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처리한 아마란스 가루의 특성
Properties of Amaranth Flour Processed by Various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2 = no.174, 2004년, pp.262 - 267  

최차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란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이재학 (한국식물자원연구소) ,  신말식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마란스를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아마란스 종실을 1차 가공처리한 후 전분과 각 가루의 가공특성을 조사 하였다. 아마란스는 전분, 무처리(UT), 탈지(DF), 발아(GM), 로 스팅(RT), 팽화(POP), 압출성형(EK1, EX2)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아마란스 가루의 결정형은 전형적인 A형을 보였고 탈지, 발아, 로스팅 처리에 의한 결정형과 결정강도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팽화 처리와 압출성형에 의해서는 결정형이 사라졌다. 시료의 물 결합능력은 가공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어 POP 시료의 물 결합능력이 740.3%로 가장 컸고, EX1이 35.5%로 가장 낮았다. 아마란스 가루의 광투과도 특성은 $60^{\circ}C$에서 차이가 있어 RT, POP, EX1, EX2 시료의 광투과도가 높게 나타났다. RVA로 측정한 아마란스 시료의 호화온도는 POP와 EX1, EX2를 제외하고 $68.1-73.0^{\circ}C$이었고, 피크점도는 GM이 31.6 RVU, RT가 401.1 RVU로 큰 차이가 있었다. DSC결과 또한 RVA 결과와도 일치하여 POP, EX1, EX2는 milling endotherm이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cessed foods were developed using amaranth starch and flours. Amaranth seeds were untreated (UT), defatted (DF), germinated (GM), roasted (RT), popped (POP), and extruded (EX1 and EX2). Amaranth flours showed A-type pattern on X-ray diffractograms, while crystallinity was not observed in POP, EX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X-선 회절도에 의한 결정형과 결정강도는 X-선 회절기(D/ Max-1200, Rigaku Co., Japan)를 사용하여 target, Cu-Ka: filter, Ni: full scale range, 3,000 cps: scanning speed, 8º/min: voltage, 40 kV: current, 20 mA의 조건으로 회절각도 40-5°까지 회 절시켜 분석하였다.
  • 가열에 따른 호화액의 점도 특성은 신속 점도 측정계 (Rapid Visco-Analyzer, Newport Sci., Australi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마란스 전분은 3 g(14% 수분함량 기준), 가루는 4 g을 RVA용 canister에 넣고 25 mL의 증류수를 넣어 혼합한 후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측정하였다.
  • 물 결합능력은 Medcalf와 Gilles의 방법(16), 60℃와 100℃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Sch℃h의 방법(17)을 일부 변형하여 15,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측정하였다.
  • 0-4분은 50℃, 4-12분은 95℃로상승시켜 95℃에서 2분간 유지하고 14-22분은 50℃로 냉각, 22- 26분까지는 50℃를 유지하였다. 신속 점도 측정계의 특성치로는 최고 점도(P), 95℃에서 2분간 유지한 후의 점도(H), 50℃ 에서의 냉각 점도(C)를 구하였고 이로부터 consistency(C-H), setback(C-P), breakdown(P-H)을 계산하였다.
  • 아마란스 가루는 아마란스 종실을 각각 탈지 (defatting; DF), 발아(germination; GM), 로스팅 (roasting; RT), 팽화^popping; POP), 압출성형(extrusion; EX) 처리한 후 마쇄하여 제조하였다.
  • 아마란스 전분 및 가공처리한 가루의 형태는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EOL JSM-5400, Japan)을 이용하여 전분은 가속 전압 20kV, 10,000배의 배율로, 가루는 5,000배의 배율로 관찰하였다.
  • 아마란스 전분 및 가루의 색도는 색차계(Minolta CR-300 Series, Japan)를 사용하여 Hunter의 L(lightness)값, a[(+)redness/ (-)greeness]값 및 b[(+)yellowness/(-)blueness]값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는 공기가 함유되지 않도록 단단히 봉하여 측정하였으 며 표준 백색판은 L = 96.
  • 아마란스 전분 및 가루의 열 분석은 시차주사열량기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2920 DSC, TA Instru­ ments, USA)에 의해 측정하였다. 알루미늄 팬에 시료와 수분의비율이 1:2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 다음 밀봉하였다.
  • 아마란스 전분과 가루의 광투과도는 0.1% 현탁액을 60℃와 100℃에서 각각 10분간 가온한 후 실온에서 2분간 방치한 다음 분광광도계 (8452A, Diode array spectrometer, Hewlett-Pack­ ard, USA)로 625nm에서 측정하여 구하였다.
  • , Australi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마란스 전분은 3 g(14% 수분함량 기준), 가루는 4 g을 RVA용 canister에 넣고 25 mL의 증류수를 넣어 혼합한 후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측정하였다. 0-4분은 50℃, 4-12분은 95℃로상승시켜 95℃에서 2분간 유지하고 14-22분은 50℃로 냉각, 22- 26분까지는 50℃를 유지하였다.
  • 시료로 사용하였다. 아마란스 전분은 알칼리 침지법(15) 을 변형하여 분리하였는데 먼저 아마란스 종실을 0.25% NaOH 용액에 침지한 후 블렌더로 마쇄하였고, 마쇄한 시료는 45, 100, 325 메쉬 체를 차례로 통과시켜 최종적인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이를 7,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전분층에서 표면의 단백질층을 제거하고 뷰렛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0.
  • 아마란스를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아마란스 종실을 1차 가공처리한 후 전분과 각 가루의 가공특성을 조사 하였다. 아마란스는 전분, 무처리 (UT), 탈지 (DF), 발아(GM), 로 스팅 (RT), 팽화(POP), 압출성형 (EX1, EX2)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 아마란스의 압출성형은 동방향 쌍축 압출성형기 (THK-31T, Backsang Machine, Korea)를 사용하여 Table 1과 같이 수분첨가량이 다른 조건으로 2종류의 시료를 제조하였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가루화하였다.
  • 27N NaOH의 6% 용액 40mL가 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30초 동안 교반한 후 Brookfield 점도계 (Brookfield viscome­ ter, model LVF, USA)를 사용하여 30초 간격으로 30분간 점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때 기기조건은 spindle No.
  •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주로 아마란스 종실을 가공했을 때 영양소의 변화나 효율의 증가, 최종 제품의 품질 유지 등에 대한 관심이 주된 것이었고 가공 처리했을 때 아마란스 종실의 내부적인 변화 즉, 주성분인 전분의 호화나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 등에는 관심이 적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종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공 처리한 후 분쇄하여 아마란스 전분과 함께 외형을 관찰하였고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 알루미늄 팬에 시료와 수분의비율이 1:2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 다음 밀봉하였다. 측정조건은 분당 10℃로 15-150℃까지 분석하였고 이로부터 전분 및가루의 엔탈피 (ΔH), 초기온도 (TO), 피크온도(TP)를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아마란스를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아마란스 종실을 1차 가공처리한 후 전분과 각 가루의 가공특성을 조사 하였다. 아마란스는 전분, 무처리 (UT), 탈지 (DF), 발아(GM), 로 스팅 (RT), 팽화(POP), 압출성형 (EX1, EX2)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아마란스 가루의 결정형은 전형적인 A형을 보였고 탈지, 발아, 로스팅 처리에 의한 결정형과 결정강도의 변화는 없었다.
  • 한국식물자원연구소(경기도 고양)에서 20이년에 수확한 아마란스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아마란스 전분은 알칼리 침지법(15) 을 변형하여 분리하였는데 먼저 아마란스 종실을 0.

이론/모형

  • 알칼리 호화에 의한 점도 변화는 Maher(18)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료 3 g을 50mL 메스실린더에 취하고 증류수를 넣어 1분간 교반시킨 다음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CR, Choi HJ, Kim SR, Lee JH, Shin MS.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of amaranth starches isolated from five cultivars grown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52-257 (2000) 

  2. Hoover R, Sinnott AW, Perera C.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tarches from Amaranthus cruentus grains. Starch 50: 156-163 (1998) 

  3. Breene WM. Food uses of grain amaranth. Cereal Foods World 36: 426-430 (1991) 

  4. Saunders RM, Becker R. Amaranthus: A potential food and feed resource, Vol. 5, pp. 357. In: Advances in Cereal Science Technology. Pomeranz Y (ed). Am. Assoc. Cereal Chem., St. Paul, MN, USA (1984) 

  5. Baker LA, Rayas-Duarte P. Freeze-thaw stability of amaranth starch and the effects of salt and sugars. Cereal Chem. 75: 301-307 (1998) 

  6. Myers DJ, Fox SR. Alkali wet-milling characteristics of pearled and unpearled amaranth seed. Cereal Chem. 71: 96-99 (1994) 

  7. Teutonico RA, Knorr D. Amaranth: Composi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a rediscovered food crop. Food Technol. 39: 49-60 (1985) 

  8. Kim JS, Ryoo HJ. Application to the biscuits manufacture of processed amaranth seeds. Korean J. Food Nutr. 4: 321-325 (2002) 

  9. Mendoza C, Bressani R. Nutri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xtrusion-cooked amaranth flour. Cereal Chem. 64: 218-222 (1987) 

  10. Sanchez-Marroquin A, Domingo MV, Maya S, Saldana C. Amaranth flour blends and fractions for baking applications. J. Food Sci. 50: 789-794 (1985) 

  11. Griffith LD, Castell-Perez ME, Griffith ME. Effect of blend and processing method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weaning foods made from select cereals and legumes. Cereal Chem. 75: 105-112 (1998) 

  12. Khetarpaul N, Chauhan BM. Effect of germination and fermentation on in vitro starch and protein digestibility of pearl millet. J. Food Sci. 55: 883-884 (1990) 

  13. Nnanna IA, Dixon Phillips R. Protein and starch digestibility and flatulence potential of germinated cowpeas (Vigna unguiculata). J. Food Sci. 55: 151-183 (1990) 

  14. Lorenz K. Amarantus hypochondriacus- Characteristics of the starch and baking potential of the flour. Starch 33: 149-153 (1981) 

  15. Perez E, Bahnassey YA, Breene WM. A simple laboratory scale method for isolation of amaranth starch. Starch 45: 211-214 (1993) 

  16. Medcalf DF, Gilles, KA. Wheat starches. I.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Cereal Chem. 42: 558-568 (1965) 

  17. Schoch TJ, Leach W. Whole starches and modified starches, Vol. II, pp. 106-108. In: Methods in Carbohydrate Chemistry. Whistler RL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1964) 

  18. Maher GG. Alkali gelatinization of starches. Starch 35: 226-230 (1983) 

  19. Lara N, Ruales J. Popping of amaranth grain (Amaranthus caudatus) and its effect on the functional, nutri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J. Sci. Food Agric. 82: 797-805 (2002) 

  20. Paredes-Lopez O, Carabez-Trejo A, Perez-Herrera S, Gonzalez- Castaneda J. Influence of germin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maranth flour and starch microscopic structure. Starch 40: 290-294 (1988) 

  21. Muralikrishna G, Malleshi NG, Desikachar HSR, Tharanathan RN. Effect of popping on the properties of some millet starches. Starch 38: 48-51 (1986) 

  22. Marero LM, Payumo EM, Librando EC, Lainez WN, Gopez MD, Homma S. Technology of weaning food formulations prepared from germinated cereals and legumes. J. Food Sci. 53: 1391-1395 (1988) 

  23. Vargas-Lopez JM, Paredes-Lopez O, Ramirez-Wong B.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sion-cooked amaranth under alkaline conditions. Cereal Chem. 68: 610-613 (1991) 

  24. Saklar S, Ungan S, Katnas S. Microstructural changes in hazelnuts during roasting. Food Res. Int. 36: 19-23 (2003) 

  25. Ilo S, Liu Y, Berghofer E. Extrusion cooking of rice flour and amaranth blends. Lebensm. -Wiss. u. -Technol. 32: 79-88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