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즙이 알코올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2 = no.174, 2004년, pp.329 - 332  

황자영 (웅진식품 중앙연구소) ,  함재웅 (웅진식품 중앙연구소) ,  남성희 (웅진식품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실즙, GMT, 아스파르트산의 ADH 및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매실즙 및 GMT, 아스파르트산의 ADH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는 반응 후의 최대 흡광도와 효소의 반응 속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최대 흡광도의 경우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상승 효과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최대 흡광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매실즙, GMT(5, 10, 15%), 아스파르트산(0.5, 1.0%)의 값은 각각 137.9, 131.6, 153.0, 218.7, 111.8, 144.3으로 나타났다. 매실즙과 GMT 및 아스파르트산을 혼합하여 이들의 ADH 효소 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냈으며 이중 매실즙과 10% GMT 혼합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ALDH 효소 활성도의 증가수준을 비교해보면 매실즙 첨가군이 가장 증가정도가 높았고 그 다음이 ALDH를 첨가한 경우 였으며 GMT, 아스파르트산의 순으로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매실즙의 경우 효소만 첨가한 대조구의 흡광도의 값을 100%로 보았을 때 매실즙 첨가군의 값은 976.4%로 나타나 ALDH의 활성이 10배 가까이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어 매실즙의 숙취해소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in vitro were examined by measuring maximum absorbances of ADH and ALDH at 340 nm to determine influence of Maesil (Prunus mume) on alcohol metabolism. Facilitating rates of ADH activity were 137.92, 131.58,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에서 알코올의 대사율은 ADH와 ALDH 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의해 조절된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실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알코올 대사 효소인 ADH 및 ALDH에 매실즙을 첨가하여 상승효과에 대해 in vitro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들과의 비교를 위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스파르트산과 쌀배아추출물인 구루메 (GMT)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ung DH, You JY. Fermented Foods of Vegetables. Gang Il Sa, Seoul, Korea (1997) 

  2. Kim JH, Xiao PG. Traditional Drugs of the East. Young Lim Sa, Seoul, Korea (1989) 

  3. Han JT, Lee SY, Kin KN, Baek NI. Rutin,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 of Prunus mem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5-37 (2001) 

  4. Shirasaka N, Kurematsu A, Kondo S, Ida M, Hase T, Yoshizumi 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Ume(Prunus mume). J. Jpn. Soc. Food Sci. Technol. 46: 792-798 (1999) 

  5. Lim JW.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runus mume. PhD thesis, Korea Univ. , Seoul, Korea (1999) 

  6. Bae JH, Kim GJ.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containing beverages on the proliferation of food-borne pathogens. J. East Asian Diet. Life 9: 214-222 (1999) 

  7. Bae JH, Kim KJ, Kim SM, Lee WJ, Lee SJ.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13-719 (2000) 

  8. Yoshihiro C, Hiroshi O, Mayumi OK, Kousai M, Tadahiro N, Yuji K. Mume fural, citric acid derivative improving blood fluidity from fruit-juice concentrate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 et Zucc). J. Agric. Food Chem. 47: 828 (1999) 

  9. Choi GW. Effect of Maesil's extract on the recovery after all-out exercise. PhD thesis, HanYang Univ., Seoul, Korea (1992) 

  10. Sheo HJ, Ko EY, Lee MY. Effects of Prunus mume extracts on experimently alloxan induced diabetes in rabbits. Korean J. Food Sci. Nutr. 16: 41-47 (1987) 

  11. Lieber CS. Alcohol and the liver: Update. Gastroenterology 106: 1085-1090 (1994) 

  12. Paek SC. Ethanol oxidation is accelerated by augmentation of malate-aspartate shuttle with aspartate. Korean J. Biochem. 25: 137-143 (1993) 

  13. Kim CI. Cause and effect of hangover. Food Ind. Nutr. 4: 26-30 (1999) 

  14. Jornvall H, Hoog JO, Bahr-Lindstrom H, Johanson J, Kaiser R, Person R. Alcohol dehydrogen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in biochemistry of alcohol and alcoholism. Biochem. Soc. Trans. 16: 26-30 (1987) 

  15. Choi JT, Joo HK, Lee SK.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 cerevisiae. Agric. Chem. Biotechnol. 38: 278-282 (1995) 

  16. Racker E. Alcohol dehydrogenase from bakers yeast. Methods Enzymol. 1: 500-506 (1955) 

  17. Tottmar SO, Petterson H, Kiessling KH.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19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