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재배 아마란스 어린잎의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s between Amaranth Baby-Leaves Cultivat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7, 2016년, pp.980 - 989  

장혜림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유민 (계명대학교 생명과학전공) ,  남진식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잎의 식품학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기능성 쌈 채소로의 육성과 활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재배된 아마란스 Amaranthus cruentus와 Amaranthus hypochondriacus 어린잎의 영양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아마란스 두 종류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A. hypochondriacus보다 A. cruentus의 수분 함량이 더 높았다. 반면 A. hypochondriacus 잎의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 탄수화물 및 식이섬유 함량이 A. cruentus 잎보다 높았다. 아마란스 잎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로 확인되었으며, fructose는 A. hypochondriacus의 잎에서, glucose는 A. cruentus의 잎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를 제외한 acetic, malic, f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아미노산은 methionine과 proline, tyrosine을 제외한 총 17가지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아마란스 잎 모두 필수 아미노산 함량보다 비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더 높았으나 비필수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어 이에 따른 감칠맛의 정미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타 아미노산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taurine과 GABA(${\gamma}$-amino butyr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쌈 채소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아마란스 두 종류의 무기질은 K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모든 무기질은 A. cruentus보다 A. hypochondriacus에서 높았다. 아마란스 잎의 지방산은 대부분 불포화 지방산이었으며, 그중에서도 오메가-3 지방산인 linolenic acid 함량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A. cruentus와 A. hypochondriacus 잎의 ${\beta}$-carotene 함량은 각각 $478.72{\mu}g/100g$, $474.12{\mu}g/100g$으로 측정되었으며, 비타민 B군은 $B_2$, $B_3$, $B_5$만이 검출되었고 $B_1$, $B_6$, $B_{12}$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A. hypochondriacus 잎에는 A. cruentus 잎보다 더 많은 양의 항산화 비타민 C와 E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아마란스 잎은 품종, 재배 지역 및 환경 등에 따라 각 함량에 차이는 있으나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능성 쌈 채소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of Amaranthus cruentus and Amaranthus hypochondriacus baby-leaves cultivated in Korea. Baby-leaves of two amaranthes consisted of more than 92% moisture, and A. cruentus contained a higher amount of moisture than A. hy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잎의 식품학적 가치를 향상하고, 기능성 쌈 채소로의 육성과 활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재배된 아마란스 A. cruentus와 A. hypochondriacus 잎의 영양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마란스란? 아마란스는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지구상에 약 60여 종이 존재한다. 타 작물보다 수분 요구량이 적어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재배할 수 있으며 병충해가 적다.
Amaranthus cruentus의 꽃과 종자 색깔은? 미국작물학회에 등록된 아마란스의 계통분류에 따르면 Amaranthus cruentus는 엠마우스에 위치한 로데일 연구소에서 선발한 Montana-3 계통으로 꽃은 연녹색, 종자는 백색을 띠며, 키가 균일하고 수량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Amaranthus hypochondriacus는 네브라스카 농업연구소에서 선발한 계통으로 꽃은 적색, 종자는 황색을 띠는 조숙성의 작물이라 보고되어 있다(8).
아마란스 작물의 재배 장점은? 아마란스는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지구상에 약 60여 종이 존재한다. 타 작물보다 수분 요구량이 적어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재배할 수 있으며 병충해가 적다. 페루 Inca 시대와 멕시코 Aztec 시대의 주요 작물로 이용되었으며(1),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부터 시험 재배 등을 통해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아마란스의 품종 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Hong SY, Cho KS, Jin YI, Yeon YH, Kim SJ, Nam JH, Jeong JC, Kwon OK, Sohn HB. 2014.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Amaranthus spec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varieties in South Korea. Korean J Crop Sci 59: 16-21. 

  2. Choi CR, Choi HJ, Kim SR, Lee JH, Shin MS. 2000.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of amaranth starches isolated from five cultivars grown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52-257. 

  3. Breene WM. 1991. Food uses of grain amaranth. Cereal Foods World 36: 426-430. 

  4. Baker LA, Rayas-Duarte P. 1998. Freeze-thaw stability of amaranth starch and the effects of salt and sugars. Cereal Chem 75: 301-307. 

  5. Koeppe SJ, Harris PL, Hanna MA, Rupnow JH, Walker CE, Cuppett SL. 1987. Physical properties and som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an extrusion product with defatted amaranth seeds and defatted maize gluten meal (80:20 ratio). Cereal Chem 64: 332-336. 

  6. Gamel TH, Linssen JP, Mesallem AS, Damir AA, Shekib LA. 2005. Effect of seed treatment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two amaranth species: starch and protein. J Sci Food Agric 85: 319-327. 

  7. de Ruiz ASC, Bressani R. 1990.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amaranth grain. Cereal Chem 67: 519-522. 

  8. Baltensperger DD, Weber LE, Nelson LA. 1992. Registration of 'Plainsman' grain amaranth. Crop Sci 32: 1510-1511. 

  9. Resio AC, Aguerre RJ, Suarez C. 1999. Analysis of the sorptional characteristics of amaranth starch. J Food Eng 42: 51-57. 

  10. Kong X, Corke H, Bertoft E. 2009. Fine 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amylopectins from grain amaranth starch. Carbohydr Res 344: 1701-1708. 

  11. Pisa?ikova B, Kracmar S, Herzig I. 2005. Amino acid contents and biological value of protein in various amaranth species. Czech J Anim Sci 50: 169-174. 

  12. Mendonca S, Saldiva PH, Cruz RJ, Areas JAG. 2009. Amaranth protein presents cholesterol-lowering effect. Food Chem 116: 738-742. 

  13. Plate AYA, Areas JAG. 2002.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extruded amaranth (Amaranthus caudatus L.) in hypercholesterolemic rabbits. Food Chem 76: 1-6. 

  14. Lipkin A, Anisimova V, Nikonorova A, Babakov A, Krause E, Bienert M, Grishin E, Egorov T. 2005. An antimicrobial peptide Ar-AMP from amaranth (Amaranthus retroflexus L.) seeds. Phytochemisty 66: 2426-2431. 

  15. Tovar-Perez EG, Guerrero-Legarreta I, Farres-Gonzalez A, Soriano-Santos J. 2009.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inhibitory peptide fractions from albumin 1 and globulin as obtained of amaranth grain. Food Chem 116: 437-444. 

  16. Amin I, Norazaidah Y, Hainida KIE.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raw and blanched Amaranthus species. Food Chem 94: 47-52. 

  17. Pasko P, Barton H, Zagrodzki P, Gorinstein S, Folta M, Zachwieja Z. 2009. Anthocyanins, total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maranth and quinoa seeds and sprouts during their growth. Food Chem 115: 994-998. 

  18. Maiyo ZC, Ngure RM, Matasyoh JC, Chepkorir R. 2010.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three Amaranthus plant species. Afr J Biotechnol 9: 3178-3182. 

  19.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0. Jang HL, Lee JH, Hwang MJ, Choi Y, Kim H, Hwang J, Nam JS. 2015.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etween Lentinula edodes and new cultivar Lentinula edodes GNA01.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484-1491. 

  21. Park KY, Ha JO, Rhee SH. 1996.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 69-75. 

  22. Schaller D. 1978. Fiber content and structure in foods. Am J Clin Nutr 31: S99-S102. 

  23. Wills RBH, Wong AWK, Scriven FM, Greenfield H. 1984. Nutrient composition of Chinese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32: 413-416. 

  24. Cho YS, Park SK, Chun SS, Moon JS, Ha BS. 1993. Proximate, sugar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Dolsan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Nutr 22: 48-52. 

  25. Park SI, Kim TS, Park CG, Kang MH. 2012. Nutritional and sensory of green leafy vegetables cultivated from medicinal plant seed.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 271-277. 

  26. Anderson JW. 1986. Dietary fiber in nutrition management of diabetes. In Dietary Fiber: Basic and Clinical Aspects. Vahouny GV, Kritchevsky D, eds. Plenum Press, New York, NY, USA. p 343-360. 

  27. Park SK, Cho YS, Park JR, Chun SS, Moon JS. 1993. Nonvolatile organic acids, mineral, fatty acids and fiber compositions in Dolsan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Nutr 22: 53-57. 

  28. Kim MH, Jang HL, Yoon KY.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etsun vegetables by blanch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47-654. 

  29. Son HK, Kang ST, Jung HO, Lee JJ.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Korean J Food Preserv 20: 628-635. 

  30. Lee JJ, Jung HO.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blanching. Korean J Food Preserv 19: 866-872. 

  31. Kim YJ, Lee DH, Kim KI. 2012. The comparative study of components in Luwak coffee and Indonesian coffee. J Korea Soc Coffee Ind 1: 24-30. 

  32.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 Sci 21: 103-109. 

  33. Shallenberger RS. 2012. Taste chemistry. In Sour and Salty Organic Substances. Rudolf H, Mori K, eds. Blackie Academy, London, UK. p 289-291. 

  34. Ockerman HW, Crespo FL. 1982. Physicochemical changes occurring during storage of precured beef blends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two levels of salt. J Food Sci 47: 849-851. 

  35. Komata Y. 1969. The taste and constituents of food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 26. 

  36. Chesney RW. 1985. Taurine: its biological role and clinical implications. Adv Pediatr 32: 1-42. 

  37. Huxtable RJ. 1992. Physiological actions of taurine. Physiol Rev 72: 101-163. 

  38. Chang JS, Lee BS, Kim YG. 1992.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ed conditions and of anap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315-319. 

  39. Lee BH, Choi SH, Shin TJ, Hwang SH, Kang J, Kim HJ, Kim BJ, Nah SY. 2012. Effects of ginsenoside metabolites on GABAA receptor-mediated ion currents. J Ginseng Res 36: 55-60. 

  40. Park TS, Park JE, Chang JS, Son MW, Sohn KH. 1998. Taurine content in Korean foods of plant orig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01-807. 

  41. Shukla S, Bhargava A, Chatterjee A, Srivastava J, Singh N, Singh SP. 2006. Mineral profile and variability in vegetable amaranth (Amaranthus tricolor). Plant Foods Hum Nutr 61: 23-28. 

  42. Akubugwo IE, Obasi NA, Chinyere GC, Ugbogu AE. 2007. Nutritional and chemical value of Amaranthus hybridus L. leaves from Afikpo, Nigeria. Afr J Biotechnol 6: 2833-2839. 

  43.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1. Food com position table. 8th revis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198. 

  44. Lee HA, Yoo IJ, Lee BH. 1997.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on omega-3 fatty acid fortified foodstuff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61-174. 

  45. Mosha TC, Pace RD, Adeyeye S, Mtebe K, Laswai H. 1995.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selected Tanzanian vegetables and the effect of traditional processing on the retention of ascorbic acid, riboflavin and thiamine. Plant Foods Hum Nutr 48: 235-245. 

  46. Oboh G, Raddatz H, Henle T. 2008. Antioxidant properties of polar and non-polar extracts of some tropical green leafy vegetables. J Sci Food Agric 88: 2486-24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