (전북농업기술원)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생물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박을 이용하여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한 발효 균주 선발과 당류별 알콜 발효력, 발효에 적정한 당농도, 질소인 및 농도, 살균을 위한 아황산 첨가와 가열 방법의 비교, 품질 개선을 위한 풍미 증진제의 첨가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7개의 균주 중 알콜 생성과 맛이 우수한 Saccharomyces KWS 06을 선발하였으며, KWS 06의 탄소원 이용성은 sucrose에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glucose > fructose > maltose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발효를 위한 수박즙의 적정 농도는 $24^{\circ}Brix$ 였으며 또한 질소원 중 인산암모늄 0.2%에서 가장 알콜 발효가 우수하였다. 발효주 제조를 위한 살균방법 비교시험에서는 아황산 첨가보다는 가열 살균 방법이 관능 검사 결과 우수하였으며, 살균시간별 알콜 발효력은 $70^{\circ}C$에서 10분 살균하는 것이 가장 좋았고, 맛은 $100,\;120^{\circ}C$의 고온살균 처리가 우수하였다. 풍미증진을 위한 복분자, 오미자, 지치 중 발효 후 풍미에 좋은 효과를 보인 것은 복분자와 오미자였다. 복분자(20 g/L와 오미자(10 g/L)를 혼합하여 배양했을 때 알콜 발효와 맛이 개선 되었으며, 각각 10 g/L씩 혼합한 처리가 수박색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향의 개선을 위한 수박향 첨가시 0.04%에서 기호도가 높았다. 앞으로 수박을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에 있어서 수박 향의 변성과 유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lection of yeast strains, optimum conditions for alcohol fermentation, sterilization methods, and additives for improving wine quality were investigated to manufacture watermelon wine. Eight yeast strains exhibited significant alcohol fermentation, among which KWS 06 was selected for watermelon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연발효에만 의존할 경우 잡균 및 산막효모의 오염으로 인해 발효를 실패할 확률이 높으며 발효기간도 길다. 따라서 활성된 효모를 사용하여 초기 알콜 발효를 빨리 일으키고, 발효 기간 중 효모가 우세한 미생물 분포를 유지하면서 수박과즙 발효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모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 사과주나 포도주 제조에서는 과일 중에 함유된 유기산의 함량을 줄이는 공정 (6-10)이 필요하지만, 수박의 유기산 함량은 낮기 때문에 산취에 의한 품질 저하는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은 수박의 가공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산업화를 위한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보고는 미흡한 실정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수박에 몇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발효주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여러 균주 중 수박 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고, 알콜 발효를 위한 당, 질소원 등의 농도와 종류, 살균 방법 등 적정 발효 조건과 복분자, 오미자, 지치 등을 이용한 발효주의 풍미 개선 방법을 연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atl. Veg., Ornam. & Tea Res. Inst. Res. Rpt. NOVOTRI.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 of production, and direction of technique development in watermelon. Japan. pp. 1-95 (1997) 

  2. Agricultral &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2002. . Seoul, Korea. pp. 102-123 (2002) 

  3. Khattak JN, Hamdy MK, Powers JJ. Alcohol fermentation of watermelon juice. Food Technol. 19: 102-106 (1965) 

  4. Shin DH, Kim KY, Min BY, Suh KB.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watermelon and cantaloupe melon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215-223 (1978) 

  5. Kim SL, Kim WJ, Lee SY, Byun SM. Alcohol fermentation of Korean watermelon juice. J. Korean Agric. Chem. Soc. 27: 139-145 (1984) 

  6. Mattick LR, Plane RA, Weirs LD. Lowering wine acidity with carbonates. Am. J. Enol. Vitic. 31: 350 (1980) 

  7. Munyon JR, Nagel CW. Comparison methods of deacidification of musts and wines. Am. J. Enol. Vitic. 30: 79 (1979) 

  8. Steele JT, Kunkee RE. Deacidification of musts from the Western United States by the calcium double-salt precipitation process. Am. J. Enol. Vitic. 29: 153-156 (1978) 

  9. Kim CC, Jang GH. Microbiology experiment. Su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2-46 (1997) 

  10. Joo HG, Cho GS, Park CG, Mah SC. Sikpumbunseok. Hak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506-510 (1996) 

  11. Heo YH. Fermentology Experiment. Gigumunhw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85-95 (1996) 

  12. Kim SS, Kim SH, Han JS, Yoon BT, Yook C.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ea J. Food Sci. Technol. 31: 516-521 (1999) 

  13. Woo KY, Lee SH. A study on wine-making with dried persimmon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04-212 (1994) 

  14. Lee HB, Yang CB, Yoo TJ.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 (I). Korean J. Food Sci. Technol. 4: 36 (1972) 

  15. Olaofe OF, Adeyemi FO, Adediran GO. Amino acid and mineral composition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ome oil seeds. J. Agric. Food Chem. 42: 878-881 (1994) 

  16. Hong JS, Lee GS, Choi DS. Fermentology. Hakmun Publishg Co. Seoul, Korea. pp. 19-29 (1997) 

  17. Hah DM. Fermentology. Munundang. Seoul, Korea. pp. 374-389 (1996) 

  18. Jung DH. Fermentation and Microbiology. Sunjinmunhwasa. Seoul, Korea. pp. 148-163 (1990) 

  19. Hwang HY, Kim JS, Lee YB. Effects of low dose radiation on callus growth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s.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8: 305-310 (2001) 

  20. Cha HS, Park MS, Park KM.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2001) 

  21. Lee JS, Lee SW.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s, lipid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 Cult. 4 : 177-179 (1989) 

  22. Oh SL, Kim SS, Min BY, Chung KH.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1990) 

  23. Joo HK, Kim SC.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extract on propagation and physiology of yeast. Korean J. Mycol. 15: 250 (1987) 

  24. Choi JC, Joo HG, Lee SG.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s on the alcohol ferment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enzyme activities. Agric. Chem. Biotechnol. 38 : 278-282 (1995) 

  25. Kim SJ, Park KH. Studies on the storage stability of Jindo Hongju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83-186 (1992) 

  26. Jung ST.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Jindo Hongju. A collection of learned papers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10: 245-250 (1989) 

  27. Kim SJ, Jung JH, Park KH. Studies on the standard method of Jindo Hongju pig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19-23 (1992) 

  28. Kim KS, Lee HJ, Kim SM.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melon (Cit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2-328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